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방명:서적 백화점
위 치(A-):도곡역에서 나와 개포 고등학교 방향으로 가다 개포고 지나서 맞은편 상가 건물 지
하에 위치(지하철역으로 가면 찾기가 불편함) 선능역에서 462번을 타고 개포고에서
하차하면 대각선 방향 상가건물 지하에 위치
단,이글 보시고 찾으실분은 다른 헌책방사이트를 검색하시고 찾아가세요
평 수(C): 40평 규모(단 헌책방은 지하매장에서 올라가는 골방에 약 5평 규모임)
다양성(B): 평범한 편(책방의 1/3은 문학및 기타 비소설,1/3는 아동용책및 참고서류 1/3은 인문
서적류)
재고량(C):평균적이나 회전이 빠른지 책들은 자주 들어오는 편
편이도(B):책 찾는데 불편함이 없으며 분류가 대략적임
T E L ☎ : 02-577-9876
도곡동 서적 백화점은 처음에는 조그마한 동네 헌책방으로 시작하였으나 현재는 도서 할인 매장으로 유명한 곳으로 신학기때는 참고서를 사기위해 강남의 여러지역에서 책을 싸게 사기위해 많은 학부모님들이 오시는 곳으로 유명한 곳이죠.
이곳 쥔장은 털복숭이 노총각 아저씨로 주로 개량 한복을 입고 있는 분으로 다른 헌책방과는 달리 매출 규모가 커서인지(사실 헌책방이라고 하기에는 머시기 한곳임)직원분들이 많아 주인장과는 이야기를 할레야 할수 없는 곳입니다.
제가 이 책방을 찾은 것은 숨어있는 책이라는 사이트에서 보고 가게 됬느네 처음에은 지하에 있어서 좀 찾기가 어려웠던 기억이 납니다.지하로 들어가니 워낙 매장이 넓고 책이 많아 야 노다지를 캐겠구나 하고 책을 여러권 샀다가 모두 새책가격(물론 할인가지만)을 불러 깜작 놀랐던 기억이 나는데 헌책은 매장에서 올라가는 자그만한 골방에만 있으니 착오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헌책방이 있는 곳은 약 5평 규모이나 창고가 따로 있어선지 책을 편하게 찾을수가 있읍니다.제 기억에는 인문서적류가 신동스러운 느낌으로 턱하니 있는데 가격은 대게 정가의 50%선인것 같습니다.학생 참고서류는 그닷 많지 않은 것 같고(아마도 본 매장에서 참고서를 할인해서 팔고 있기 때문으로 여겨짐) 유아용 영어 책들이 많은편 입니다.
소설류도 다양하지는 않지만 꽤 있는 편으로 여기서 황금가지판 듄,까치 뤼팡등 여러권을 정가의 50%선에서 샀는데 책의 상태가 거의 신품같아서 매우 만족한 편이었읍니다.(책들이 헌책이라가 보다는 거의 새책 같은 수준이지요)
매장내 진열된 헌책의 양은 일반 헌책방 수준이지만 회전이 빨라서인지 다음에 사지하고 가버리면 다음에는 없을 확률이 높은 매장이니 원하는 책이 있으면 바로 사시는 것이 정신 건강에 유리 합니다(음 그러고 보니 나도 무라카미 류의 오분후의 세계를 보고 다음에 사야지 했다가 못산 쓰라진 경험이 있네요 ㅠ.ㅠ)
도곡동 서적 백화점은 강남에 사시거나 헌책방을 자주 찾는 분아라면 가셔도 후회하지 않을 곳이라고 여겨집니다.
아래는 신문에 난 기사 내용입니다.읽으신 분은 아래를 펼쳐 보세용!!
>> 접힌 부분 펼치기 >>
새 책방 속의 헌책방’ 21년째 생존…총각사장 올해안 고서박물관 꿈
헌책방 순례/서적백화점
책방의 서가는 일종의 길. 수많은 사람들이 열 지어 지나며 책을 빼어 형태를 허물고 주인은 똑같은 또는 새로운 것으로 그 자리를 메운다. 그들이 허물고 다시 쌓는 것은 책이 아니라 꿈인 것. 그러기에 사람의 행렬과 허물고 쌓음이 끊임없지 않겠는가.
서적백화점(577-9876, 강남구 개포동 168-8 석일빌딩)은 곳곳이 파헤쳐진 도로 공사판 같다. 새학기가 겹치기도 했거니와 책의 흐름이 빨라 그런 느낌이 더하다. 몇몇 대형서점이 도시에 군림하는 터에 이 책방이 늠연하게 버티는 까닭은 무엇인가. 한마디로 박리다매다. 싸게 팔 수 없는 것을 빼고는 모두 싸게 팔고 그 한도는 인터넷서점과 비슷하다.
주인 정도현(43)씨나 열다섯 직원들은 책의 흐름에 응해 끊임없이 움직여 여벌의 틈이 없다. 책과 손님과 일체가 된 흐름은 책의 농도나 매출의 밀도를 반영하듯 끈적끈적하여 국외자가 끼어들기 민망하다.
사우나처럼 후끈 달아오른 250평 공간의 한켠. 문과 동시에 계단을 오르면 ‘새책방 속의 헌책방’이다. 40평 공간에 각종 중고교생용 참고서와 어린이책이 3/4을 차지하고 그 책의 뒤편 또는 나머지 공간에 일반 헌책이 그림자처럼 존재한다. 학부모와 자녀들이 따로 또 함께 부산하게 책을 고르고 계산한다. 학기초가 지나면 평상시의 표정으로 돌아갈 터이다. 헌책방 뒤쪽 책창고에서 책뭉치 위에 앉은 채 정씨와 마주했다.
“신간과 헌책은 상보적인 관계입니다. 없는 책을 서로 보완하고, 얇은 주머니 사정을 보완해주죠.” 윤팔병(현재 아름다운 가게 공동대표)씨한테서 독립해 헌책방을 차린 것은 85년. 말죽거리 은광여고 골목에서 시작해 89년 이곳 개포고등학교 옆으로 이사하면서 새책을 겸하게 되었다. 지금은 관계가 역전돼 헌책방은 매출의 10% 안팎에 지나지 않는다.
“새책은 정해진 값에 물건이 오간다면 헌책은 덤으로 정이 오간다고 할까요. 헌책 손님은 느낌이 각별해요. 단골관계가 생기는 것도 헌책입니다. 손님이 무엇인가 건져가면서 흐뭇해하는 모습이 보이고 저 역시 덩달아 기분이 즐거워지죠.”
새책은 대형서점, 인터넷서점, 홈쇼핑, 마트 등이 무한경쟁하는 분야. 50~100곳의 동네책방과 맞먹는 그들과 겨루려면 값이나 구색에서 죽을 힘을 다해야 버틴다. 그나마 한숨을 돌리는 쪽이 헌책방이다. 20여년의 노하우가 있으려니와 속도가 느리지만 열심히 하는 만큼 표가 나는 정직한 분야다. 새책을 출납하고 손님을 응대하느라 잔뜩 긴장된 마음을 누그러뜨리는 공간도 이곳이다.
하지만 새로 뽑은 직원은 이곳을 뜨아해한다. 힘들고 지저분하다는 선입견 때문. “헌책 10권을 재활용하면 나무 한그루를 살린다”면서 직원을 설득하고 손님들한테 홍보해 지금껏 그 공간을 유지한다. 영수증에 “헌책방문 매입합니다”란 문구를 찍어 발행하고 책값 산정은 정씨 자신이 직접해야 할 때가 많다. 매출만 따져서는 결코 유지할 수 없다. 헌책시장이나 정씨 자신이나 출발한 곳에서 한참 멀리 와 있는 셈이다.
미혼인 그는 올해 안에 ‘신방’을 꾸민다. 문막에서 10~15분 거리에 100평 규모의 고서 박물관을 열어 옛 교과서, 각종 초판본, 희귀본을 전시할 계획이다. 20여년 연애를 해온 고서들이 일정한 테마를 갖췄고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둘러보아 ‘느낌’을 가질 정도가 되었다는 판단이다.
과부는 은이 서말, 홀아비는 이가 서말이라는데, 우리 총각 사장은 웃음이 서말이다.
임종업 선임기자 blitz@hani.co.kr (한겨레 신문)
출처:www.hani.co.kr/arti/SERIES/20/104507.html
<< 펼친 부분 접기 <<
by cas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