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1980년대 사이버펑크
70년대는 아이디어의 고갈과 장르 판타지--상업화된 환상소설--의 팽창으로 인해 SF의 실험 정신이 위축되어 있었던 시기였고, 그 연장선상에 있던 1980년대 초의 상황은 60년대 초의 그것과 놀랄만큼 닮아 있었다. 폭주라고 밖에는 형용할 길이 없는 테크놀러지의 급격한 발달은 인류 역사상 일찍이 유례를 볼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한 변화가 다가오고 있음을 예고하고 있었고, 변화의 문학을 자처하는 ‘과학소설’ 또한 새로운 방법론을 갈구하고 있었던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보급에 의한 PC 혁명이 몇년 후 현실로 다가왔을 때, 윌리엄 깁슨과 브루스 스털링을 위시한 젊은 작가들은 이런 시대상황에 걸맞는 SF상(像)을 재정립하기 위해 상호 연대를 모색하고 있었다. 초기에는 미국 전역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는 각종 SF 컨벤션이 접촉의 장을 제공해주었지만, 뉴웨이브의 유산인 창작 워크샵 및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견 교환이 활성화되면서 이들의 활동은 점점 뚜렷한 방향성을 획득하기에 이르렀다. 사이버펑크(Cyberpunk)는 이런 과정을 통해 탄생했다.
사이버펑크 SF는 1984년 윌리엄 깁슨의 장편 ‘뉴로맨서(Neuromancer)’의 출간에 의해 새로운 전기를 맞는다. 그의 처녀 장편이자 사이버스페이스(Cyberspace) 3부작의 1부에 해당하는 이 작품은 주요 SF상인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비롯, 최우수 신인에게 주어지는 P. K. 딕 기념상 등을 석권했고, SF계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사이버스페이스와 사이버펑크라는 단어를 회자시켰다. 80년대의 SF를 주도했던 사이버펑크 운동은 바로 이 장편에서 시작되서 이 장편으로 끝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이버펑크는 사이버네틱스와 무질서, 혼란를 뜻하는 펑크를 결합한 조어이며, 컴퓨터 공학, 인공지능, 유전 공학, 전자 공학 등이 비약적으로 발달한 가까운 미래를 배경으로 한 일련의 SF 소설을 가리킨다. 사이버스페이스란 전세계의 수천만의 컴퓨터가 결합된 인공적 우주를 의미하고, 깁슨의 주인공들은 매트릭스 시뮬레이터(Matrix Simulator)라는 일종의 변환 장치를 통해 각종 데이터가 기하학적 도형으로 시각화된 가상 현실내로 몰입(jack in)한다. 개개의 아이디어 자체는 특별히 새롭다고 할 수 없지만, 아이디어와 현실 사회를 결합하는 수법의 참신함과, 현란하다는 표현이 어울리는 파격적 문체의 매력은 깁슨을 거장의 대열로 끌어올렸다. 원래 깁슨의 작풍을 묘사하기 위해 쓰여졌던 사이버펑크란 용어가 SF의 하위 장르가 되고, 나아가서는 하나의 사회 현상으로까지 발전하는 데는 5년도 채 걸리지 않았다. (그러나 할리우드의 경우에는 <매트릭스>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10여 년이 더 걸렸다.) LDG가 지향했지만 결코 성공시키지는 못했던 ‘SF의 생활화’를 사이버펑크 운동이 완전히 이루었다면 과장이 되겠지만, 사이버펑크가 뉴웨이브에 필적하는 80년대 SF의 경향이었다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1990년 하드SF 르네상스
21세기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 1990년대의 SF를 규정하는 키워드는 하드 SF이다. 저명한 앤솔러지스트이자 평론가인 데이빗 G. 하트웰이 ‘혁명’으로까지 지칭하고 있는 기술주의적 SF의 부활은 멀게는 70년대에 데뷔한 과학자 출신 작가들의 꾸준한 작품활동이 결실을 맺은 결과이기도 하고, 가깝게는 80년대 사이버펑크 운동의 기반을 이룬 정보 및 생명공학의 눈부신 발달이 우리의 일상생활을 지배할 정도로까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특히 1980년대에 영국 잡지 『인터존』 등을 통해 데뷔한 후 본격적으로 작가 활동을 개시하고, 1990년대 들어 전문 작가로 변신한 영연방의 작가들--영국의 폴 J. 맥컬리, 이언 맥클라우드, 스티븐 박스터, 에릭 브라운,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의 그렉 이건--의 작품은 기존의 하드 SF 개념을 일신하고도 남을 만한 파괴력을 내포하고 있었다.
현대 SF의 최첨단에 위치하고 있는 이들이야말로 완료형이 아닌 현재진행형으로 현대 SF를 규정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작가 그룹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한글로 읽을 수 있는 1990년대의 하드 SF소설은 아직 극소수에 불과하므로, SF팬들을 위해서도 체계적인 소개가 절실한 시점에 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출처:www.gehealthcare.com/krko/webzine/2003_fourth/human03.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960년대 뉴웨이브
황금시대를 구가하던 영어권, 특히 미국의 SF는 1960년대에 심각한 매너리즘의 늪에 빠졌다. 그 원인의 일단은 본래 학제적인 융합 장르로서 발전해 왔던 SF를 무리하게 규격화하려는 시도에 있었다. 고정 독자층의 확보를 원하는 편집자들은 인기작가들에게 틀에 박힌 아이디어 스토리를 양산할 것을 암암리에 강요했고, 독자들은 그 결과를 외면했던 것이다. 한편 영국에서는 60년대 초반부터 신예 작가이자 SF 전문지인 <뉴월즈>지의 편집장이었던 마이클 무어콕을 중심으로 이른바 뉴웨이브 운동이 시작되고 있었다. 뉴웨이브는 우주공간으로 대표되는 ‘외우주(外宇宙)’에 치중하던 과거의 작풍에서 벗어나 인간의 내면을 의미하는 ‘내우주(內宇宙)’로 눈을 돌리자는 주장이었다. 이 운동의 주창자인 동시에 최대의 이론가였던 작가 J. G. 발라드의 말에 따르면 내우주란 ‘외부의 현실과 내부의 정신이 만나고, 융합되는 장소’를 가리킨다. 발라드의 정의가 무엇을 의미했든 간에, 이 운동의 이면에 흐르고 있던 것은 문학성의 강화였다. 뉴웨이브 작가들은 심리학과 기호학으로 대표되는 인문 과학적 주제를 도입했고, 그 결과 주제 전달 매체로서의 세련된 스타일이 강조되었다. 뉴웨이브 운동은 황금시대가 끝나고 매너리즘에 빠진 정체 1960년대의 장르SF가 문학적으로 자각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 1950년대의 올드웨이브와 1980년대의 사이버펑크 운동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로저 젤라즈니(1937-1995)는 미국 뉴웨이브가 낳은 최고의 스타 작가이며, 이지적이고 세련된 문체, 이국적이며 현학적인 아이디어, 신화와 SF의 결합 등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탁월한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신화적 비전과 SF 특유의 사고(思考) 실험을 융합시킨 화려한 작풍은 후세의 작가들에게까지 깊고 넓은 영향을 끼쳤다.

1970년대 라이프스타일SF
전위적인 실험성이 강했던 뉴웨이브는 60년대 말 결국 장르 내부로 통합되는 형태로 소멸했다. 그러나 뉴웨이브가 야기한 충격은 더 확대되고 일반화된 형태로 70년대의 SF에 반영되었으며, 특히 히피 문화를 위시한 각종 서브컬처로 상징되는 60년대의 동시대(同時代) 감각은 70년대 SF의 주류였던 ‘노동절 그룹(Labor Day Group; LDG)’에 의해 계승되었다.
LDG란 미국의 노동절--9월의 첫째 월요일--에 수여되는 미국 SF계의 최대 행사인 휴고상의 후보에 자주 올랐던 젊은 작가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기성 작가의 대열에 낀 뉴웨이브파가 70년대의 감성적인 SF 작가들을 비판하기 위해 만들어낸 용어이기는 하지만, 일명 라이프스타일(생활양식) SF라고도 불리는 이들 작품의 공통점을 표현하기 위해 자주 쓰인다. 여기서 말하는 생활양식이란 등장인물의 생활양식인 동시에 작가와 독자의 그것을 아우르며, TV 드라마나 영화 등을 통해 미국 대중문화의 한 요소로서 완전히 자리잡은 SF의 위상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키워드이다. 우주선, 초광속 항행, 양자역학, 인류의 파멸, 평행 우주, 시간여행 등 기호화된 SF적 요소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이들에게 첨단 과학기술은 더 이상 경이로움이나 내면화의 대상이 아니었고, TV나 인공위성처럼 ‘언제나 그곳에 있었던’ 환경의 일부에 불과했다.
그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인간의 위상을 각양각색의 시점을 통해 묘사한 것이 LDG이다. 70년대 SF의 또 하나의 특징은 장르의 구획화(Compartmentalization)이다. 장르의 규격화 및 분화를 의미하는 이 현상은 과거 뉴웨이브가 내포했던 자기부정성에 대한 상업주의적 반작용이라고도 할 수 있다. 황금시대에 확립되었던 SF의 각종 테마는 이 시기에 각종 하위 장르의 형태로 재편성되었고, 출판사들은 이 차별화 전략에 의해 고정 독자층의 확보할 수 있었다. 이 시점에서 많은 SF 작가들이 좀더 자유로운 창작 분위기를 찾아 인접 장르인 판타지로 빠져나갔고, 결과적으로 80년대에 환상문학이 크게 번영하는 계기가 되었다. 전통적 SF나 뉴웨이브 어느 쪽의 대의에도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했던 이 경향에 대한 반발로 과학적 리얼리티를 중시하는 하드 SF가 재출현한 것은 SF팬들에게는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하드 SF는 캠벨 스쿨의 문화적인 한계를 그대로 이어받고 있었고, 문학적 인프라가 취약했던 탓에 결국 새로운 하위 장르로서의 토대를 다지는 것만으로 만족해야 했다.
(출처:www.gehealthcare.com/krko/webzine/2003_fourth/human05.html)

SF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F연대기-탄생에서 르네상스까지는 SF평론가 강수백님이 2003년 GE메디칼 시스템 코리아에 쓴 글입니다.

pic

1926년 분기점
<어메이징 스토리즈>는 룩셈부르그 출신의 이민자인 휴고 건즈백이 미국에서 발행한 세계 최초의 상업 SF잡지이며, 대중문학 장르로서의 과학소설은 이 잡지가 창간된 1926년 4월을 기점으로 시작되었다고 해도 무방하다. 참고로 건즈백 이전의 고전 SF는 보통 프로토[原] SF라고 지칭된다. 프로토 SF란 글자 그대로 SF의 프로토타입을 의미하는 비평적 용어이며, 후세에 나온 여러 SF소설의 테마 및 원형(元型)을 제공했던 작품들을 가리킨다. 흔히 ‘SF의 아버지’로 불리곤 하는 미국의 에드거 앨런 포, 영국의 H. G. 웰즈와 아서 코난 도일, 프랑스의 쥘 베른 등은 서로 미묘하게 다른 문학적 성향과 방법론을 구사한 프로토 SF소설들을 발표함으로써 건즈백이 지향했던 과학 계몽주의적 SF에 큰 영향을 끼쳤다. 프로토 SF는 SF와 판타지가 아직 완전히 분리되지 않았던 시절의 활력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며, 세련되고 극도로 세분화된 21세기의 현대 SF에서조차 이들 19세기의 작가들의 영향을 읽을 수 있을 정도로 SF사(史)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940년대~50년 황금시대
1930년대 말 미국은 뉴딜 정책의 성공에 힘입어 기나긴 대공황의 늪에서 조금씩 빠져나오고 있었고, 펄프 잡지를 중심으로 근근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던 SF계에서도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자극받아 고전에 해당하는 걸작들이 속속 빛을 보고 있었다. 신기한 아이디어의 확장에만 주력했고, 문학적 정체성 따위는 부차적인 것에 불과했던 30년대의 건즈백류(流) SF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은 사람은 SF잡지 <어스타운딩 스토리즈>의 편집장으로 취임한 존 W 캠벨 Jr.였다. 켐밸은 SF소설의 중심이 되는 아이디어가 신기함 뿐만 아니라 과학적/사회적인 정합성(整合性)을 가지고 있을 것을 요구했고, 많은 작품의 배경이 되었던 수많은 아이디어를 직접 작가들에게 공급했다. 과학에 대해 경이감 뿐만 아니라 이지적이고 현실적인 접근 방법을 택했다는 점에서 그의 접근방식은 현대 SF의 초석이 되었으며, 외삽법을 통해 현실 세계의 연장선상에서 미래를 예측하려고 했다는 점에서는 쥘 베른의 정신적인 후계자라고 할 수 있다. 그가 발굴한 시어도어 스터전, 아이작 아시모프, A. E. 밴 보그트, 클리포드 시맥, L. 스프레이그 디 캠프, 잭 윌리엄슨 등 1940년대를 풍미했던 거장들 모두가 이 ‘캠벨 스쿨’의 졸업생들이고, 하인라인과 아시모프는 이들 중에서도 우등생의 이름에 걸맞는 뛰어난 작가였다. 이 두 작가에 과학자 출신의 영국작가 아서 C. 클라크를 합쳐서 황금시대의 ‘3대 거장(Big Three)’이라고 부른다.

(출처:www.gehealthcare.com/krko/webzine/2003_fourth/human05.html)


SF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오리엔트 특급살인 아가사 크리스티
2 메소포타미아의 죽음/메소포타미아의 연속살인 아가사 크리스티
3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아가사 크리스티
4 예고 살인 아가사 크리스티
5 무죄의 시련 아가사 크리스티
6 애크로이드 살인사건 아가사 크리스티
7 테이블위의 카드 아가사 크리스티
8 왜 에반스에게 부탁안했지 아가사 크리스티
9 화요일클럽의 살인 아가사 크리스티
10 주머니속의 호밀 아가사 크리스티
11 애국살인/ 크리스티 아가사 크리스티
12 0시를 향하여 아가사 크리스티
13 프랑크푸르트행 승객 아가사 크리스티
14 ABC살인사건 아가사 크리스티
15 끝없는 밤 아가사 크리스티
16 구름속의 죽음 아가사 크리스티
17 패딩턴발 4시 50분 아가사 크리스티
18 백주의 악마 아가사 크리스티
19 나일강의 죽음 아가사 크리스티
20 세번째 여자 아가사 크리스티
21 스타일장의 괴사건 아가사 크리스티
22 세븐다이얼의 비밀 아가사 크리스티
23 쥐덫 아가사 크리스티
24 깨어진 거울 아가사 크리스티
25 독이 든 쵸콜렛 안소니 버클리 콕스
26 말타의 매 더실 해미트
27 Y의 비극1 앨러리 퀸
28 Y의 비극2 앨러리 퀸
29 환상의 여인/ 아이리쉬 월리엄 아이리쉬
30 지푸라기 여자 카트린 아를레이
31 사라진 남자 B.프리멘틀
32 죽음과의 약속 아가사 크리스티
33 피의 수확 아가사 크리스티
34 푸른 열차의 죽음 아가사 크리스티
35 N인가 M인가 아가사 크리스티
36 거대한 잠 레이몬드 챈들러
37 호그연속살인 월리엄 데안드리아
38 황제의 담배케이스 존 딕슨 카
39 여자에게 맞지않는 직업 P.D. 제임스
40 빨강집의 비밀 A.A. 밀른
41 노랑방의 비밀1 가스통 루르
42 노랑방의 비밀2 가스통 루르
43 트렌트 최후의 사건 E.C. 벤틀리
44 기묘한 신부 E.S 가드너
45 상복의 량데뷰 월리엄 아이리쉬

46 어둠의 소리 이든 필포츠
47 해골성 존 딕슨 카
48 필립 마로우의 우수 레이몬드 챈들러
49 셜록홈즈의 모험1 코난 도일
50 셜록홈즈의 모험2 코난 도일
51 추운나라에서 온 스파이 존 르 카레
52 파일 7 월리엄 맥기번
53 멜랑콜리의 묘약 레이 브래드버리
54 주교살인사건/승정살인사건 S.S 반 다인
55 연속살인사건 존 딕슨 카
56 나이팅게일의 수의1 P.D. 제임스
57 나이팅게일의 수의2 P.D. 제임스
58 검은탑1 P.D. 제임스
59 검은탑2 P.D. 제임스
60 모르그가의 살인 에드거 앨런 포우
61 기나긴 이별1 레이몬드 챈들러
62 기나긴 이별2 레이몬드 챈들러
63 어떤살의 P.D. 제임스
64 브라운신부의 동심 G.K. 체스터튼
65 기암성 모리스 르블랑
66 괴도신사 루팽 모리스 르블랑
67 피부밑의 두개골1 P.D. 제임스
68 피부밑의 두개골2 P.D. 제임스
69 죽음의 맛1 P.D. 제임스
70 죽음의 맛2 P.D. 제임스
71 부자연스러운 죽음 P.D. 제임스
72 셜록홈즈의 추억1 코난 도일
73 셜록홈즈의 추억2 코난 도일
74 검은 고양이 에드거 앨런 포우
75 연속살인사건 존 딕슨 카
76 타임머신 H.G. 웰즈
77 스위트홈 살인사건1 크레이그 라이스
78 스위트홈 살인사건2 크레이그 라이스
79 아기는 프로페셔날 레니 에어드
80 아기는 프로페셔날 레니 에어드
81 타인의 목 조르쥬 심농
총 81권/ 5권 보유중(미보유:76)

by caspi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09-11-20 19: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구한 책들..
2 메소포타미아의 죽음/메소포타미아의 연속살인 아가사 크리스티
5 무죄의 시련 아가사 크리스티
8 왜 에반스에게 부탁안했지 아가사 크리스티
9 화요일클럽의 살인 아가사 크리스티
23 쥐덫 아가사 크리스티
24 깨어진 거울 아가사 크리스티
27 Y의 비극1 앨러리 퀸
28 Y의 비극2 앨러리 퀸
29 환상의 여인/ 아이리쉬 월리엄 아이리쉬
30 지푸라기 여자 카트린 아를레이
33 피의 수확 아가사 크리스티
36 거대한 잠 레이몬드 챈들러
37 호그연속살인 월리엄 데안드리아
38 황제의 담배케이스 존 딕슨 카
40 빨강집의 비밀 A.A. 밀른
43 트렌트 최후의 사건 E.C. 벤틀리
44 기묘한 신부 E.S 가드너
45 상복의 량데뷰 월리엄 아이리쉬
46 어둠의 소리 이든 필포츠
47 해골성 존 딕슨 카
48 필립 마로우의 우수 레이몬드 챈들러
51 추운나라에서 온 스파이 존 르 카레
52 파일 7 월리엄 맥기번
53 멜랑콜리의 묘약 레이 브래드버리
55 연속살인사건 존 딕슨 카
65 기암성 모리스 르블랑
72 셜록홈즈의 추억1 코난 도일
73 셜록홈즈의 추억2 코난 도일
76 타임머신 H.G. 웰즈
79 아기는 프로페셔날 레니 에어드
 

1 셜록홈즈의 모험1 코난 도일
2 셜록홈즈의 모험2 코난 도일
3 루팽의 고백 모리스 르블랑
4 브라운 신부의 지혜 C.K. 체스터튼
5 팔점총 모리스 르블랑
6 프렌치 경감의 대사건   F.W.크로프츠 
7 벤슨 살인사건 S.S 반다인 
8 ~9로마 모자의 비밀 1.2 앨러리 퀸 
10 독쵸콜렛 사건 프랜시스 아일즈
11 딱정벌레 살인사건 S.S 반다인
12 흑사장 살인사건 존 딕슨 카
13 신데렐라의 함정 자프리조
14 클라이든발 12시 30분1 F.W.크로프츠
15 클라이든발 12시 30분2 F.W.크로프츠

16 처형 6일전 조너슨 라티머
17 말더듬이 주교 E.S.가드너
18 새벽의 데드라인 윌리엄 아이리쉬
19 미궁진 사건부 로이 비커즈
20 어두운 거울속에 헬렌 매클로이
21 즐거운 살인 줄리앙 사이먼스
22 강철도시 아이작 아시모프
23 움직이는 타겟 로스 맥도널드
24 카나리아 살인사건1 S.S 반다인
25 카나리아 살인사건2 S.S 반다인
26 눈먼탐정 캐러더스 어니스트 브래머
27 포튠을 불러라 베일리
28 이와 손톱 윌리엄 S. 밸린저
29 위험한 여로1 브랜드
30 위험한 여로2 브랜드
31 작은 독약병 샤럿 암스트롱
32 제 8지옥 스탠리 엘린
33 케닐 살인사건 S.S 반다인
34 법정밖 재판 헨리 세실
35 중간지대 /도중의 집1 앨러리 퀸
36 중간지대 /도중의 집2 앨러리 퀸
37 사이코 로버트 블록
38 흑거미 클럽 아이작 아시모프
39 여자 살인이야기1 프랜시스 아일즈
40 여자 살인이야기2 프랜시스 아일즈
41 살인 급행열차 자프리조
42 암흑의 왼손 어슬러 K. 르귄
43 검은탑1 P.D. 제임스
44 검은탑2 P.D. 제임스
45 가든살인사건 S.S 반다인
46 스카이 잭 토니 켄릭
47 사람의 덫 로저 L. 사이먼
48 사라진 시간 윌리엄 S. 밸린저
49 루윈터의 망명 로버트 리텔
50 주정꾼 탐정 에반 헌터

총 50권/50 권 보유중(미보유:0)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