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산맥 10 조정래 대하소설
조정래 지음 / 해냄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지리산 계곡의 층계식 논을 보면 멋있다라고 생각했지,

그 논을 만드려고 했던 그 농민들의 애환을 10편에서 읽고 마음이 아팠다.

 

10편은 휴전과 더불어 본격적인 지리산의 좌익 토벌 작전이 시작된다.

 

그 와중에 염상진과 강대진 소년의 죽음에서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보는 것 같아 마음이 찡했으며,

많은 활약을 했던 천점바구와 김혜자의 죽음,

손승호의 허무한 죽음 또한 안타까우면서도 어찌보면 예정된 죽음이었다고 본다.

 

결국 염상진의 죽음으로써 태백산맥의 대단원의 막은 내려지지만

현실투쟁에서 역사투쟁으로 변환된다.

(남한에 남아있게 된 자들)

 

오랫동안 싸워왔던 염상진, 염상구 형제도 형의 죽음으로 화해(?)했다고 본다.

어쩜 죽기전에 서로 화해했어야 옳았는지 모른다.

두 형제를 보면서 우리민족의 비극을 보는 것 같았다.

 

10편에서 등장인물들이 모두 끝을 맺는것은 아니다.

 

소화와 정하서은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지만 정하섭이 월북하면서

이산가족이 될것으로 암시되고, 어쩜 그녀는 그것을 알았을지도 모른다.

 

그외에 심재오 소령이 어떻게 되는지,

아있는 차대치와 외서댁의 앞날에 대해서도 정확히 명시하지는 않는다.

 

어쩜 역사는 끝이 없이 계속 진행되기 때문에

이야기도 계속 진행된다는 것으로 남기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암튼..

태백산맥 10권을 읽으면서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배운것만으로도

크게 만족할 만하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