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 유생들의 나날 1 - 개정판
정은궐 지음 / 파란(파란미디어)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7년에 나온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이 2010년도 알라딘 리뷰대회의 선정작으로 선택되었다.3년전 책임에도 불구하고 아마 올해 성균관 스캔들로 인기를 얻어서 판매가 좋아서 그랬지 않았나 싶다.

성균관 스캔들을 다 보지는 못했지만 원작과는 소소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을 찾는것도 재미있는데 일단 등장 인물만 놓고 보면 주인공인 가랑선준을 곧고, 심성이 착한 선비인 반면,드라마 성스에서는 곧고 심성이 착하지만 다소 까칠한 면이있어, 동료들과 잘 융화하지 못하는 좀 코믹한 인물로 묘사되고 있다.
대물윤희의 경우 원작에서 받은 느낌은 여성치고는 키가 크고(ㅎㅎ 그래서 남성으로 오해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이…),여성스러움을 간직하면서 남장 여인이라는 특성상 비밀을 간직해야 하기에 무언가 답답한 측면이 있는데 반해 성스에서는 자기 할말을 하는 당당함을 매력으로 하는 그래서 여장을 할 경우에도 남성 같은 당당함을 보여주고 있다.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을 재미있게 본 사람들이라면 당연히 드라마 성스를 보았겠지만 성스를 본 사람들이라면 원작 소설인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을 보면 드라마와 다른 또다른 재미를 느낄수 있을 것이다.

성균관 스캔들은 달달한 로맨스 소설이다.우리나라 로맨스 소설하면 솔직히 귀여니로 대표되는 이른바 인터넷 소설만이 얼핏 기억나는데 그 오글거리는 문장을 보고 책을 휙 던져버린 기억이 난바 있는데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은 그와는 달리 정조 시대를 배경으로 성균관이란 곳에 대한 작가의 자료 수집이 충실해서인지 유치한 하이틴 로맨스 소설이란 생각이 들지 않고 단숨에 읽을 수 있는 탄탄한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이 야야기의 주된 요소는 남장 여인이 남자들만 득시글 거리는 성균관에서 합숙 생활을 하며 사랑을 키워간다는 것이다.사실 이런 류의 이야기는 이미 소설로도 영화로도 많이 있다.고전으로는 너무나 공부하고 싶었으나 여성이라는 신분상의 제약으로 남장을 하고 공부를 한다는 양산백과 축영대를 작품이 있고(가만보니 내용이 좀 비슷하긴 하다),영화로는 빌리 와일더 감독의 뜨거운 것이 좋아라든가 축구가 하고 싶어 오빠대신 축구선수로 입학한다는 내용의 하이틴 영화도 있으니 뭐 새삼스러운 소재라고는 볼 수 없지만 여성의 사회적 참여가 가장 적었던 조선 시대의 성균관을 배경을 작가의 소설은 독자들로 하여금 분명 흥미를 자아내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작가가 로맨스 소설을 쓰면서도 의외로 당시 자료 수집을 탄탄히 했다고 느낀 것은 대물 윤희가 책 한 권을 열심히 필사하여 수고비로 몇 푼 받아 동생 약값에, 가족들 쌀이라도 한 줌 사다가 더 많은 돈을 준다고 하기에 거벽을 한다는 것이다.
유일하게 출세하는 길이 관원이 되는 것 밖에 없던 조선 왕조 시대에는 그 첫 관문인 과거가 제일 중요했고,그러다 보니 과거에 합격하기 위해서 수 많은 비리가 저질러 졌는데 세도가와 시험관이 결탁하는 것 뿐만 아니라 지금의 컨닝처럼 별아 별 컨닝 수단이 동원되었다.
숙종 실록을 보면 이런 글이 나오는데 성균관 앞 반촌(泮村)의 한 아낙이 나물을 캐다가 노끈이 땅에 묻힌 것을 발견하고 잡아 당겼다. 대나무 통이 묻혀 있었다. 대나무 통은 땅속을 통해 과거시험이 열리는 성균관 반수당(泮水堂)으로까지 연결되어 있었다. 부정행위자는 대나무 통을 매설하고, 통 속에 노끈을 넣은 것이다. 과장(科場)에서 시험문제를 노끈에 매달아 보내면, 밖에 있는 자가 줄을 당겨 시험문제를 확보한다. 그리고 답안지를 작성해 노끈에 묶어 보내는 수법이었다. 당국이 조사를 했으나, 범인은 잡을 수 없었다고 한다(숙종실록 31년 2월 18일)고 하나 조선 시대 역시 관리가 되고자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아던 것 같다
그외에도 남의 글을 베껴 쓰거나 다른 사람의 대리시험을 봐주는 차술차작(借述借作), 답안지를 바꿔서 제출하는 정권분답(呈券分遝), 시험장 바깥에서 답안을 미리 써 가지고 들어가는 외장서입(外場書入), 시험장을 경비하는 하급관리들이 드나들면서 응시자에게 답을 알려주는 이졸환면출입(吏卒換面出入)이 있었는데 하도 이런 부정이 많아서 적발시 가차 없이 처벌을 했는데 성스에도 선준이 이에 대해 항의하는 장면이 나오니 작가가 나름 충실히 당시 상황을 조사했던 것으로 보인다.

성균관 스캔들을 보면 마치 로미와와 줄리엣을 연상시킨다.로미와와 줄리엣의 가문이 철천지 원수였던 것처럼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에 등장하는 4명의 주인공 모두 당시 4색 당쟁하의 인물들이다.
영조와 정조가 탕평책을 하기 4색 당파의 인물들을 고루 기용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철저히 정치적으로 몰락해 있던 남인인 가난한 윤희와 당시의 실세인 노론 좌의정의 아들인 선준,권력에서 한발 물러나 있는 소론 대사헌의 아들 재선 및 나름 무당파로 자처하는 용하는 책 속에서는 서로 어울려 지냈지만 당시에는 철천히 원수 사이라 같은 당파외에는 철저히 혼인도 배제하고 여성들의 복식마저도 다를 정도라 윤희와 선준의 사랑은 실제에서는 불가능 하겠지만 작가는 이들을 한방안에 몰아 넣고 힘든 그들의 사랑을 자연스럽게 그려내고 있다.

하지만 작가는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을 달달한 로맨스만으로 끝낼 생각이 없었나 보다.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은 조선 시대의 피비린내나는 정쟁인 당쟁이라는 상황하에서 개혁정치에 앞장 섰던 정조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정조의 개혁마인드를 뒷받침할 성균관의 신진 활력소가 요소요소에서 을 곁들어 있다.어찌보면 좀 묵직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점(4색 당파 싸움과 정조의 개혁정치에 대한 요소)이 이 책을 단순한 로맨스 소설만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처음부터 단순히 로맨스 소설로 표방하기 보다는 성균관 유생들의 성장기라는 역사 소설에 로맨스를 가미한 소설이라고 마케팅을 펼쳤더라면 아마 지금보다도 더 높은 평가를 받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수작이었다고 생각된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