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체와 접힌 질서 - 물리학계 이단아 봄의 양자물리학 해석 ㅣ 비선형 과학도서 7
데이비드 봄 지음, 이정민 옮김 / 시스테마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본서는 과거에 다른 번역본으로 읽어봤던 듯하다. 아니면 다른 책들에서 인용이 잦아서 내용 일부를 기억하고 있었던 건지도 모르겠다. 어쨌건 데자뷰인지 회상인지가 심하게 되었던 책이다. 이 책은 유튜부에서 동시성과 관련 된 책의 소개 영상 중 해당 저작의 저자가 이 책을 감명 깊게 읽고 데이비드 봄과의 만남을 갖게 된 일화를 이야기한 대목을 인용한 유투브 영상으로 관심을 품게 되어 읽었는데 책 전반의 내용에서 심하게 데쟈뷰인지 회상인지를 갖게 되었다.
책의 전반부는 실재의 부분을 해석할 뿐인 이론이란 것을 전체의 의미로 파악하는 데서 오는 문제와 역자가 '조각내기'로 번역한 실재나 학문이 작게 분류해서 접근하게 되는 데서 오는 문제들을 이야기한다. 이론이란 것은 실재를 하나의 계통적인 시각에서 분별하고 해석하는 것이고 그것들은 모두 각 계열로 분류되어 각자만의 시선을 갖기에 전체 또는 실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이기도 했다. 실제나 실상을 나누어 보는 과정을 외적 질료의 시각, 형성의 시각, 작용의 시각, 목적의 시각 등으로 볼 수 있는데(본서에서 등장하는 용어는 아니고 기억나는 개념으로 옮겼다) 아마도 실상에 대해 목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은 이제까지는 종교나 철학의 논점이었고 질료나 형성, 작용에 대한 관점이 과학적 시각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이제까지는 이를 분할해서 접근했으나 데이비드 봄은 총체적으로 조각내지 않으며 다가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과정상 관점과 검증과 검증결과에 대한 해석이나 제시의 과정에서 화자와 청자 간의 상호 오해가 커나갈 수 있는 까닭으로 언어의 한계를 들고 있기도 하다. 저자는 언어학자나 철학자처럼 언어의 어원과 어의를 설명하며 언어의 한계를 주장하고 있는데 이 대목은 영어권, 유럽어권 사람이 아니다 보니 깊이 와닿거나 이해가 쉽지는 않았다. 하지만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나 영어로 접근하는 대목과 한국어로 접근하는 대목에서 차이가 크겠구나 하는 생각의 확장은 다가왔다.
하나의 장에서는 수학과 물리학 공식이 등장하기도 했는데 절반까지 읽다가 그 장의 독서는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전공자가 아니면 독해하기 쉽지 않은 장이겠구나 생각됐다.
데이비드 봄이 말하는 모든 대목을 주목하거나 거의 이해했다고 말하기에는 집중도 안 됐고 이해력에 한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상은 조각나거나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그 안의 질서는 실리콘 통 안의 잉크가 돌리는 방향에 따라 펼쳐지고 접히며 확장하고 수렴되듯이 이 세계의 인과든 질서든 펼쳐지고 접히며 존재하게 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여기에서 선형적 인과를 믿는 사람들은 과거에서 미래로 확장되며 펼쳐지는 것으로 파악하겠지만 나로서는 모든 공간의 모든 시간에서 과거, 현재, 미래 속의 모든 인과는 펼쳐지고 접히고 있는 거라는 판단을 하게 되었다. 의지와 욕구, 욕망으로 세계가 펼쳐지고 있는 건 아니라는 생각을 했다. 데이비드 봄은 의식과 물질, 영과 육 이 두 체계는 무엇이 무엇의 근원이고 무엇이 무엇의 결과가 아니라 상위 차원에서 연결되어있는 접힌 질서 속에 연결되어 있다고 이야기하는데 이 역시 물질 본위에서 생각해 보아도 뇌 호르몬이나 뇌의 해당 영역의 작용으로 뇌파와 뇌의 에너지장이 형성되고 심리 상태를 야기한다지만 이와 반대로 심리의 변화나 뇌파와 에너지장의 변화가 뇌 호르몬 분비와 뇌의 해당 영역의 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처럼 영과 육, 의식과 물질은 상호호혜적이며 상호호환적이라고 생각한다. 또 모든 대상이 분리되어있는 것과 동시에 양자 얽힘의 작용도 동시에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인과가 과거에서 미래로 선형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이러한 통찰도 이 시대에 이르러서 등장한 것이 아니라 우주의 역사 속에서 과거, 현재, 미래에 동시에 존재하고 있을거라 생각한다. 접힌 질서가 펼쳐지는 건 과거에서 미래로 미래에서 과거로 현재에서 과거와 미래로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게 사실이라면 의미나 가치 추구, 행복 추구가 인생의 절대 가치일 수 없다고 생각되기도 한다.
집중해서 읽지 못하다 보니 본서의 내용을 모두 이해하지는 못한 것 같고 건너뛴 대목도 많은 것 같지만 평소 늘 해오던 생각들의 연장선상에 있는 내용이라 일부분만 이해했어도 생각해 보는데 의의가 있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