프리드리히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라는 책은 나의 애독서 중 하나다. 애독서인 만큼 인상 깊은 구절마다 밑줄이 그어져 있다. 그 구절들을 발췌하여 단상을 쓰고자 한다.
위대한 일은 모두 시장과 명성을 떠난 곳에서 일어난다. 옛날부터 새로운 가치의 창안자들은 시장과 명성을 떠난 곳에서 살아왔다.
달아나라, 벗이여, 그대의 고독 속으로.(87쪽)
⇨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라는 속담과 ‘이름난 잔치 배고프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 두 개의 속담은 떠들썩한 소문이나 큰 기대에 비하여 실속이 없거나 소문이 실제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실속 없는 사람이 요란하게 치장하는 법. 겉이 요란하면 알맹이가 없는 법. 고독 속에서 인내하며 몰두할 때 위대한 탄생을 기대할 수 있는 법.
남자여, 여자가 사랑을 할 때면 두려워하라. 사랑하는 여자는 모든 것을 희생하며, 그녀에게 다른 모든 것은 무가치해지기 때문이다.(114쪽)
⇨ 다른 모든 것을 무가치하게 여기고 오직 사랑만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은 연애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이는 상대편을 독차지하려는 소유욕이 강할 수밖에 없어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사랑도 정도를 지나치면 부족한 것보다 못할 수 있다. 이것은 성별에 관계없이 그렇다고 본다.
남자의 행복은 ‘나는 원한다’는 데 있다. 여자의 행복은 ‘그가 원한다’는 데 있다.(114쪽)
⇨ 남성은 본인이 좋아하는 여성을 선택할 수 있는 반면 여성은 본인을 좋아하는 남성으로부터 선택을 받아야 하는 존재란 말인가?
두 가지를 알게 한다. 첫째, 서양이나 동양이나 여성에 비해 남성이 프러포즈를 많이 한다는 것. 둘째, 니체가 시대착오적 발상을 했다는 것.
요즘은 연애에 대해 적극적인 여성들이 많아졌고 마땅히 그래야 한다.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자세를 갖는 여성들이 많아질 때, 프러포즈는 남성이 하는 게 자연스럽다고 보는 낡은 견해의 벽을 허물 수 있다.
그래서 나는 이따금 다음과 같이 말함으로써 자신을 위로한다. “자! 기운을 내자! 변함없는 마음이여! 그대는 한 가지 불행에서 벗어났다. 그러니 이것을 그대의 행복으로 누려라!”(254쪽)
⇨ “한 가지 불행에서 벗어났다.” 이 문장을 읽고 깨달았다. 인간은 자기가 누릴 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는 당연하게 여기고, 누릴 수 없는 것들에 대해서는 불만을 갖는다는 것을.
약을 타기 위해 친정어머니를 모시고 병원에 가는 일이 많다. 며칠 전엔 시어머니 생신을 맞아 대구에 가서 하룻밤을 자고 왔다. 딸 노릇과 며느리 노릇을 하느라 바쁘다. 한가롭게 살고 싶은데 그것은 희망 사항에 불과하다는 것이 아쉽다.
그러나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 있다. ‘나는 끼니를 걱정해야 하는 불행에서 벗어났다. 큰 병을 앓는 불행에서 벗어났다. 두 다리로 걸을 수 없는 불행에서 벗어났다.’ 이렇게 열거해 보면 우리는 수백 가지가 넘는 불행에서 벗어났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긍지에 찬 자들보다는 허영심 강한 자들을 아끼는 것. 이것이 대인관계에 있어서 나의 또다른 지혜다.(254쪽)
⇨ 긍지에 찬 자들은 자신감이 넘치는 자들이다. 반면에 허영심 강한 자들은 자신감이 없는 자들이다. 자신감이 없어 자기에 대한 믿음이 부족한, 허영심에 빠진 자들을 아낀다는 걸로 읽힌다.
상처받은 허영심은 모든 비극 작품의 모태가 아닌가?(255쪽)
⇨ 여주인공의 허영심으로 인해 비극적인 결과를 낳은 모파상의 소설 ‘목걸이’가 떠오른다. 이 여주인공을 누가 미워할 수 있으랴.
그리고 그 누가 허영심 강한 자들이 가진 겸손의 깊이를 제대로 잴 수 있는가! 나는 그들의 겸손 때문에 그들을 좋아하고 동정한다.(255쪽)
⇨ 허영심 강한 자들은 자신을 과소평가한다는 점에서 겸손한 자들이다. 자신만만한 자들은 자신을 과소평가하지 않는다.
허영심 강한 자는 그대들로부터 자신에 대한 믿음을 배우려 한다. 그는 그대들의 눈길을 먹고살며 그대들의 두 손으로부터 게걸스럽게 칭찬을 먹어치운다.(255쪽)
그대들이 거짓말로 그를 칭찬한다면, 그는 그대들의 거짓말조차도 믿는다. 왜냐하면 그는 마음속 깊은 곳에서 “나는 무엇인가?”라고 탄식하고 있기 때문이다.(255쪽)
⇨ 허영심 강한 자는 자신감이 없기에 남의 칭찬을 듣고 싶어 한다. 그래서 그들에겐 남에게 보여 줄, 필요 이상의 겉치레가 필요할 수밖에 없다.
그대들 중 최고의 현자들도 내게는 그다지 현명하게 보이지 않듯이, 인간의 악의도 실제로는 그 소문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알았다.(256쪽)
진실로 말하노니, 악에도 아직은 미래가 있다!(256쪽)
⇨ 악인은 어쩌면 소문만큼 악하지 않을지 모르다. 그저 그가 좋지 못한 ‘부모의 디엔에이(DNA)’를 그대로 물려받아 악인이 되었을지 모른다. 그의 나쁜 환경이 악인을 만들었을지 모른다. 알고 보면 악인에게도 ‘선’이 있어 미래엔 달라질 수 있다.
만인에게 가장 필요한 자가 누구인지를 그대는 모르는가? 그는 위대한 일을 명령하는 자다.
위대한 일을 해내기는 어렵다. 그러나 더욱 어려운 것은 위대한 일을 명령하는 것이다.(262쪽)
⇨ 위대한 일을 고안해 내고 실천하는 일은 얼마나 어려운가!
이때 누군가가 다시 속삭이듯 내게 말했다. “가장 조용한 말이 폭풍우를 몰고 오며, 비둘기 걸음으로 오는 사상이 세계를 움직인다.(262쪽)
⇨ 떠들썩한 곳에서 위대한 사상이 나오지 않는다. 위대한 사상은 비둘기 걸음처럼 남모르게 조용히 전해지는 것.
사람들이 처음에 지지하지 않았던 사상이 나중에 세계를 움직인 적이 많지 않던가.
그리고 누군가가 마지막으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아, 차라투스트라여, 그대의 과일은 익었으나 그대는 그대의 과일에 어울릴 만큼 익지 못했구나!
그러므로 그대는 다시 고독 속으로 돌아가야 한다. 앞으로 더 무르익어야 한다.“(263쪽)
⇨ 우리는 익지 않은 과일 같은 생각을 얼마나 자주 하고 사는가. 생각이 익도록 깊은 사색에 침잠하는 시간이 우리에게는 필요하다.
마지막은 내게 강한 인상을 준 문장을 뽑아 옮긴다.
그러나 그대가 마주칠 수 있는 최악의 적은 언제나 그대 자신이다.(110쪽)
⇨ 자신이 자기 삶의 주체자가 아닌가. 도박에 빠지는 것도, 범죄나 패륜을 저지르는 것도 누가 시켜서 하는 게 아니라 자기 자신이 하는 게 아닌가. 그럴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특수한 경우에만 한할 뿐, 대체로 스스로 행동한다. 그러므로 자기 인생을 망치게 하는 것은 자신이다.
자기 인생만 망치게 하는 것이 아니다. 자식을 가장 사랑하면서도 자식의 인생을 망치게 하는 부모가 있다. 자식에 대한 부모의 지나친 간섭과 지나친 교육열이 오히려 자식의 인생을 망치게 된 예를 우리는 종종 보아 왔다. 부모 자신의 적은 ‘자식에 대한 지나친 간섭과 지나친 교육열’이었다는 말이다.
”최악의 적은 언제나 그대 자신“이다. 이 문장을 정치인들이 꼭 읽었으면 한다. 나라를 위해 일하겠다고 나섰다면 자신이 어떤 이득을 얻을 생각은 하지 말아야 한다. 전 세계를 통틀어 쿠데타나 전쟁을 일으킨 자들은 나라를 위해서 한 게 아니라 자신의 추악한 권력욕과 탐욕에 의해서 한 것이 아닐까 의심이 간다. 최악의 적은 니체가 말한 대로 자신일 수 있으니....
....................
니체가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우나 이 책을 아낀다. 나의 고정 관념을 깨게 하는 글이 있고, 표현 방식을 배울 수 있는 글이 있으며, 사색에 잠기게 하는 글이 있어서다. 이런 글들을 만나면 연필로 밑줄을 긋는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읽다 보면 읽는 이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는 ‘시’를 읽는 것 같다. 이 책을 내 맘대로 해석하며 읽었다는 점을 밝혀 둔다. 다시 말해 내가 니체의 글을 잘못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내게 중요한 건 니체의 책을 읽고 내가 생각한 것들을 써 보는 일이었다. 나로 하여금 생각할 거리를 주는 책이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