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926/pimg_7370211271495019.jpg)
작가들님과 알라딘에서 댓글과 답글로 이야기를 나누면서도 아직까지 그 분들의 책을 사시 않았다는 데 생각이 미쳤다. 나와 친한 (.....응?) 분들의 책을 사지 않다니? 미친 거 아님? 특히나 마태우스님으로부턴 공짜 책까지 받았거늘. 사람이 이토록 배은망덕해서야. 추석 연휴가 끝난 월요일에 주문을 넣고 토요일에 책을 받았다.
다락방님의 <독서 공감, 사람을 읽다>는 2015년 3월에, 마태우스님의 <집 나간 책>은 2015년 12월에 읽었다.
(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목에 칼이 들어와도 책 안 산다. 도서관에서 빌려 읽는다. ) 스텔라님의 <네 멋대로 읽어라>, 유레카님의 <소리없는 빛의 노래>는 주말을 이용해 다 읽었고, 로쟈님의 <그래도 책 읽기는 계속된다>는 계속 읽는 중이다. (두께가 꽤 만만치 않다.)
다락방님의 <독서 공감, 사람을 읽다>를 읽고선 이런 평을 남겼었다.
이토록 사랑스러울 수가.
아, 작가한테 전화 걸고 싶어라.
우린 공통점이 많다구요.
‘전화 걸고 싶어라’의 출처는 내가 사랑해 마지않는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의 인용이었다.
"정말로 내가 감동하는 책은 말이야. 다 읽고 난 뒤에 그걸 쓴 작가가 친구가 되어 언제라도 전화를 걸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기분을 느끼게 하는 책이란다. 하지만 그런 기분을 주는 책은 좀처럼 없지“
- J. D. 샐린져, <호밀밭의 파수꾼>
다락방님과 전화질을 하고 있진 않지만 북플을 통해 댓글을 달면 락방님은 언제나 답글을 달아주시지 않을까.
(......응?)
그러고보면 나는 꿈을 이룬 셈이다.
(돈에 대한 꿈도 좀 이루어져라.)
책은 샀고, 다 읽었으니
마지막은 리뷰로.
작가에 대한 독자의 최소한의 도리가 아닌가?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