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클린 책방은 커피를 팔지 않는다
이지민 지음 / 정은문고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피곤해서 책 읽기가 귀찮아지고 심지어 읽는중인 책도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받자마자 바로 펼쳐 읽었던 기억이 새삼스럽다. 어떤 내용일까 잠깐 살펴보려고 책을 펼쳤다가 멈추지 못하고 계속 읽어버렸는데.

이 책이 그저 브루클린 지역에 있는 동네 책방을 소개하는 에세이였다면 잠깐의 흥미를 느끼고 또 금세 흥미를 잃었을지도 모르겠다. 현실성이 있는지 타당성을 따져보기전에 일단 내가 책방을 하게 되면 어떤 책방을 하면 좋을까를 생각하며 동네 책방의 특징과 운영에 대해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찾아야겠다는 생각이 먼저였지만 책을 읽다보니 저자가 자주다녔던 동네 책방을 따라다니며 그저 맘편히 책방 구경을 하고 책을 살펴보고 있었다. 책방구경은 역시 책구경이 아니겠는가. 브루클린 동네 책방을 따라다니면서 많은 책을 살펴보고 그보다 더 많은 책들이 읽고 싶어졌다. 아, 이래서 책방을 따라다니는 것은 위험한 것인데......


브루클린 책방은 커피를 팔지 않는다,라는 말처럼 오로지 책만을 판매한다. 물론 책과 단짝인 문구를 판매하는 곳도 있고 자신들이 직접 만든 굿즈 작품을 같이 판매하는 곳도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책방은 온전히 책을 판매하고 있다. 희귀본을 판매하거나 유명작가의 친필사인본을 판매하는 것 등은 이미 우리의 동네책방에서도 하고 있는 판매방식이기에 그렇게 놀랍지는 않지만 다 비슷해보이지만 각각의 책방이 저마다의 특색을 갖고 있는 것은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여전히 놀랍고 신기하다. 

커피를 판매하는 곳이 있기는 했지만 그곳 역시 우리가 생각하는 북까페가 아니라 각각의 전문적인 책방과 커피숍이 한 공간에서 각자의 역할을 하고 있는 형태인 것도 독특했다. 책을 읽기 위해 가는 북까페가 아니라 출퇴근길에 스쳐가면서 커피를 사는 사람들이 많고 잠깐의 짬이 나면 책을 살펴보다가 구매를 하게 되는 것도 꽤 흥미로운 방식인 것 같다. 늘 책이 중심이었고 커피가 보조적으로 따라오는 것이라 생각했는데 누군가는 책이 부가적으로 따라오는 것일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책방순례가 겉모습으로 보이는 책 구경에 더하여 작가와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어서 책장을 넘길때마다 이미 읽은 책의 이야기가 반가웠고 아직 읽지 못한 책은 빨리 읽어야겠다는 조바심도 들었다. 좋다는 이야기에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은 했지만 아직 한권도 읽어보지 못한 니콜 크라우스의 책은 올해가 가기전에 꼭 읽어보려한다. 마침 책선물을 받을 일이 있어서 계속 미루기만 했던 니콜 크라우스의 최근 번역작 '남자가 된다는 것'을 청했다. 제목만으로는 어떤 이야기일까 했는데 아버지에 대한 내용이라니....묘한 마음이지만 기대가 된다. 

한국작가들의 작품도 많이 번역되어 브루클린의 동네 책방에 진열되어 있다는 이야기 역시 반가웠다. 실제로 직접 동네 책방에 가서 책을 보게 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그나마 이 책을 통해 수많은 책을 보게 된 것만으로도 반가웠다. 왠지 더많은 동네책방의 책을 보고 싶어지기도 하고. 그래서 동네 책방 이야기가 시리즈로 계속 이어진다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고.

이 책을 읽는 시간은 맘편히 여유롭게 동네 책방을 다니며 휴식을 제대로 느낀 것 같은 좋은 시간이어서 좋은 느낌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2-10-11 12: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책방에 대한 이야기는 언제나 좋아요. 요즘 제주에는 작은 책방들이 많이 생기던데 그게 또 제주사람의 입장에서는 어떤 마음인지도 궁금하네요.

chika 2022-10-12 15:01   좋아요 0 | URL
예전의 책방과는 달라서 저는 편히 갈 수 있는 서점이 없어요. 조카가 오면 가끔 북까페나 동네책방을 가보기는 하는데 정말 오며가며 들려서 책을 살펴보고 구입하곤하던 옛 책방의 느낌은 아니여서.....
그리고 특히 여기는 관광지여서 관광객들이 잠시 쉬다 가는 곳? 사진찍고 구경하는 곳? 그런 느낌이 많아요.

예전에 인문사회전문서점들이 있었잖아요. 그런 곳에 대한 기억때문인지 저는 정말 생활공간 주위에 동네책방이 하나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많아요. 인터넷으로 주문 가능한 책이 많은 서점뿐이라면 갈 이유가 없잖아요.
어쩌면 또 제가 너무 생활반경이 한정적이어서 이런 생각을 하는 것인지도 모르겠지만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