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특파원리포트 - 풀빛신서 153
한국기자협회 / 풀빛 / 1997년 5월
평점 :
절판


 

 

 

5월 18일의 아픔을 경험하지 못한 젊은이들에게 지난 80년 광주의 항거는 어느덧 ‘슬픈 과거’가 되었다. 5 · 18광주민중항쟁은 우리 사회에 민주주의 의식과 자주정신을 불어 넣어주고 드높인 기념비적 사건이다. 광주민중항쟁이 일어난 지 37년이 되었다. 그때의 진상을 밝히려는 노력도 하였고 피해를 받은 사람들에게는 보상도 주어졌다. 반면에 군부의 주역들은 대통령도 되었지만, 국민의 심판을 받아 감옥에도 갔다. 그러나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미완의 과제들이 수두룩하다. 군부에 의해 왜곡된 광주의 진실을 믿어주지 않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폭도가 일으킨 사태’라고 주장하는 음모론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의 ‘임’이 북한의 김일성이라는 억측을 퍼뜨리는 사람도 있다. 우리 사회에는 아직 정치적으로 악용된 지역감정 등으로 인해 5 · 18광주민중항쟁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편견이 남아 있다.

 

5 · 18광주민중항쟁을 다룬 영화 <화려한 휴가>는 우리를 총소리와 사이렌 소리, 탱크 소리로 요란한 광주 도청으로 데려간다. 이 영화로 아무 죄 없는 광주 시민들이 짓밟혔다는 사실이 조금이라도 세상에 알려져서 다행스럽다. 그렇지만 귓전을 스치는 총소리에 공포를 떨어야 했던 시민들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는 부족하다. 총알이 나를 향해 날아오는 것 같은 공포, 군부의 무자비한 폭력에 짓밟힌 피해자들의 고통, 억울함 등을 영화로 다 표현하기는 어렵다.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보는 것’만으로도 한계가 있다. 역사는 읽혀야 한다. 5월의 광주 현장을 되살린 《5 · 18 특파원 리포트》(풀빛, 1997)는 우리가 결코 외면할 수 없는 역사의 진실을 담고 있다.

 

군부의 엄청난 위세 앞에 많은 국민, 그리고 언론은 고개를 숙여야 했다. 두려움에 떨어야 했다. 1980년 당시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서울 특파원으로 근무했던 헨리 스콧 스톡스(Henry Scott Stokes)는 5월 광주를 회상하는 글에 전두환‘Strongman’이라고 표현했다. 이 글을 우리말로 옮긴 역자는 ‘Strongman’을 ‘실력자’라고 번역했다.

 

 

우리는 광주를 당도하기 전에 여러 차례 검문소를 지났다. 군인들은 우리를 세우고 서류를 훑어보았으며, 우리가 기자들이라는 심재훈의 설명을 들었다. 그리고는 한 번 흘깃 쳐다보는 것이 전부였다. 만일 이것이 ‘실력자(Strongman)’ 전두환의 새 세상을 움직이는 모습이라면, 그의 힘은 그야말로 걸리적거릴 것이 없었다.

 

(헨리 스콧 스톡스, 38쪽)

 

 

스톡스는 광주를 포위한 전두환의 막강한 힘을 긍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Strongman’을 쓴 거로 생각하지 않는다. 광주의 모든 교통로와 연락망을 차단하고, 외부인의 출입을 불허하도록 군인들에 지시한 전두환의 존재감을 반어적으로 비판한 것이다. ‘Strongman’은 나쁜 뜻도 가지고 있는데, 그게 바로 ‘독재자’이다. 스톡스의 ‘Strongman’은 이중적 의미를 담고 있다. 독재자(Strongman)는 신문 검열을 강화하여 광주를 철저히 통제했다. 군부는 저항하는 광주 시민들을 ‘북한 꼭두각시’로 몰아세웠으나 그들은 북한의 지령을 받은 간첩도 아니고, 폭도도 아니고, 불순분자도 아니었다. 목숨을 걸고 광주의 현장을 사실 그대로 취재한 외신기자들의 증언은 광주 항쟁을 악의적으로 왜곡하는 세력의 주장이 얼마나 터무니없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

 

광주항쟁을 왜곡하는 세력들은 광주 시민군을 ‘북한의 지명을 받고 무장한 폭도’라고 주장한다.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시민군의 발포로 진압군이 방어 차원으로 맞대응했고, 총격전이 벌어진 것이다. 그런데 왜곡 세력의 주장은 거짓이다. 진압군의 발포가 있고 난 뒤 시민들이 생존을 위해 무기를 들었다. 2007년 국방부 과거사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에서 밝혀진 사실이다. 그리고 시민군이 북한의 지령을 받고 치밀하게 준비했다면 무기를 다룰 줄 모르는 대학생을 왜 동원했겠는가.

 

 

우리 셋이 그들의 거처로 들어가 만난 대학생 지도자들은 아이들에 불과했다. 몹시 지치고 대단히 어려 보이는 젊은이들로, 무기를 어떻게 다루어야 좋을지도 모르고 있었다. (중략) 내가 받은 인상으로는 이 젊은이들은 훈련이라고는 한 번도 받아본 적이 없었다. 그들이 거기에 선 채 졸다시피 하고 있을 때, 나는 문득 우리 중에 하나에게 일제사격이 가해지는 광경을 상상했다. 하지만 동시에 분명한 사실은 전두환으로서는 두려워할 것이 하나도 없다는 점이다.

 

(헨리 스콧 스톡스, 40쪽)

 

 

《5 · 18 특파원 리포트》를 일독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이유가 있다. 이 책에 위르겐 힌츠페터(Jürgen Hinzpeter, 1937~2016)의 글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힌츠페터는 광주항쟁의 참상을 영상으로 기록해 전 세계에 알린 독일 출신의 언론인이다. 그가 진압군의 삼엄한 감시를 뚫기 위해 영상을 촬영한 필름을 과자 상자 속에 감춘 일화는 유명하다.

 

《5 · 18 특파원 리포트》의 1부는 외신 기자들의 글, 2부는 국내 기자들의 글이다. 이들 모두 광주에 직접 가서 취재한 현장 기자들이다. 광주항쟁 당시 조선일보 사회부에 활동했던 서청원 자유한국당 의원과 김대중 조선일보 고문의 글도 수록되어 있다. 김대중 고문은 조선일보 사회부장으로 광주항쟁운동 취재를 주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계엄 당국의 통제를 이겨내지 못했고, 광주를 취재한 것들을 신문지에 공개되지 못했다. 김대중 고문은 그 날을 회상하면서 광주항쟁을 제대로 보도하지 못한 자신의 결정에 후회한다고 밝혔다.

 

이 책에 광주항쟁과 함께 잊어서는 안 될 사람들이 언급된다. 윤상원과 전옥주. 윤상원은 시민군 대변인으로 활동했고, 전옥주는 ‘광주의 목소리’가 되어 항쟁이 있던 날 거리시위를 펼쳤다. 특히 윤상원을 바라보는 스톡스와 브래들리 마틴(Bradley Matin) 기자의 시선이 흥미롭다. 스톡스는 윤상원을 ‘순수한 제퍼슨(Thomas Jefferson, 1743~1826, 미국의 대통령) 민주주의자’로, 브래들리 마틴은 ‘과격한 항쟁 투사’라고 말한다.

 

5 · 18광주민중항쟁은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기 위한 수많은 시민의 땀과 눈물이 담겨 있는 소중한 역사이다. 혼란 속에서도 질서를 유지했던 이름 없는 이들의 노력은 자체로 평가받아야 한다. 그런데 민중항쟁을 그저 ‘과거의 불행’으로 치부하고, 자꾸 잊으려고 한다. 민중항쟁을 기념하는 것조차 이해하지 못한다. 민중항쟁은 다시 떠올리기 불편한 역사의 비극이 아니다. 불편한 역사를 잊어버린다고 해서 세상이 좋은 쪽으로 달라진 점이 있었던가. 역사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 없는 사회는 절망과 좌절의 역사를 다시 경험하게 된다.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으려면 ‘광주의 진실’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광주의 진실’을 기록한 《5 · 18 특파원 리포트》는 20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에게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지혜와 용기를 알려준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5-18 21: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7-05-19 06:43   좋아요 0 | URL
팩트 폭력.. 맞습니다. 이미 지나간 일이지만 이번 대선 결과를 확인하면서 대구 경북에 샤이 자유한국당이 많이 있다는 점을 알았습니다.

AgalmA 2017-05-18 22:0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오늘 jtbc에서 나치 만행을 부정한 영화 [나는 부정한다]와 광주 항쟁을 연결한 거 괜찮더군요.
당시 전남대병원 레지던트였던 분 인터뷰도 좋았고. 차례로 진료했기 때문에 안타깝게 사망한 사람에게 죄책감을 아직 가지고 있다고 말씀하시는 거 듣고, 전두환 이하 군부들 참 여러 사람 죽을 때까지 고통스럽게 한 죄인들이다 싶었습니다.

cyrus 2017-05-19 06:48   좋아요 0 | URL
어제가 특별한 날인만큼 뉴스룸이 어떻게 진행될지 기대했습니다. 본방사수 잘했다고 생각했습니다. ‘최초 발포자‘를 밝혀야 합니다. 명령을 따를 수밖에 없었던 군인들 중에 시민들을 죽인 기억을 잊지 못해 트라우마를 겪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