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사회 - 내일을 팔아 오늘을 사는 충동인류의 미래
폴 로버츠 지음, 김선영 옮김 / 민음사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너무 늦었다고 생각할 때라도 주저앉아버리면 변화의 기회는 없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근시사회 - 내일을 팔아 오늘을 사는 충동인류의 미래
폴 로버츠 지음, 김선영 옮김 / 민음사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내일을 팔아 오늘을 사는 충동인류의 미래'라는 소제목이 의역된 도서명 '근시사회'의 아래에 있다.

개인 소비문화가 어떻게 공동체의 공존 의식을 짓밟은 채 개인의 자아충족만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흘러가는지를 짚으며 저자의 논리가 전개된다. 그로부터 시작하여 기업과 금융경제, 의료, 정치 전반에 흐르는 근시안성에 대해 충동사회라며 지적하고 있다.


문명화의 역사를 '지속적인 문명화를 위해 개인의 충동성과 근시안성을 억누르도록 사회가 능숙하게 설득하거나 강제하는 과정 혹은 개인이 그렇게 하도록 점점 능숙하게 유도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라는 저자의 관점이 저자가 충동사회라 부르며 지적하는 이 세계에 대한 해석을 불러온 것일 거다. 그리고 그러한 저자의 주장이 무척이나 설득력 있게 책 전체를 관통하고 있다.


시장과 자아의 통합, 편협한 이기적 만족, 자아 만족감, 자아표출, 자기애적 성향, 자기추적 기술(칼로리 계산부터 일상 전체를 대중에게 중계하다시피하며 자아를 표출하고 자기가 원하는 것만을 빠르게 소비하며 살아가는 것), 쾌락원칙, 도마뱀뇌의 작용(대뇌변연계의 작용으로 장기적 이익과 지금 이 순간의 단기적 이익 사이에서 단기적 이익이 우선하게 되고 강렬하게 이 순간의 이익 취득에만 주력하게 되는 것) 등 다양한 표현으로 이 세계가 근시안적이며 충동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저자의 주장과 논리 전개가 너무도 설득력 있어 무척이나 가독성이 높은 저작이다. 번역자의 노고가 감사한 저작이기도 하다.


사실 이 도서에 대한 사전 지식 없이 목차도 보지 않고 읽다 보면 그러한 근시안성이 소비활동과 금융경제, 기업 운영(기업이 인수합병과 자사주 매입 등 주가수익률 우선으로 자본효율성을 우선시하는 것)에 대한 저자의 논지가 의료와 정치로까지 이어지는 것에 놀라고 말 것이다.


'우리의 정신적 편향과 이것을 정교하게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게 될수록, 이러한 자기중심적 경제를 더 지속 가능하게 하거나 단지 정상으로 돌려놓는 일이 점점 더 힘들어질 것임을 깨닫게 된다.' 


'어떻게 보면 자기애적 성향은 충동사회에 대한 그리고 이제 장기적 헌신이나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를 인정해 주지 않는 세상에 대한 논리적 반응이다.'


'유권자들은 정치를 자아표출과 정체성 형성, 정서적 만족을 위한 또 다른 영역처럼 취급하도록 권유받는다.'


의료와 정치부문은 사실 한국의 입장과 크게 공감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공감 가는 소소한 부분들이 저자가 든 미국의 사례와 앞으로 크게 닮아갈 여지가 있을 가능성이 있기에(의료민영화 등) 우려되기도 한다.


후반부의 '나 자신을 위해서만 존재한다면 나는 무엇인가? 지금이 아니라면 언제란 말인가?'라는 저자의 말이 공감되기도 하지만 저자는 의례 많은 이들이 현시대에 대한 해결책이라며 내놓는 미심쩍은 대응안 보다 나은 무언가는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문제를 지적해주는 것만으로도 대중이 문제가 무엇인가 의구심을 갖다가 명백히 문제를 인식하도록 해주는 것만으로도 고마울 일이 아닌가 싶다.


저자와 같이 현시대에 대한 의구심이 또 질려버릴 자아표출 욕구가 문제를 인식하도록 해주는 데는 그리 오래 걸릴 것 같지는 않다. SNS 사용률과 가입률이 감소하고 있으며 SNS를 다시 사용하고 싶지 않다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도 그렇고 시민들이 일어설 유럽과 미국도 대통령 하야를 외치며 촛불을 든 한국도 그렇고 시민들이 느리게라도 일어설 때는 일어서기 때문이다. 


너무 늦었다고 생각할 때라도 주저앉아버리면 변화의 기회는 없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민의 교양 (반양장) - 지금, 여기, 보통 사람들을 위한 현실 인문학
채사장 지음 / 웨일북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에 대한 단순한 구분. 이것이 시민이 갖춰야 할 최소한의 교양이다.'

 

'나의 세계관과 타인의 세계관이 다름을 이해해야 하는 것은 우리가 결코 소통하지 못할 것임을 깨닫기 위해서가 아니다. 반대로 소통을 시작하기 위해서다. 소통의 시작은 내가 타인의 세계관을 논박하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할 때, 다시 말해서 타인이 나와는 정말로 다른 세계에 살고 있음을 인정할 때 비로소 시작될 수 있다.'

 

'... 시민은 세상의 주인이고, 역사의 끝이며, 그 자체로 자유이기 때문입니다.'

 

'시민은 언제나 역사의 끝에 서 있다. 미래를 선택함으로써 오늘을 역사로 바꾸는 권한과 의무는 시민에게 있다.'

 

'세계를 복잡하게 이해하려다 지치지 말고, 세계를 관통하는 단순함에 집중해야 합니다. 내일의 세계를 시장의 자유로 나아가게 할 것인가. 정부의 개입으로 나아가게 할 것인가. 시민 각자가 현명하게 나의 이익에 따라 선택을 할 때. 그 선택은 사회 전체를 살 만한 사회로 만들 것입니다. 그렇게 해야 하고, 그렇게 하게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시민은 세상의 주인이고, 역사의 끝이며, 그 자체로 자유이기 때문입니다'

 

책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다른 리뷰어들이 충분히 언급했으니 책에서 몇 줄 인용하는 것으로 이 책을 일독해 보란 권유를 대신하려 한다. 『지대넓얕』때도 그랬지만 책의 내용만큼이나 저자의 정신이 돋보이는 저작이다 싶다.

 

책의 요소요소에서 감흥어리게 하는 저자의 입담이 시민들의 촛불집회를 남다르게 느끼도록 한다.

 

"가자! 시민들이여 세상의 주인인, 역사의 끝인, 그 자체로 자유인 시민으로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처와 슬픔의 치유
대서 편집부 지음 / 대서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욥, 야곱의 딸 디나, 야곱의 아들 요셉, 노년의 야곱, 나오미, 다윗, 호세아, 예레미아까지에 이르는 성경 속 인물들의 트라우마와 그 치유과정을 그리고 있는 저작이다. [과거 욥과 야곱을 헷갈려 욥의 고난을 야곱의 고난으로 착각해 박박 우기며 전했던 적이 있다. 역시 무식해야 용감한 것인가?]

해당 트라우마를 언급하며 성서 속 인물들만이 아니라 심리치료사와 정신의학자들이 겪은 유사한 사례도 들고 있다.


후반부의 호세아와 예레미아의 예에서는 그저 설교를 듣는듯 했다. 하지만 욥부터 다윗까지는 각 인물과 인물의 가족이 겪는 고통과 그 고통으로 부터 벗어나는 치유의 과정이 많은 분들께 공감과 처방이 될만하다고 여겨진다.


그저 설교집이라기 보다는 트라우마의 정의부터 각 사례별 고통과 그로부터 벗어나는 과정과 구조를 나름 세심히 알려주는 치유보조서 같은 느낌의 저작이다. ['경험의 재구조화'와 '용서의 과정'이라는 처방이 이 책의 백미라고 생각된다]


감수성 풍부한 기독교인들은 "너는 가서 창녀와 결혼하여(음란한 여자를 맞이하여) 음란한 자녀를(음란한 자식들을) 낳아라 [호세아 1:2] 현대인의 성경(개역개정판)"라는 하나님의 명을 받은 호세아편까지도 납득과 수긍을 하실듯한데, 나로서는 아무리 그 시대상황에 대한 함의와 은유로서라지만 또 아무리 그 시대의 하나의 표상으로서라 하더라도 하나님께서 택하신 선지자인 호세아에게 구태여 그런 가족사를 강제한 하나님의 뜻이 납득불가였다.[NIV로는 창녀(음란한 여자)가 a wife of whoredoms니까 창녀라는 '현대인의 성경' 번역이 오히려 음란한 여자라는 번역보다 더 타당한 것 같다. 원어인 히브리어의 의미로도 창녀가 맞는 모양이다. 그러니 영문으로 저렇게 번역 되었을테지]


[이사야 45:7 나는 빛도 짓고 어두움도 창조하며 나는 평안도 짓고 환난도 창조하나니 나는 여호와라 이 모든 일을 행하는 자니라 하였노라]


욥의 고난부터도 그렇고, 생의 대재난들을 모두 하나님께서 치유해주시려 그러시는거라고 정신승리하라 내몰려지는 것이 성서에서 말하는 피조물로써의 인간의 운명이라고 생각하니 너무도 서글펐다.


그래도 본서를 읽을 때 보다 다 읽고나서 곱씹다보면 치유서로서도 그렇지만 성경도 문학성이 남달랐구나 하고 여겨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ONE PAGE 정리 기술
다카하시 마사후미 지음, 김정환 옮김 / 김영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자신이 충분히 쓸모를 느낀 기술들의 노하우를 전달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