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에 읽는 비트겐슈타인 - 20세기 천재 철학자의 인생 수업 ㅣ 마흔에 읽는 서양 고전
임재성 지음 / 유노북스 / 2025년 5월
평점 :
유노북스 출판사를 통해 도서협찬을 받아 자유롭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비트겐슈타인이라는 철학자의 인생 수업을 들으려는 분들이라면 분명 그에 대한 약력까지는 이미 아실 것이다. 나로서도 이 책에서 간략히 언급된 것과 검색을 통한 내용 외에는 아는 게 없는 관계로 리뷰 사전에 알려드릴 그의 약력은 버트런드 러셀의 제자였다는 것과, 언어를 주제로 철학을 천착했다는 것 말고는 없다.
그는 “내 언어의 한계가 내 세계의 한계이다”라고 주장한 이이다. 아마 그의 시대에는 그의 이런 식견이 남다르게 다가올 수 있었던 시절이었구나 싶기도 하지만 일견 시절의 한계였구나 싶기도 하다. 불가에서는 언어도단과 불립문자라는 말이 있다. 언어로 도달할 수 없는 경지를 말하고 문자만으로는 성립될 수도 파악할 수도 없는 경계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비트겐슈타인 자신도 이미 언급했지만 분명 언어로는 전달될 수 없는 경계들이 있고 현대의 뇌과학은 서술 기억보다 비서술 기억이라는 표현될 수 없는 기억들이 인간의 전체 기억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증언하기도 한다. 인간에게 인풋된 대부분의 데이터는 비언어이며 이것이 인간의 정서를 이루고 이 정서를 바탕으로 그것도 한계 속에서 일부 언어나 행동으로 아웃풋 되는 것이다.
사실 따지고 보면 인간의 대부분의 동인은 논리가 아닌 정서와 감정에 달려 있다. 정신분석학이나 분석심리학이 아무리 그를 심리학적으로 또 철학적이고 신화학적이고 종교적인 차원에서까지 언어로 풀어내고 있다지만, 성경에서마저 창조주가 세계를 창조하고서 언급된 것은 “보시기에 좋았더라”는 정서적인 차원의 말씀이다. 창조의 이유를 인간이 알 수 없겠지만 그를 유추한다 해도 결국에는 정서적인 차원의 답변 밖에는 나올 것이 없다. 논리로 따지고 들어도 원대한 계획이니 완수할 의지니보다는 좋으려고 만들었다는 해석이 가해지는 것이 앞뒤 문장의 정황상 말이 되지 않는가 말이다. 그리고 인간의 대부분에 기도도 감정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며 기도에서의 간절함은 기도를 완성시키는 정점이 아닐 수 없다. 간절함이 없는 기도나 신실함이 없는 기도는 이루어지리라는 기대도 대부분 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인지 비트겐슈타인도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저자 역시도 ‘논리에만 집중해 감정과 삶의 복잡성을 배제하는 태도가 오히려 사고를 제한할 수 있다’고 ‘감정을 억압하면 오히려 내면에서 왜곡된 방식으로 작용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작용이 정신분석학에서 말하는 방어기제들의 작용일 것이다. 무협지를 통해 옛 중국의 내공 심법들을 보면 오욕칠정을 끊으라는 말이 나오며, 한국의 선도에서도 조식, 지감, 금촉 세 가지 한국 전통 선도의 요소에서 지감과 금촉은 감정과 감각을 중단하고 차단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신화부터 신라시대 역사까지가 기록된 신화서 부도지를 보더라도 포도 열매를 통해 오미(다섯가지 맛)을 알게 된 인간으로 인해 타락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 인간은 근본을 잃었다고 그것을 회복해야 한다(復本)는 내용이 초반의 주요 정점이다. 당연히 오미는 오감 즉 감각과 감정의 은유이다. 오감과 감정의 단절을 중국 선도도 한국 전통의 선도와 신화도 중시하고 있다. 하지만 불교에서는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나 염정즉정토(染淨卽淨土)를 이야기한다. 억압하는 것만이 수가 아니라 창조주가 세계를 창조하고서 한 말도 ‘생육하고 번성하라’는 말이 첫 번째였다. 자신이 보시기 좋은 세상에 가득해지라는 것이다. 그것은 감각하고 만끽하는 가운데에서 진행될 사안들이다. 세계와 자신의 존재 이유는 억압하고 사유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풍요롭게 때로는 처절하게, 느끼는 과정을 거치라는 것일 것이다. 느끼는 것이 사유의 이전에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건 인간의 발달 단계와 과정을 보아도 충분히 알 수 있다.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와 사유를 중시하는 철학자였지만 그 여정은 행동하기 위한 것이란 것을 주지시키고 있기도 하다. 그래서 그는 절망하지 말고 일어서라는 조언도 아끼지 않는다. “똥 밭에 빠져도 주저앉아 흐느끼며 죽는 것보다는 끝까지 버티며 전진하는 것이 낫다”고 말이다. 저자는 ‘한 걸음씩 나아가다 보면 영원할 것 같던 절망의 끝에 도달할 수 있다’고 ‘그 자리에는 더 깊어진 사유, 더 단단해진 내면, 그리고 다시 나아갈 힘을 갖춘 자신이 서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 말이 망막해 보이겠지만 나아가는 것은 자신의 일상에 충실하라는 말일 것이다. 나의 절망 속에서 나는 나아갈 길을 보지 못했다. 그저 내 앞에 주어진 현실 속에서 묵묵히 내가 할 수 있는 하나하나를 행하며 지내는 것뿐, 다른 벗어날 길을 난 찾지 못했다. 나아갈 길을 아는 사람은 따로 있는 걸까? 나아갈 길을 찾는 사람은 따로 있는 걸까? 아마 잘난 사람들도 극단적인 절망의 순간에 나아갈 길을 찾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어여쁜 이들도 허다하게 자살하는 그런 나라일 것이고. 그냥 내 앞의 하나하나를 이어나가는 것 그 이상의 나아갈 길을 따로 찾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때로는 노래하던 무대에서 뛰쳐나가 스님이 되는 여가수도 있고, 잘 다니던 회사를 박차고 나가 배우가 되는 남자도 있는 세상이지만, 대부분에 사람들은 절망의 순간 다른 길을 찾지 못할 수도 있다. 어쩌면 살아가는 하루하루에 충실한 것이란, 어떤 뛰어난 지혜로운 사람도 자신에게 놓인 길에서 묵묵한 것이라며 그를 실천하고 있을지 모른다고 생각되기도 한다. 나는 책을 통해 뛰어난 지혜로운 사람들의 일상을 엿보려 노력하고 그들의 일상에서의 노력을 닮아가려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결국 만불상의 부처가 제각각의 개성을 나타내듯, 중국 태극권이나 다른 유파의 무술이 각 지역이나 전승자마다 다른 개성의 투로와 기법으로 재탄생했듯 자신다운 자신이 되어 갈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의 가르침도 결국에는 나다운 내가 되라는 것일 것이다. 언어의 철학을 말하는 그도 대중에게 자신의 어휘와 표현을 찾으라고 조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삶의 무게는 사람마다 다르다. 그렇기에 자신에게는 무겁다는 남의 무게보다 자기 자신이 진 무게가 압도할 수밖에 없다. 왜 나는 남보다 무거운 짐을 지었느냐고 한탄해 보았자 내 무게는 가벼워지지 않는다.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이 자신이 진 무게를 가볍게 해주지 않는다고 더 버틸 수 있게 해 줄 뿐이라고 말하고 있다. 유재석은 힘들어하는 후배에게 오래 버티는 사람이 결국 살아남는다고 연예계 생활에 대한 소신을 이야기했다고 한다. 생존이 화두라고 해도 이와 결코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똥 밭을 헤쳐나가는 법을 이야기한 비트겐슈타인의 말도 이와 다르지 않지 않나? 자신이 진 짐을 버티며 묵묵히 나아가는 것 말고는 알고 보면 인생이란 할 수 있는 게 없다. 그 길의 끝에 ‘더 깊어진 사유, 더 단단해진 내면, 그리고 다시 나아갈 힘을 갖춘 자신’이 있을 것이다. 그렇게 자신다운 자신으로 말이다. 타인이 지옥인 것도 사실이고 그런 타인들과 천국을 만들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니 천국을 꿈꾸지 말고 자신다운 자신이 되어야 하는 게 최선은 아닐까 생각한다. ‘지옥이 아닌 타인’이 있는 천국 속에 있는 사람들에게라면 다른 감상이겠으나 대부분에 인간은 지옥 속에 있는 것이 이 세상 실상인지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자신다운 사유를 하고 자신다운 말을 하고 자신다운 행동을 해라. 그러면 결국 자신다운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 삶의 고난들이 끊이지 않고 타인이란 지옥 속에 놓인 것인지도 모르니까 말이다. 나다워지기 위한 길에 잠시 독도법을 알려주는 이 책이 있다. 읽고 나면 다른 지도들을 읽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마흔에읽는비트겐슈타인 #임재성 #유노북스 #비트겐슈타인 #철학 #인생수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