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 뱅크 레볼루션 - BaaS로 다시 태어나는 금융의 미래
김준태 지음 / 슬로디미디어 / 2025년 11월
평점 :
#K뱅크레볼루션 #김준태 #슬로디미디어 #채성모의손에잡히는독서 #BaaS #블록체인 #핀테크 @chae_seongmo @slodymedia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를 통해서 #도서협찬 을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현재 금융의 변화는 대부분이 체감하고 있을 것이다. 방문해 이용할 은행 수는 줄고 있고 은행 거래는 대부분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온라인으로 하고 있으니까 말이다. 그렇다고 금융업의 기능이 최소화되어 가느냐 하면 그건 체감과는 다르다. 네이버, 카카오, 쿠팡 등 지불 결제를 하는 방식이 달라져서 그렇지 결제 빈도는 오히려 대다수에게 늘었을 테니 말이다.
본서는 기술 발전과 적용으로 현재의 금융이 어떻게 변화하고 기업과 융합하고 있는지가 다가오는 책이다. 쿠팡, 네이버, 카카오, SSG 등에서 지불 결제 방식과 시스템의 변화를 그리기도 금융상품과 어떻게 연계되는지도 풀어내어지고 있다.
본서를 통해 금융은 더 이상 독립된 위치가 아니라 기업의 필요와 융합하며 일상 속으로 침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저자는 책 제목의 전면에 등장하는 Baas(Banking as a Service)의 개념을 통해 금융이 어떻게 플랫폼화되었는지 어떻게 일상 속에서 기능하고 있는지를 실제 기업과 우리 일상의 단면들을 예로 들며 시스템의 면면을 이해하게 서술하고 있다.
커머스, 농업, 자율주행을 비롯한 모빌리티 전반과 함께 금융의 기능적인 면이 시대 흐름 속에서 사라져가는 것이 아니라 더 일상에 긴요하게 그리고 다채로운 양상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렇다고 금융이 기업의 부속적 기능을 하는 방향으로 역할이 위축되었다기보다는 기업 활동 전반에서 기획과 설계, 실적용, 변화 등에 구심점 역할을 하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변모해 가는 과도기라고 보인다.
이런 금융 변화의 축은 블록체인과 같은 기술의 혁신이 일구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변화는 암호화폐, NFT와 같은 경제 시스템의 전환을 가져오는 요소들과 결합하며 이제까지 이어온 세계관으로 보자면 기업에 과도한 힘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라 해석된다. 또 본서에서는 긍정적으로 그리고 있는 ESG를 위한 미래 금융의 역할은 사실 기후위기설과 환경주의 등의 맹점을 간과하고 우리가 현실에서 눈에 보이는 변화를 위기로 인식하며 순순히 순응하는 바가 탄소발자국 추적 같은 프로그램과 연계되며 모빌리티, 블록체인, 암호화폐나 CBDC와 결합하면, 결국 우리 일상을 얼마나 제재할 수 있고 통제사회 속에서 제한 속에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 것인지를 대부분은 주목하지 않고 있는 것 같다.
편리해진 삶만을 낙관적으로 그리며 암담해질 가능성을 회피하고 외면하는 데 결국 대다수에 민중이 맞이할 현실은 팍팍하고 삭막하다는 말 이상의 사회가 될 것이다. 공산주의와 자본주의의 양극단의 체제가 일종의 사회 실험적으로 시대를 가로지르다가 첫 번째로 공산주의가 망했고 이제는 자본주의가 망하는 것을 지켜보게 될 것이다. 물론 자본주의의 총아인 기업이 만개하는 시대를 가져오기는 할 것이다. 하지만 공산주의와 자본주의 이 두 체제가 사람들 곧 대중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의도해 만들어진 것이라는 가정을 한다면 앞으로는 ESG가 밝게 그리는 이상과는 다르게 기업의 주주들이라는 자본가들 일부만이 자신들만의 리그 속에서 살아가고 대중은 절멸해 가는 시대 상황을 맞이하게 될 것이고 AI가 AGI가 되고 ASI가 되어갈 현실 속에서 대중은 경제적 도태 속에서 처분되는 자멸 아닌 자멸의 길을 걷게 되는 것이 수순인 것 같다. 자본주의는 기업과 자본가만을 위한 시스템이었다는 걸 깨닫고 대중은 사라져 갈 것이다. 개인주의, 능력주의, 승자독식, 기술 발전만을 낙관적 시선으로 보는 시대에 이런 전망은 들리지도 않겠지만 말이다.
어쨌건 본서는 대부분의 개인이 지불 결제 시스템의 변화와 암호화폐나 CBDC 그리고 블록체인의 기술로 인해 체감하고 있거나 예견하고 있는 금융의 시대적 변화가 어떠한 체계와 기술로 가능한지 이후의 변화는 어떠할지를 헤아려 볼 수 있도록 한다. 읽어볼 만한 책이 아닌가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