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혼 없는 작가
다와다 요코 지음, 최윤영 옮김 / 엘리 / 2025년 8월
평점 :
『용의자의 야간열차』로 만난 다와다 요코의 글은 여행자의 느낌이었다. 목적지를 정했지만 도착해서 바로 떠날 것을 준비하거나 계획에 없던 장소에 머물러 탐색하는 삶. 낯선 것을 동경하고 뜻을 알지 못하는 단어에 매혹되어 그것에 빠져드는 이야기. 14년 만에 복간된 『영혼 없는 작가』는 에세이지만 에세이가 아닌 소설이 아닐까 착각하게 만든다.
다와다 요코는 공간을 이동하면서 경험하고 감각하는 모든 것들을 들려준다. 여행에 대한 것이기도 하고 언어에 대한 것이기도 하고 장소에 대한 이야기이며 정체성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익숙한 것들에서 떨어져 새로운 곳에서 언어를 배우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학창 시절 영어와 제2외국어를 배웠지만 나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할 줄 모른다. 독일어에 남성 명사, 여성 명사가 있는 줄 몰랐다. 다와다 요코가 독일어의 남성 명사를 실제 남자로 느끼려고 애를 썼다는 게 이상하지 않았다. 문방구에서 마음에 든 게 연필이나 타자기가 아닌 스테이플러 심 제거기라는 그의 마음을 알 것 같았다. 아니, 알 것 같다기보다 물건을 대하는 그만의 시선에 놀랐다. 나는 한 번도 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할 수 없는 생각. 이 책 전체가 그런 사유로 가득하다.
연필이나 타자기와 달리 스테이플러 심 제거기는 글자를 하나도 쓰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는 스테이플러 심을 제거하는 것 이외에는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그러나 나는 이 물건을 특별히 좋아하는데, 서로 붙어 있는 종이들을 분리해내는 것이 거의 마술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48쪽)
글을 쓰거나 말을 할 때 나는 내 감정에 가장 맞는 말이 무엇인지 깊게 생각한 적이 없다. 일상적인 언어로, 상황과 상대에 따라 떠오르는 대로 대화했다.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상대가 나의 의도와 다르게 해석할 수도 있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같은 언어를 사용하기에 걱정할 일이 아니었다. 그런데 저자는 달랐다. 물론 나의 경우와 다르겠지만 말이다. 그러니까 다와다 요코가 추구한 건 획일적이고 틀에 갇힌 것이 아닌 다양성과 확장적인 언어였다.
가끔 나는 모어를 유창하게 말하는 사람들을 보면 구역질이 났다. 그 사람들은 착착 준비해 척척 내뱉는 말 이외의 다른 것은 생각하거나 느끼지 않는다는 인상을 주었기 때문이다. (83쪽)
모든 글에서 전해지는 그의 사유는 대단하다.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들을 어머니로 비유해 들려주는데 영혼과 외로움이 그에게 어떤 의미인지 알 수 있다. 『영혼 없는 작가』란 제목과 부합하는 글이 아닐까 싶다.

영혼은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어머니다. 왜냐하면 영혼은 많은 단어들을 낳지만 혼자 죽기 때문이다. 영혼이 죽어도 단어들은 슬퍼하지조차 않는다. 영혼은 언어 없이 완전히 홀로 죽어야 하는 것이다. 외로움은 영혼의 어머니다. 어떤 사람이 외롭다고 느끼면 바로 혼자서 말하기를 시도한다. 그때 그는 언제나 자기 말을 들어주는 어떤 인물을 상상한다. 이 인물을 영혼이라 부르는 것 같다. 어머니는 외로움의 영혼이다. (166~167쪽)
그리고 중요한 건 경계나 선을 긋는 게 아니라 독자적인 정의였는지도 모른다. 음악이란 처음부터 비인간적인 무엇이었다는 그에게 애당초 음악은 특별한 무엇이 될 수 없었다. 일본에 살 때도 바흐의 음악이 외국 음악이라는 생각도 없었기에 함부르크에서 바흐 음악회가 끝난 뒤 독일 여성이 “우”리 음악을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었을 때 충격이었다는 말은 처음엔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수긍할 수 있었다. 독일 여성은 다와다 요코와 다르다는 전제하에 질문을 한 것이다. 정작 다와다 요코는 “우리”에 속할 생각도 없었고 속하고 싶지도 않았을 것 같다. 그가 언어와 세상을 대하는 태도가 확고하게 전해지는 문장처럼 말이다.
배우지 않은 언어는 투명한 벽이라 할 수 있다. 사람들은 멀리까지도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어떤 의미도 방해를 하지 않으니까. 모든 단어는 무한히 열려 있고 그것은 모든 것을 의미할 수 있다. (216쪽)
모스크바행 시베리아 횡단 열차에서 시작한 에세이는 독일, 일본, 미국, 캐나다 토론토 공항에서 끝을 맺는다. 책 한 권을 따라 여행하는 기분이다. 내가 알지 못하는 일본어, 독일어, 영어, 중국어가 모였다 흩어지는 것 같다. 인상적이고 독특한 글도 많았다. 전철에서 책 읽는 사람들을 발견하고 관찰한 이야기, 사전이 낳은 마을이라는 기발한 상상의 이야기, 열세 살 소녀였을 때 갖고 있던 프랑스 여자 영화배우의 책에 대한 이야기.
쉽게 읽히는 책은 아니지만 매혹적이다.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책을 읽는 게 아니라 들었다고 할까. 잘 들으려고 집중하게 된다. 단 한 번도 듣지 못한 다와다 요코의 목소리를 상상하며 말이다. 그는 분명히 낯선 삶을 여행하는 여행자이며 언어의 여행자다. 우리로 묶인 삶이 아닌 떠돌더라도 자유로운 삶. 너머의 너머를 향하는 그의 여정은 계속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