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5.26 개봉 / 연소자 관람가 / 139분 / 액션,SF / 미국



감 독 : 조지 루카스

출 연 : 헤이든 크리스텐슨(아나킨 스카이워커/다스 베이더), 나탈리 포트만(파드메 아미달라),
            이완 맥그리(오비완 캐노비/벤 캐노비), 이안 맥디아미드(팰퍼타인), 사무엘 L. 잭슨(메이슨 윈두)



우주 최고의 제다이 영웅에서 전 우주를 위험으로 몰아넣는 악의 화신으로…

클론 전쟁이 시작되었던 때로부터 3년이 지나고 팰퍼틴 의장(황제)과 제다이 사이의 불화는 더욱 커져 클론 전쟁은 더 이상 걷잡을 수 없게 격화된다. 자신이 제다이가 될 것임을 굳게 믿고 있던 아나킨은 제다이 기사 자격을 줄 수 없다는 기사단의 결정에 절망하고, 스승인 오비완과의 갈등은 더욱 깊어만 간다. 그런 아나킨에게 자신의 정체를 드러낸 펠퍼틴은 절대적인 힘을 갖게 해 주겠다며 그를 유혹하고, 아나킨은 점점 어둠의 힘에 이끌려 변해가는데…





선과 악의 충돌 앞에 이들의 운명 또한 자유로울 수 없다!
쏟아지는 화산 비 속에서 펼쳐지는 스승과 제자의 목숨을 건 처절한 혈투!!


어둠의 세력에 완전히 장악당한 아나킨은 자신에게는 아버지나 다름없는 오비완 캐노비와 맞닥뜨리게 된다. 자신의 가족과도 같은 제자의 변절을 믿을 수 없는 오비완의 피를 토해내는 절규에도 아나킨은 흔들림이 없다. 결국 아나킨과 오비완은 화산 한 가운데에서 서로의 목에 칼을 겨누게 된다. 목숨을 건 슬픈 결투를 하게 된 그들의 운명은 비극적인 결말을 향해 치닫게 되는데…



*

스케일에 있어 전세계를 압도하는 스타워즈의 광대함!!
2003년 6월 시드니에서의 첫 촬영에서부터 2005년 초 영국에서의 마지막 촬영까지 그 웅장함을 되돌아본다!

<스타워즈: 에피소드 Ⅲ 시스의 복수>의 제작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정확히 말하기는 힘들다. 루카스 감독이 영화 장면을 머리 속에 구상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일일이 열거하기도 힘들 만큼 다양한 방식으로 거의 30년 동안 제작되어 온 영화나 다름없기 때문. 굳이 이 엄청난 프로젝트의 시작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2003년 6월, 시드니에 위치한 20세기 폭스 스튜디오에서 100명이 넘는 제작진과 배우들이 함께 모여 그 웅장한 첫 촬영을 한 일이다.



전세계를 돌면서 진행된 엄청난 로케이션이었지만 <스타워즈: 에피소드 Ⅲ 시스의 복수>의 주요 촬영을 위해 허락된 시간은 단 55일뿐. 물론 이후에 지속적인 보충 촬영이 있었지만 이는 대부분의 영화들보다 훨씬 짧은 기간 안에 촬영된 것으로 스타워즈 제작진들의 전문성을 입증해 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영화는 호주, 영국에 위치한 스튜디오 촬영뿐만 아니라 <스타워즈: 에피소드 Ⅲ 시스의 복수>에 등장하는 수많은 새로운 행성들의 배경을 완벽히 창조해 내기 위해 중국, 태국, 스위스, 튀니지에서도 촬영되었다. 또한 제작진들은 오비완과 아나킨의 영화 속 클라이막스인 광선검 결투씬의 배경이 될 웅장한 화산 폭발 장면 촬영을 확보하기 위해 2002년에는 시실리의 에트나 화산으로 특별한 여행을 다녀왔다.

그러나 이러한 촬영은 단지 <스타워즈: 에피소드 Ⅲ 시스의 복수>를 관객에게 선보이기 위한 하나의 시작에 불과했다. 관객들이 극장에서 볼 영화는 초창기 시나리오와 많이 다를 것이다. 왜냐하면 루카스 감독은 시나리오를 영화의 기본적인 설계도로만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는 영화의 스토리를 전개해 나가면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마다 편집과 재촬영 과정을 통해 영화를 계속해서 다듬어 나간다. 이것이 그만의 독특한 연출 스타일이다. 이런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완성된 영화는 마치 몇 개의 영화들을 하나로 엮어 놓은 것과 같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고행의 시간이 지나고 2005년 초, 배우들과 스탭들은 영국에 있는 엘스트리 스튜디오에서 마지막 촬영을 했다. 엘스트리 스튜디오는 조지 루카스 감독에게 특별한 장소이다. 그가 스타워즈 시리즈로 성공한 감독이 되기 전, 감독에게 회의적인 배우들과 무뚝뚝한 영국인 스탭들을 힘겹게 지휘하며 <스타워즈: 에피소드 Ⅳ 새로운 희망>의 많은 부분을 촬영한 곳이기 때문이다. 이로써 루카스 감독은 지구 한 바퀴를 완전히 돌아 30년 전 처음 그 자리로 오게 된 것이다.




스타워즈 특수 효과 팀에 의해 새롭게 쓰여질 엄청난 기록들!
2,300개의 기록적인 효과 장면으로 구성된 꿈의 영상이 펼쳐진다!

<스타워즈: 에피소드 Ⅲ 시스의 복수>에는 이전 시리즈와는 달리 각기 다른 특색을 가진 약 8개의 행성이 등장한다. 이것을 스크린 위에 멋지게 표현하기 위해 스타워즈 제작팀은 호주에 위치한 세트장을 비롯해 세계 각지를 돌며 촬영을 했고 스타워즈 특수효과 팀은 그렇게 촬영된 영화 배경을 바탕으로 ILM(Industrial Light & Magic)에서 새로운 장면들을 만들어 나갔다. 2,300개에 육박하는 특수 효과가 사용될 <스타워즈: 에피소드 Ⅲ 시스의 복수>는 각각의 장면마다 최소한 한 개 이상의 특수 효과가 사용되기 때문에 완성될 새 영화는 그야말로 CG의 축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타이타닉>이나 <반지의 제왕 3: 왕의 귀환>과 같은 스케일 큰 영화들이 600에서 1200개 정도의 특수 효과 장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감안한다면 2,300개에 달하는 특수 효과는 전무후무한 기록으로 남을 전망이다.

이번 영화에는 65명의 배우들과 요다와 자자 빙크스처럼 컴퓨터에 의해 창조된 42명의 디지털 배우들이 출연한다. 그리고 엑스트라는 겨우 2백명 정도만이 동원되었지만 스타워즈 특수효과 팀은 수 천명의 배우가 있는 영상을 만들어내야만 했다. 영화에서 보여질 클론 군대는 모두 100% CG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것이 이번 영화가 왜 이렇게 긴 제작기간을 가졌는지에 대한 답이다. 조지 루카스 감독은 영화의 주요 촬영이 2003년 9월에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2005년 초까지 계속해서 재 촬영과 수정을 반복해 왔던 것이다. 이런 엄청났던 <스타워즈: 에피소드 Ⅲ 시스의 복수>의 각종 후반 작업은 개봉을 얼마 앞둔 4월 15일까지 계속되었다.




스타워즈의 실체를 만드는 핵심 제작 군단
<스타워즈: 에피소드 Ⅲ 시스의 복수>의 모습을 창조해 내다!!

1. 스타워즈의 아이디어를 길러준 유모, 미술팀
<스타워즈: 에피소드 Ⅲ 시스의 복수>는 조지 루카스 감독이 쓴 대사들과 그가 입 밖으로 낸 아이디어들이 미술팀에 의해 스케치, 그림, 유화, 조각들로 만들어져 가면서 그 실체가 드러나기 시작한다. 이런 독특한 아이디어 창출 방식은 1970년대 초 이래로 스타워즈의 제작에 있어서 항상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12명의 재능 있는 예술가들로 구성된 미술팀은 아나킨과 오비완의 최후 광선검 결투가 이루어졌던 무스타파(Mustafar) 행성뿐만 아니라 악의 소굴인 유타파(Utapau) 행성, 아나킨의 헤어 스타일까지 모든 것들을 종이 위에 그려 냄으로써 영화의 윤곽을 만들어 냈다. 특이한 점은 그들의 컨셉들 중 많은 부분이 30년 전에 디자인된 <스타워즈: 에피소드 Ⅳ 새로운 희망>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 자동차, 세트, 가구, 제복 등 관객들이 극장에서 보게 될 모든 것들은 아티스트들이 거의 일년이란 시간을 희생한 결과이다.

2. 연결 고리를 찾아 준 프로덕션 디자인팀
프로덕션 디자이너 가빈 보켓(Gavin Bocquet)은 대부분의 블록 버스터 영화들보다도 휠씬 많은 72개의 주요 세트를 설계하고 건설해야 했다. 이 주요 세트 중에는 디지털 효과와 절묘하게 합성될 것과 세트 자체로 촬영될 것이 혼재해 있다. 또한 파드메의 호화로운 아파트부터 무역 연방선의 조종실, 무스타파(Mustafar) 행성의 회의실까지 세트들은 에피소드 4,5,6 편을 떠올릴 만한 시각적인 단서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고, 웅장한 스케일도 동시에 수반하고 있어야 했다. 그 중에서도 연결 고리가 될 가장 중요한 세트는 가빈 보켓이 섬세하게 재창조한 <스타워즈: 에피소드 Ⅳ 새로운 희망>의 처음 시작 장면에서 보여진 전함의 메인 복도다. 그 곳은 R2-D2, C-3PO, 다스 베이더가 처음으로 스크린에 모습을 드러낸 장소다. 프로덕션 디자인 팀은 영화 촬영 후에 바로 철거된 이 세트를 복원하기 위해 스타워즈의 모든 기록들을 다 뒤집어 그 당시의 낡은 설계도를 찾아 냈고, 30년이라는 긴 시간을 비웃기라도 하는 듯 전함의 메인 복도를 완벽히 복원해 내는 데 성공했다.

3. '한복'이 있어 더욱 특별한 스타워즈의 의상들!
<스타워즈: 에피소드 Ⅲ 시스의 복수>에서 의상팀이 가장 공을 들인 부분은 단연 파드메의 의상이다. 전편 시리즈처럼 귀족적인 화려함을 추구하기보다는 슬프고 외로운 느낌을 강조해 달라는 루카스 감독의 요청이 있었고 아나킨의 변해 가는 모습 때문에 파드메가 겪어야 할 아픔을 표현하기 위해 차분하면서도 슬픔이 묻어나는 느낌의 디자인 컨셉을 설정했다. 또 임신한 상태로 처음부터 등장하는 그녀의 모습에 대해 의상팀의 고민이 많았다.



이 부분에 한국인 컨셉 아티스트인 이상준씨의 역할이 컸다. 그는 파드메 의상에 있어 한복의컨셉을 차용하자는 제안을 많이 했다. 한복은 다른 나라 의상과 달리 가슴에서 매듭을 매 아래로 흘러내리는 실루엣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파드메의 몸 상태를 숨길 수 있는 좋은 디자인 형태였고 슬프고 차분한 분위기를 만들기도 쉬웠다. 결국 <스타워즈: 에피소드 Ⅲ 시스의 복수>에서 파드메가 입고 등장하는 대부분의 옷은 거의 한복 컨셉에서 응용됐다. 파드메 의상은 머리부터 발 끝까지 몽골 느낌이 나면서도 전체적으로는 한복의 선과 컬러가 보인다. 그 중에서도 쓰개 치마를 응용한 상의와 족두리, 비녀를 응용한 머리 장식 등이 인상적이다.

의상 디자이너 트리샤 비가(Trisha Biggar)를 비롯한 의상 제작진들은 파드메 의상을 포함한 500개가 넘는 의상들을 <스타워즈: 에피소드 Ⅲ 시스의 복수>를 위해 만들어 냈고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영화는 풍성한 아름다움으로 가득 차게 되었다. 의상팀은 고급스런 느낌을 풍기며 마치 다른 세상에서나 존재하는 것 같은 의상을 만들 독특한 옷감들을 찾아 지구 한 바퀴 돌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의상들은 뉴욕, 샌프란시스코, LA, 런던, 파리, 일본, 중국, 인도 등 세계 여러 곳에서 찾은 갖가지 직물들로 제작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