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자와 교도관의 '사형수 구하기'
[오마이뉴스 정민호 기자]
 
▲ <13계단> 책표지
ⓒ2006 황금가지
사형수 이름 사카키바라 료. 언제 저승사자가 올지 몰라 숨을 죽인다. 두 명을 살해한 죄로 붙잡힌 그에게 죽음은 일말의 재고도 없어 보인다. 사형, 그것이 그의 인생에 기정사실처럼 정해졌다. 그는 죽기 싫어서 다시 한번 재판을 해보려 한다. 더욱이 사건이 기억나지 않는, 정확히 말하면 사건 시간에 자신이 무엇을 했는지 기억나지 않는 '기억 상실'에 걸린 그로서는 자신의 죄가 원죄(억울한 죄)라고 생각하기에 어떻게든지 사형을 취소하게 해보려 한다.

하지만 그에게 내려진 사형 판결은 확고부동하다. 차라리 잘못했다고 빌면 무기징역이라도 될지 모르겠지만 료가 기억이 안 난다고 말하니 괘씸죄가 적용되는 비운이 생긴 것이다. 사형수는 절망적인 심정으로 아침을 눈을 뜨고 초조한 하루를 보낸다. 언제 죽을지 모른다는 생각에 몸서리를 칠뿐이다. 그러다 문득, 사형수는 장면을 기억해낸다. 죽음의 공포에 휩싸여 계단에 오르던 자신의 모습을.

료와 달리 미카미 준이치는 가석방이 되어 사회로 나간다. 상해 치사 전과자로 징역 2년을 선고받았지만 몇 달 전에 사회에 복귀하게 된 것이다. 가석방이 된 준이치는 설레는 기분으로 사회 공기를 들이마시지만 그 기쁨도 잠시다. 고의는 아닐지라도 자신과의 싸움 때문에 죽은 피해자에게 물어줘야 하는 엄청난 금액에 가족들이 고통 받고 있다는 사실을, 전과자로 낙인찍힌 자신을 사회에서 색안경을 끼고 바라볼 것을 오래지 않아 깨닫기 때문이다.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하던 준이치. 그때 교도관이었던 난고가 나타난다. 좋은 일 하는 셈 치고 자신의 일을 도와보라는 것이었다. 일이라는 것은 바로 료의 무죄를 증명하는 일. 그러기 위해서는 료가 기억해낸 장면의 계단을 찾아야 했다. 준이치는 사정을 듣고 의아해 한다. 많은 이들을 놔두고 이제 갓 가석방한 자신에게 이 일을 맡기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난고는 갱생 차원이라고 한다. 더욱이 성공 보수도 든든하니 좋은 일 해보는 셈치고 하자고 말하고 돈 욕심 때문에라도 준이치는 거절하지 않는다.

사형수의 무죄를 증명한다는 <13계단>의 겉모습은 세계 3대 소설 중 하나로 뽑히는 아이리시의 <환상의 여인>을 빼닮았다. 우연한 계기로 주인공들이 억울하다고 주장하는 사형수들의 무죄를 증명하기 위해 사건에 투입된다는 것이나 그것과 별도로 작품 중간 중간 사형수를 향해 멈추지 않고 다가가는 죽음의 시계를 묘사해 독자들을 초조하게 한다는 것이 그렇다. 때문에 겉모습은 새롭지 않다. 친숙하다고 할 정도로 외모가 낯익다.

하지만 겉모습만 보고 모든 걸 판단하는 건 실례다. <13계단>의 겉모습은 익숙해 보이지만 막상 뚜껑을 열면 낯선 장면들이 이어진다. 먼저 사건에 참여한 주인공의 신분이 그렇다. 살인자라는 딱지를 달고 있는 가석방 죄수와 범죄자들을 갱생시켜야 하는 의무와 함께 범죄자들을 처벌하는 역할을 동시에 해야 하는 교도관이 등장한 건 심상치 않다.

추리소설에서 추리하는 이들이 신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건 익히 알려진 일임을 상기해본다면 살인자와 교도관이라는 신분이 <13계단>에서 무시 못 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짐작하게 만든다.

이제껏 추리소설의 핵심은 무엇이었는가. 아무리 포장을 바꾼다 한들 결국에는 악한 범인을 체포하여 처벌하는 것이 핵심이자 진리였다. 때문에 살인자가 사형을 받는 건 아주 자연스럽고도 당연하다는 듯이 여겨졌고 그것이 해피엔드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사형수와 교도관이 주인공으로 나선 <13계단>은 현실의 부조리함을 곁들어 그 같은 생각을 비틀어버린다. 해피엔드로 얼버무리는 것이 아니라 좀 더 깊숙이 볼 것을 요구하고 있다.

깊숙한 것 중 하나를 꺼내보자. 준이치는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이유로 사람을 죽였다. 징역이 2년이라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나쁜 놈'이라고 말할 그런 살인은 아니다. 그런데 그는 사회에 나오면 딱지 하나로 죄인이 된다. 사회는 갱생을 운운하지만 동시에 대놓고 죄인 취급을 한다. 이럴 때 준이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범죄자들이 다시 범죄자가 되는 경우가 이분의 일이라고 하는데 과연 그것을 그들만의 탓으로만 돌릴 수 있을까?

<13계단>은 추상적인 '사형 찬반론'을 언급하지 않는다. 또한 범죄자를 양산해내는 것이 사회라고도 탓하지 않는다. <13계단>은 중립이다. 그렇기에 기묘하다고 밖에 말할 수 없는 법 진행 과정 등 현실적인 부조리함을 지적하는 것이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억울하게 돌이킬 수 없는 길로 떠나는 이들이 없도록 문제를 제기해보는 것이기도 하다.

<13계단>, 계속되는 반전이 가슴을 뜨겁게 만든다. 추리소설로서 더할 나위 없이 반갑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반가운 것은 이 작품이 가슴을 넘어 머리까지 뜨겁게 만든다는 것이다. "너나 나나 종신형이다. 가석방 따윈 없어"라는 말로 추리소설의 핵심들을 비틀어버린 <13계단>, 법에 대한 생각까지 비틀어버리는, 정말 심상치 않은 추리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