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4세기에 걸쳐 독일의 J.에크하르트와 그의 제자 J.타울러, H.조이제를 중심으로 하여 주창된 신비주의 사상.
본문

N.쿠사누스, J.뵈메를 거쳐 독일 낭만주의 사상의 조류와 합류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 이래, 신플라톤파()에 뒤이은 신비주의 조류는 중세에도 단절되지 않았는데, 특히 독일에서는 도미니크수도회를 중심으로 12세기 무렵부터 신과의 신비적 합일()을 목표하는 신앙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지도자 속에서 위대한 설교자 에크하르트가 나타났던 것이다. 그는 영혼의 깊숙한 곳에 있는 성역(), 즉 ‘불꽃’에서 신과 하나가 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의 신비사상은 타울러조이제 등에게 전수되었다.

14세기 말에는 독일 신비주의의 영향으로 네덜란드의 데밴터에서 J.로이스부르크. G.그로테 등에 의하여 수도원제도에 따르지 않는 공동생활 형제회가 설립되었다. 이 단체에 속한 토마스 아 켐피스의 작품으로 알려진 《그리스도를 본받아》는 독일 신비주의가 낳은 대표적 작품이다. 이 단체는 또 ‘표현불능의 신’에 접근하려면 ‘무지의 지()’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가르친 쿠사누스를 배출하였다. 종교개혁 이후에도 내면적 신앙을 중시하는 독일 신비주의는 프로테스탄트 교회세속화에 불만을 느낀 사람들의 마음 속에 연면히 이어져 내려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