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광 ‘낙서문학사’ 자본과 문학의 불륜에 ‘풍자메스’



“시는 시화호처럼 썩었고, 소설은 폭격 맞은 산처럼 황폐해졌고, 수필은 문학이기를 포기했고, 희곡은 연극의 노예가 되었고, 평론은 출판사의 애인이 되었습니다.” 문학에 대한 파산 선고 같다. 이는 곧 출간될 김종광씨(35)의 새 소설집 ‘낙서문학사’(문학과지성사)에 수록된 ‘낙서문학사 창시자편’에 나오는 말. 낙서문학라는 장르를 탄생시킨 ‘유사풀’이란 사람의 발언이다.

이어지는 단편 ‘낙서문학사 발흥자편’과 더불어 작가는 2015년쯤 소위 본격문학을 제치고 문학의 왕좌에 오를 낙서문학의 전사(前史)를 앞당겨 쓰고 있는 것이다. 두 편의 연작소설은 가상 풍자소설 형식으로 쓴 현 단계 문학사회학이라 할 만하다.

작가가 작금의 문학 현실에 대해 반어법과 신랄한 풍자의 메스를 들이대는 이유는 작가·재생산·수용을 둘러싼 모든 게 돈과 권력, 협잡과 공모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어느 판이나 그렇겠지만 문학판도 이전투구란 말요.”(‘낙서문학사 발흥자편’)

예컨대 유사풀은 25살에 요절을 택함으로써 스스로 신화화되고 낙서문학을 살려낸다. 기존 문단에 대한 환멸 또는 기존 문학사에 대한 전복의 의지로 가득찬 그는 등단·데뷔를 ‘자격증 획득’이라 비꼰다.

낙서문학사의 발흥자인 ‘성철호’는 “가난한 놈들의 전유물인 문학”의 현실 속에서 “거절할 수 없는 원고료” 때문에 낙서문학에 입문한다. 낙서문학 전문지는 사재기를 통해 잡지를 베스트셀러로 만들고, 언론은 낙서문학을 ‘까는’ 방식으로 대대적인 홍보를 대신해준다. 작품 고유의 ‘그 무엇’보다 문학을 둘러싼 관리와 조작이 문학의 무게를 재는 저울로 기능한다는 비판으로 읽힌다.

소설 속의 영민한 낙서문학 창시자·발흥자는 그런 문학 제도를 역이용해서 신격화된다. “일제시대 작가들을 공부하면서 갖고 있던 심각한 의문 하나가 있었습니다. 작품들이 별로 안좋은 것 같은데, 왜 그렇게 다들 유명하고 문학사에 길이 남을 수 있었을까. 왜 그런지 알겠더군요. 처음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시발자였기 때문에.”(‘낙서문학사 발흥자편’)

이를 두고 문학평론가 최혜실씨는 ‘해설’에서 “문학적 상상력만은 자본의 논리에 포섭되지 않아야 한다는 작가의 진중한 전언”이라고 적었다. 그의 ‘낙서문학사’ 연작은 적어도 낙서가 아닌 문학만큼은 미적 생산의 특수성, 근원적 자율성을 지켜내야 한다는 반어법의 작품이라는 풀이다.

작품의 메시지는 문학 현실에 대한 그의 문제의식인 것 같다. 낙서문학이 장차 문학의 왕좌 자리를 차지해도 자본의 논리에 포섭된 사이비 문학에 불과하므로 모름지기 이 시대의 작가라면 더더욱 ‘소설적인 그 무엇’에 헌신해야 한다는 자기다짐으로 보이는 것이다. 그는 소설만 써서 먹고 사는 ‘프로 소설가’이자 ‘소설 전사(戰士)’이다.

그렇다면 각 작품들의 ‘발화중심의 다중서사 미학’은 문학사에 대한 그의 도전처럼 여겨진다. 수록작 대부분은 여러 관계자들의 ‘증언’ 형식을 빌려 중심인물의 일대기·행적·풍경의 단면들을 파노라마처럼 펼쳐놓는다. 그 화자(話者)들의 수다는 중심인물의 전모를 재구성한다기보다 오히려 해체시키고 있다.

이에 대해 평론가 최씨는 “개인이 어쩔 수 없이 구성된 권력 안에 존재할 수밖에 없다면, 다양한 가치평가적 악센트를 통해 언어적 의사소통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 것도, 전위를 통해 진정한 윤리를 꿈꾸는 자들의 몫이 아닐까”라고 밝혔다.

작품집은 ‘율려 탐방기’ ‘낭만 삼겹살’ ‘김씨네 푸닥거리 약사’ ‘단란주점 스타크래프트’ ‘절멸의 날’ ‘쇠북공기전 망징패조편’ ‘조싼은 헤맨다’로 이어지면서 ‘김종광 상표’의 발랄한 상상력과 걸쭉한 입담을 뽐낸다. ‘경찰서여 안녕’ ‘71년생 다인이’ ‘모내기 블루스’에 이은 그의 네번째 작품집으로 이야기의 힘, 웃음을 빚어내는 풍자가 여전하다.

〈김중식기자 uyou@kyunghyang.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