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서의 뿌리 (구약) - 오리엔트 문명과 구약성서
민희식.이진우.이원일 지음 / 블루리본 / 2019년 2월
평점 :
이 책에 대해서 성격이 어떤 책인지 다소의 정보는 지니고 독서를 시작했는데도 저작의 서술 성향이 다소 과하게 느껴졌다. 게다가 다 읽고 나서 떠올랐는데 이미 과거에 한 차례 읽어본 책이었다. 그런데도 내용의 90%가 기억에 없어서 독서를 마치기 전까지는 처음 읽는 책인 줄 알았다. 어쨌건 기억나지 않은 내용이라 처음 읽은 것과 다름없다. 저자의 서술 성향이 다소 과하게 느껴졌다는 이유는, 성서 그 중 구약을 비판하는 조의 책이란 건 알고 있었지만, 비판을 넘어 비아냥과 조롱에 가까운 서술을 하고 있어서다. 저자가 기독교도와 기독교의 신에게 감정이 다소 있는 건 아닌지 의심스러울 지경이었다.
저자가 창세기, 출애굽기부터 시작해 모세5경 전체와 역사서, 시가서, 예언서 모두를 비판한 것은 학자적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한 것이라 당연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표현이 도를 지나쳤다고 생각되었다. 여호와를 흡혈귀라고 한다거나 마귀에 다름없다고 표현한 대목을 보고는 도대체 이 책에 어떻게 장로교 목사들의 추천평이 있는 건지 의아스럽기도 했다. 해외 성서 연구가들이나 고고학자와 문화인류학자의 평이 좋은 것은 이 저작의 학술적인 근거들이 탄탄하기에 그렇다고 이해는 하지만 목사가 추천평을 한다는 건 이해가 쉽지 않다.
저자는 성서에서 케루빔은 이교도의 신들을 유입한 결과이고 여호와가 하나님의 회중에 나서서 재판한다는 대목을 히브리어 성서와 공동 번역 성서를 동원해 다신교적 해석을 내보이며 당시 가나안과 근동의 여러신들 중에서 여호와를 내세우기 위한 서술이었다는 대목도 이해는 가지만 저자가 그 전후로 여호와를 비아냥 거리는 대목들은 개인적인 감정이 다소 있어 보이기도 했다.
사사기 11:30~31 민수기 31:17~41 레위기 27:28~29 의 내용들을 근거로 또 아브라함에게 이삭을 제물로 바치라고 했다가 철회한 대목까지 포함해 여호와가 (인간의 생명을 제물로 받는) 인신공희의 신이었다는 대목은 구약을 읽으며 몇몇 대목에서는 나 역시 문제의식을 느끼기도 했고 어느 대목에서는 문제의식 없이 넘기기도 했었다. 저자의 표현은 과격하지만 아주 근거 없는 비판은 아니었다고 생각된다.
거룩한 진멸이라는 대목은 성경을 읽으며 가장 문제적인 대목이라고 생각되던 부분이기도 했어서 저자의 주장이 상당히 공감이 갔다. 여호와를 믿지 않는 사람들이 사는 지역은 공격해서 성노예로 삼을 남자 경험이 없는 어린 여자만 남겨두고 그 외의 남자와 여자는 남녀노소 할 것 모조리 죽이는 것을 저자가 비판하는 것은 당연해 보였다. 성경에 보면 그리 살려둔 성노예들 중에도 여호와에게 바치는 여자가 30명 이상이었는데 이들은 모두 인신공희의 제물이 되었다. 저자는 이에 대해 비판하면서 이런 지시를 했다는 여호와는 사탄이나 마귀와 다름없다고 비판하고 있다. 여호와가 만물의 창조자라기보다 유대민족의 민족신이기만 했다는 데는 더더군다나 전적으로 공감이 과거부터 갔던 바이다.
저자는 여호와라는 신이 이집트의 아톤 신과 조로아스터교의 신에 대한 상을 빌어 완성된 신의 상이라는 것이 최종 결론이라고 생각된다. 그 결론에 이르기 위해 모세5경에서부터 예언서까지 모든 구약 성서가 타민족들, 타국가들의 신화와 전승을 짜집기해 만들어졌다는 걸 사료적이고 고고학적인 근거들을 바탕으로 증거하고 있다. 사실 나라는 한 사람이 자신의 지적 한계상에서도 구약과 신약은 비판할 여지가 많았는데 학자가 작심하고 성경을 비판하니 학문적으로 뿐만이 아니라 논리적으로도 온전한 비판서가 나온 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성궤만 하더라고 고고학적 유물 발굴로 이집트와 아시리아의 귀족들과 왕가의 궤를 유대인들이 그대로 표절한데다가 베낀 주제에도 더 조악한 모조품을 만든 거란 걸 본서를 통해 알게 되었다. 고고학적 발굴로는 성서의 근본적인 인물들과 역사들이 하나 같이 위작이며 조작인 것이 이스라엘 고고학자들에 의해서도 드러나 있다. 유대인들이 장정만 60만 명, 여자와 아이까지 포함하면 200만 명에 육박하는 인구가 이집트에 거주했거나 탈출했다는 사료적 근거도 고고학적 유물도 흔적도 없다는 게 이스라엘 고고학자들의 연구 결과이다.
이스라엘 랍비도 고고학자도 역사학자도 심지어 이스라엘 교육부 장관까지도 “성서는 민족 설화집이며 역사서가 아니다”라고 선언하고 있고 “역사적 사실과 고고학적 근거에 입각한 진정한 이스라엘 역사서를 다시 써야 한다”고 나서는데 기독교 신앙인들만이 모든 성서 내용이 사실이라고 믿는 현실이 쉽사리 수긍이 가지 않기도 했다.
본서를 읽어보면 그간 성서는 신화라던 주장들이 이 시대까지 보편적 지식이 되지 않는 게 의아해질 지경이다. 홀린 사람들이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일독이 필요한 책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