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수업 - 온전한 나로 살아가기 위한 최고의 질문
박웅현 외 지음, 마이크임팩트 기획 / 알키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학의 시작은 질문이다"

아무 생각없이 책을 읽기 시작하다가 비로소 처음의 글에 대해 다시 되내어보게 된다. '온전한 나로 살아가기 위한 최고의 질문' - 이제 그 질문이 무엇인가, 질문해 볼 수 있게 되었을까.

어린아이들은 무엇하나 당연한 것 없이 이해가 되지 않고 납득이 되지 않으면 끊임없는 질문을 던지곤 한다. 특히 나는 그런 당연함이 더 심했던 것 같다. 의문을 갖기 보다는 이야기하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 지금 생각해보면 좀 어이가 없었던 것이 티비에 나오는 외국 영화를 보면서 나와는 생김새가 다른 외국인들이 왜 다른가,에 대한 의문도 없이, 그러니까 말하자면 '외국'에 대한 개념 없이 우린 그저 다 같은 사람일뿐이고 같은 말을 쓰는 사람들이라고 믿고 있었던 것 같다. 그러다가 '외국'에 대한 개념은 언제 생겨났을까? 똑똑하게 많은 것을 구분해내는 요즘 어린 꼬맹이들을 보면 신기하기도 하고, 내 어린 시절이 너무 바보같다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물론 이건 달리 표현하면 생김새의 다름만으로 나/우리와 너/타인을 구분지어버리며 차이를 강조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지만 '왜' 차이가 생기는가에 대한 물음조차 없었다는 것은 내가 어린시절부터 너무 순응적으로 살아온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게 한다.

 

이 책 [생각수업]은 광고인, 논객, 고전평론가, 과학철학자, 경제경영학자, 로봇공학자, 문화인류학자, 천문학자, 환경학자인 9명이 2015년 1월 마이크임팩트에서 주최한 컨퍼런스 '그랜드 마스터 클래스 : 빅 퀘스천'에서 강연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여 출판한 것이다. 아마도 알만한 사람들은 저자의 이름만을 듣고도 이 컨퍼런스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을 것이다. 지역에 살고 있기도 하고, 이런 정보에 좀 둔감하기도 해서 이런 강여이 있다는 것도 알지 못했지만 솔직히 미리 알고 있었고 참석할 수 있었다 하더라도 실제 내가 현장에 직접 가 봤을지는 의문이다. 나는 내가 지금 '왜'라는 질문을 던져 넣으며 나 자신이 나의 인생에서 들어야하는 답을 찾아야겠다는 열의는 이 시대의 청춘들에게 필요한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을 은연중에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펼쳐들면서도 - 저자 9명의 이름에 혹해서, 그들의 글을 좋아하기 때문에 무작정 펼쳐들기는 했지만 내 마음 깊은 곳에서 '온전한 나로 살아가기 위한' 질문은 나의 것이 아니라고 생각을 해서인지도 모르겠다.

 

박웅현님의 이야기에서부터 시작하여 진중권님, 고미숙님의 이야기로 넘어가다보니 조금은 더 깊게 들어가면 좋을텐데 왠지 인문학 입문서처럼 '들어가기' 만을 읽고 또 다른 이야기로 넘어가는 듯한 느낌이 들어 아쉽기도 했다. 그래서 나는 이들 저자의 또 다른 책, 혹은 저자들이 추천하고 있는 책들을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더 하게 되기도 했지만 그 이전에 지금의 이십대들에게, 청소년들에게 한꼭지씩 천천히 읽어보고 친구들과 꼭 이야기를 나눠보라고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더 많이 하게 되었다. 지금 나의 삶에 있어서 나 역시 '온전한 나로 살아가기 위한 최고의 질문'을 던져보는 성찰의 시간이 필요한 것은 맞지만 그렇게 끊임없이 되내이게 되는 삶의 물음 이전에, 미래의 삶을 살아가게 되는 현재의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을 가능성이 더 큰 어린 청춘들에게 더욱 필요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내 입장에서 언젠가 한번쯤은 의문을 제기하고 물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더 많은 질문을 던지곤 했던 이야기들을 언급하고있어서 조금은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생각수업'이었지만 - 물론 정치에 희망을 잃고 투표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믿음이 사라진지 오랬지만 여전히 내가 투표일이 되면 반드시 시간을 내어 투표를 하고 있음은 현실적인 세상의 변혁은 투표에서 시작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을 다시 확인해보게 되기도 했고, 한국의 자본주의에서 재분배 이전에 분배조차 평등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일목요연하게 깨달을 수 있는 부분들은 좀 더 깊이 파고들어 알고 싶다는 욕구를 불러일으키기도 하고 있기에 이 책이 좀 더 많은 이들에게 읽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조한혜정님은 "책을 읽고 나면 누군가와 그것을 나누어야 합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책 읽는 것을 아주 싫어하는 분들은 책 읽는 것을 아주 좋아하는 친구를 곁에 두시면 됩니다" 라 말하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우리가 살아가야하는 삶의 자세가 아닐까 싶다. 비단 '책'이라는 것 만이 아니라 그 모든 부분에서도 통할 수 있는 말이라 생각한다.

자신이 자기 삶의 주체로 살아가기 위해, 가치있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 더불어 함께 살아가기 위해,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기 위해 우리는 함께 하고 의견을 나누고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하면서 '왜?'라는 물음에 답을 해나갈 수 있고 그것은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온전한 나 자신으로 살아간다는 것"에 대한 물음의 시작이 되지 않을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7-14 21: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7-15 18: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hnine 2015-07-17 16: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chika님, 지금 막 받았답니다 보내주신 책이요. 제가 앞에다 적어놓았죠 chika님으로부터 라고요.
감사히 잘 읽겠습니다.

chika 2015-07-17 17:51   좋아요 0 | URL
앗,, 고맙습니다 ^^
주문하면서 메시지를 넣었으면 좋았을텐데 습관처럼 그냥 책만 주문하느라... ^^;;
재미있게 읽을 수 있으면 좋겠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