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04.30 개봉 / 연소자 관람가 / 124분 / 애니메이션,액션,어드벤쳐,판타지,제패니메이션 / 일본

감 독 : 미야자키 하야오

출 연 : 요코자와 케이코(시타), 다나카 마유미(파즈), 카메야마 스케키요, 카미야마 타쿠미



광산촌 슬랙 계곡에서 기계 견습공으로 밝게 살고 있던 고아 소년 파즈는 어느 날, 빛이 나는 목걸이를 한 채 하늘에서 떨어지는 한 소녀를 구해준다. 소녀는 집안 대대로 전해져 오던 목걸이(비행석)로 인해 정부의 군대(무스카 일행)와 해적(도라 일당)들에게 쫓기고 있던 신세. 시타가 이들로부터 무사히 도망갈 수 있게 도와주던 중 파즈는 비행석과 하늘에 떠 있는 성 "라퓨타"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돌아가신 아버지의 영향으로 라퓨타의 존재를 믿고 있던 파즈는 시타와 함께 라퓨타를 찾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파즈와 시타는 그들을 쫓던 군대에게 잡히고, 시타는 정부 비밀 조사관인 무스카에게 파즈를 풀어주는 조건으로 협력을 약속한다. 군대에서 풀려난 파즈는 시타를 구하기 위해 도라 일당에 들어가고, 그들과 함께 시타를 구해온다. 그러나 시타로 인해 봉인이 풀려 라퓨타의 위치를 가리키게 된 목걸이(비행석)는 무스카에게 빼앗기고 만다

군대와 무스카는 거대한 비행선 골리앗을 타고 라퓨타를 찾아 나서고, 그 뒤를 쫓아 파즈와 시타도 도라 일당과 함께 라퓨타를 찾아 나선다. 갑자기 닥친 악천후와 골리앗의 공격으로 도라 일당과 헤어진 파즈와 시타는 우연히 라퓨타에 도착, 라퓨타의 아름다운 정원에 감탄한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도라 일당을 생포한 군대와 무스카 일행도 라퓨타에 도착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라퓨타에 도착한 군대는 온갖 파괴행위와 보물을 모으는 데만 급급해 하고, 그 틈을 이용해 무스카는 시타를 잡아 라퓨타 내부로 사라진다. 파즈는 잡혀 있던 도라 일당을 구해주고, 시타를 구하기 위해 무스카를 뒤쫓는다. 시타와 함께 라퓨타 내부의 거대한 비행석이 있는 중추에 다다른 무스카는 시타에게 자신 또한 라퓨타 왕가의 일족이였음을 밝힌다. 그 옛날 지상으로 내려 온 라퓨타 왕가는 시타와 무스카의 일족, 이렇게 두 갈래로 나눠졌던 것. 무스카는 과거 라퓨타의 힘을 부활시킴으로 세계를 지배하고자 한다. 무스카의 수중에 넘어간 라퓨타로 인해 끔찍한 살상이 자행되자 시타는 파즈와 함께 할머니로부터 배운 파멸의 주문을 외운다.



*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과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이 설립한 [스튜디오 지브리]의 첫 작품인 <천공의 성 라퓨타>는 "19세기 말에 쓰여진 SF 소설 풍의 비행(飛行) 보물섬에 대한 영화를 만들고 싶다"는 미야자키 감독의 아이템에서 출발한 작품.

이러한 미야자키 감독의 기본 아이템에 <천공의 성 라퓨타>는 조나단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중 3부에 등장하는 '공중에 떠있는 섬 라퓨타'와 현대의 기계문명 이전에도 문명(핵에너지마저 마음대로 한)이 지구상에 존재했다고 하는 설(設), 인도의 민족 서사시 '라마야나', 과학적 메커니즘 등을 감독이 자신만의 독특한 상상력과 결합시켜 완성되었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 중 하늘의 고도감을 가장 잘 나타냈으며, 작품 곳곳에 스며있는 기계 문명과 권력에 대한 비판의식, 자연에 대한 경외감과 공생이라는 테마의 조화는 이때까지의 모든 미야자키 작품의 집대성이란 평가를 받는다.

또한 <천공의 성 라퓨타>에서 보여지는 아름답고 정교한 배경은 미야자키 감독과 스탭들이 사실적인 배경 묘사를 위해 영국 웨일즈 지방을 로케이션 함으로써 얻어진 산물이라고.

라퓨타(LAPUTA) _ 기획제작 메모로부터

<천공의 성 라퓨타>는 조나단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 중 제 3부에 등장하는 '공중에 떠있는 섬 라퓨타'를 모티브로 한다. 하지만 「걸리버 여행기」에서 묘사된 천공의 섬에도 모델이 존재했으니, 바로 플라톤의 잃어버린 지리지 '천공의 서'에 기재되어 있던 '라퓨타 리치스'가 그것이다.
여기에 대해 살펴보면, '라퓨타 리치스'는 지구상에 존재했던 첫 번째 기술 문명(현대 기술 문명은 두 번째라는 설에 근거)이 번창했을 때, 전쟁을 싫어해 천공으로 도망친 일족에 의해 축조되었다 한다. 하지만 너무도 고도로 발달해버린 문명 생활은 이들의 생명력을 앗아갔다. 라퓨타인들은 점차 인구가 줄어들다가, 기원전 500년경에 갑자기 발생한 질병으로 인해 멸망한다. 혹자는 극소수의 생존자들이 지상으로 내려와 그 모습을 감추고 살아간다고도 하지만 자세한 것은 불분명하다. 이로써 라퓨타 리치스는 무인화(無人化) 되었고, 라퓨타 궁전은 왕의 귀환을 기다리는 로보트들에 의해 지켜지고 있다고. 그러나 세월 속에 영토는 파손되었고, 지금은 그 일부만이 공중을 맴돌고 있을 뿐이라고 한다. 이 천공의 섬은 항상 저기압권으로 형성된 구름 봉우리에 휩싸여 편서풍과 함께 이동하며, 구름층으로 인해 지상으로부터 목격된 일이 한번도 없다 한다.



FAQ

1. <천공의 성 라퓨타>의 시대적 배경은 언제인가요?
<천공의 성 라퓨타>의 시대적 배경은 SF의 시조 쥴 베르누(1825~1905)가 활약한 시대입니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천공의 성 라퓨타>를19세기 말에 쓰여진 SF 소설을 쓰는 심정으로 완성했다라고 합니다.

2. <천공의 성 라퓨타>의 지리적 배경은?
19세기 말 유럽의 모처, 즉 미야자키 감독의 상상 속 나라입니다.
'언뜻 보면 서양풍이지만 어딘지 알 수 없는 나라'를 표현하기 위해, 미야자키 감독과 스탭들은 존 포드 감독의 영화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How Green was My Valley 1941)>의 무대가 되었던 영국 웨일즈 지방에 2주간 로케이션을 떠났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파즈가 살던 탄광촌 "The Slug Ravine"의 모델이 된 곳을 발견했다 합니다. 특히 미야자키 감독은 이 지역을 취재할 무렵 탄광촌의 심각한 노조 문제에 깊은 인상을 받아, 작품 속에 해적들과 마을 사람들과의 난투극 씬을 만들었다 넣었다고. 자세히 보면 파즈의 보스인 더피 아저씨의 집에서 사회주의자 포스터가 붙어있는 것을 보실 수 있다 합니다.

3."Laputa"는 무슨 뜻입니까?
"Laputa" 는 조나단 스위프트의 소설 「걸리버 여행기」에 나오는 공중 부유 섬입니다. 스위프트의 소설에서, "Laputan"은 문자 그대로 구름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뜻하죠.
처음 미야자키 감독은 비행 보물섬에 대한 영화를 만들겠다는 생각에, 스위프트의 책에서 라퓨타란 이름을 빌려왔다 합니다. 그런데 '라퓨타'란 단어는 스페인어로 번역하면 "매춘부"를 뜻합니다. 소설 「걸리버 여행기」를 통해 세상을 풍자했던 조나단 스위프트는 이 섬의 이름을 지었을 때, 명백하게 이 뜻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미야자키 감독이 제목으로 이 단어를 선택했을 때, 이 단어의 어원을 아는지 모르는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4. 왜 라퓨타는 멸망하게 되었나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기획의도에서 조나단 스위프트의 소설 「걸리버 여행기」데서 나오는 '라퓨타'도 모델이 존재하며, 그것이 플라톤의 잃어버린 지리학, "천공의 서"에 기재되어 있던 "Laputatilis"라 했다. 플라톤은 "Laputatils는 전쟁을 피할 수 있는 고도의 문명을 건설했다"라고 썼다 합니다. 그렇지만 그들은 너무나 고도의 기계문명에 의존, 결과적으로 자신들의 생명력을 약하게 만들었고, 결국 기원전 500년경에 닥친 질병으로 인해 대부분의 Laputatilis가 죽게 되었다 합니다. 그리고 소수의 생존자들만이 지상으로 내려왔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이 영화에서 라퓨타가 700년 전에 멸망했다고 설정하고, 라퓨타가 왜 멸망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설명을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5. 무스카는 "Laputa's fire" 를 '라마야나에서 말하는 인드라의 화살'이라고 했는데, 그게 무슨 뜻이죠?
"Ramayana"는 기원전 4세기에 쓰여진 힌두교 영웅 서사시로, 왕 Rama와 왕비 Shita의 이야기이다.
또한 "Indra"는 천둥과 비의 신으로, 인간을 벌하기 위해 떨어뜨리는 번개를 인드라의 화살이라고 칭했답니다.

7. 도라가 시타는 어릴 적 자기와 똑같다고 하는데, 여기에 대해 알려주세요.
영화 중 도라의 침대에 땋은 머리를 한 소녀의 그림이 있습니다. 이 그림을 보면 그녀는 시타와 아주 비슷하게 보입니다. 더 중요한 것은 시타는 도라를 유명한 해적이 되게 한 터프하고 용감하고 지적인 그런 성격을 똑같이 가지고 있죠. 더욱이, 도라의 옛 남편은 FLAPTERS(해적들이 타고 다니는 곤충형 비행기)를 발명한 천재 엔지니어였답니다. 파즈 또한 엔지니어가 되기를 원합니다. 시타가 도라같이 될 가능성은...
미야자키 감독은 자신의 어머니가 정신적으로 도라와 같은 강렬한 캐릭터였다고 말했다 합니다

8. 라퓨타의 로봇은 누구의 디자인 입니까?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직접 했습니다.
1930~40년대에 걸쳐 유일하게 월트 디즈니에 대항할 수 있었던 플레이셔 형제를 좋아했던 미야자키 감독은 그들의 작품 <슈퍼맨> 시리즈 중 "메카티컬 몬스터"에 나오는 프로펠러 인형 로봇과 거의 비슷한 형태의 로봇 병기를 <(신)루팡 3세> TV 시리즈의 최종화 "안녕! 사랑하는 루팡이여"에 등장시킵니다. 이 로봇 병기 람다의 이미지가 <천공의 성 라퓨타>에서 다시 한번 활용됩니다.

9. 라퓨타에는 인조크(in-joke : 특정그룹만 알 수 있는 유머)가 들어 있다는데...
라퓨타의 정원에 있던 "여우다람쥐"는 <바람 계곡의 나우시카>에서 유파가 나우시카에게 선물한 애완 동물로, <천고의 성 라퓨타>에cameo 로 출현하였습니다.
 


**

조나단 스위프트의 소설 걸리버 여행기 중 3부에 해당하는 '공중의 섬 라퓨타' 에서 모티브를 얻어 만든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을 보면 탄광촌 마을의 풍경이 나오는데 미야자키 하야오는 이를 위해 그 배경이 될 영국 웨일즈 지방의 탄광마을을 방문하는 철저함을 가지고 제작준비를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