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호.... 영어책보다 국내서가 반값... 이런 경우 횡재한 느낌.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과 그리스인들은 모든 분야를 망라하는 거대한 도서관이라는 개념을 후대에 물려주었다. 로마인들은 여기에 건축학적 탁월함을 덧붙여 도서관이 중요한 건물이 되어야 한다는 개념을 후대에 유산으로 남겼다. 로마 시대 도서관 건물들이나 책들은 로마제국 말기의 정치적 격동 때문에 사라지고 말았지만, 로마와 그리스와는 전혀 동떨어진 문화권들 역시 도서관의 형태와 기능에 관한 독특한 개념을 발전시켜가고 있었다.
p.59 (기원전 3400년~기원후 600년)
16세기와 17세기 초반의 진열대 시스템은 영국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형식이다. 대학 칼리지에서 시작된 이 시스템은 전국의 사립 및 공립 도서관들로 퍼져 나갔다. 진열대의 배치로 도서관 공간이 작은 칸으로 나뉜 덕분에 열람자는 중세 수도원의 일인용 열람실과 엇비슷한 사적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각 칸은 도서관 안에 자리 잡은 작은 도서관이 되었다. 이 스스템은 나중에는 영국 이외의 지역에서도 ㅊ채택되었지만, 당시에는 비교적 제한된 지역에서만 채택되었다. 진열대 시스템 덕분에 이 장의 서두에서 설명한 중국 톈이거의 수납장 배치로 탄생한 공간과 놀라울 정도로 흡사한 공간이 만들어졌다. 영국 이외의 지역에서는 16세기 말 무렵에는 독서대형 도서관에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지만, 진열대 시스템으로 대체된 것은 아니었다.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등 유럽 대륙에서는 이후 수세기 동안 도서관 디자인의 지배적인 양식으로 자리잡게 되는 새로운 도서 배치 양식이 등장햇다. 바야흐로 '벽 시스템' 시대가 시작된것이다.
p.118 (16세기 도서관)
17세기에는 벽 시스템을 채택한 도서관 디자인이 꽃을 피웠고, 진열대와 도서관 알코브가 도입되었다. 17세기에 도서관 가구는 예상치 못한 변화를 맞았다. 벽시스템은 유럽 전역에 확산되었다. 18세기에는 이런 요소들이 한층 발전하여 알코브와 원형 도서관 같은 독창적인 형태가 탄생했다.
p. 150 (17세기 도서관)
계몽주의가 수도원 도서관에게 던진 도전은 지적인 분야를 넘어서 정치적 사회적 분야까지 버져 나갔다. 유럽 전역의 국가에서 수도원의 권력과 재산을 부러운 눈으로 쳐다보던 통치자들은 수도원의 재산을 빼앗아 자기 금고를 채우기 위해 개혁사상을 구실로 내세웠다. 건축 사조 역시 변화했다. 고고학은 고대 건축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내놓았고, 이런 견해는 다시 새로운 건축 설계 방식을 제시했다.
(중략)
18세기 로코코 양식 도서관들은 아주 특별한 시대를 대표한다. 17세기에 가브리엘 노데는 방문객이 정중앙에 서면 세상에 알려진 모든 책들이 책장에 꽂힌 것을 볼수 있는 도서관을 만드는 게 꿈이었다. 18세기 말에 이 꿈은 환상이 되었다. 인쇄 기술이 나날이 발전해 책 춮간 속도가 빨라졌기 때문에 아무리 큰 도서관을 지어도 출간된 책들은 전부 수용 할 수 없게 된 것이다. 방하나로 도서관을 만드는 시대는 끝이 나고, 건물 전체를 도서관으로 만드는 시대가 시작되었다.
p.207 ( 18세기 도서관)
유능한 건축가와 유능한 삿서들은 서로의 세계에 대해서 전문적인 안목을 키우려고 노력했지만, 무능한 사람들은 계속해서 상대를 헐뜯었다.
p.243
19세기에 영향력을 행사하던 건축의 핵심적 주제는 기능주의를 가장한 취향이라고 할 만하다. 참으로 공교로운 일이지만 20세기에 대해서도 똑같이 말 할수 있다. 흔히 사람들은 20세기의 도서관 시대정신으로 냉철한 합리주의를 꼽는다. 그러나 20세기 초에는 건축 일반, 특히 도서관 디자인과 관련해서 수세기전에 세워진 전통과 변덕스러운 유행이라는 제약이 완강하게 버티고 있었다.
p.247 (19세기 도서관)
사람은 책을 손에 들면 자연히 햇볕이 드는 곳으로 간다. 도서관은 거기서 시작된다. 책을 든 사람은 전등을 찾아 오십 걸음을 걸어가려 하지 않는다.
p.276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모더니즘 그리고 모더니즘에 수반 된 기능주의와 표준화에 대한 집착이 우세했다. 1980년대은 모더니즘 건축에 대한 확신이 위기를 맞자 건축가들은 다양한 길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극소수의 건축가들과 디자이너들은 종래의 유형학과 양식으로 회귀했지만, 대부분은 새로운 환경을 미딤돌 삼아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건축의 가능성을 탐색했다. 건축가들은 다양한 접근 방식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확력을 얻었고, 건축가들은 동일한 잣대로 평가하기에 어려워졌다.
p.286 (20 세기 도서관)
선택권이 주어딘다면 열람자들은 대부분 다른곳에 보관된 책을 찾아달라고 신청하는 것보다는 개가식 서가에서 직접 책을 찾는 방식을 선호 할 것이다. 개가식 서가에서는 열람자가 서가를 훑어보다가 의도치 않았던 분야인데도 관심이 끌리는 책을 꺼내보면서 개가식 서가가 아니었다면 결코 생각이 미치질 않았을 주제에 몰입하는 여유를 누릴수 있다. 다시발하면 개가식 서가는 우리를 독서의 즐거움을 처음으로 맛보던 순간, 모든 책들이 새롭고 재미있게 느껴지던 순간으로 이끌어 간다.
p.310
리위안 도서관의 독창적인 디자인은 건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디자이너와 예술가가 독특한 재능을 발휘한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그것은 바로 상상력의 힘이다. 한마디로 도서관은 상상력의 공간이며, 상상력은 일종의 놀이, 마음을 뛰놀게 하는 놀이다. 도서관은 우리를 동심의 세계로 이끌어가고, 상상의 세계로 안내한다. 이제껏 살펴보았듯이, 인류는 읽고 생각하고 꿈꾸며 지식을 향유할 공간을 놀라우리만큼 다양한 모습으로 창조해왔다. 이런 활동들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잃지 않는한, 인류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를 수용할 공간을 지을 것이다. 그 공간에 책이 놓일지, 그 공간이 계속 도서관이라고 불릴지는 시간만이 알길이다.
p. 314 (21세기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