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 팻, 비만과 집착의 문화인류학
돈 쿨릭.앤 메넬리 엮음, 김명희 옮김 / 소동 / 2011년 6월
품절


[우리의 뚱보 히어로는 도시 빌딩위에서 오늘도 어떻게 하면 살을 빼서 폼나게 정의를 실현해볼까? ...라고 고민하고 있을까?]

예전에 세기의 미인이라 불리웠던 여인들을 현대로 모시고 온다면, 아마도 그 타이틀을 내놓아야할듯합니다. 현대 미인의 기준에 보면 너무 뚱뚱한 여인들이었을테니깐요.

한국에서 여자로 살면서 한번쯤 다이어트 안 해보신분들은 없을겁니다. (안해보고 살았다는 분은 정말 복받았다는 이야기 많이 들으셨을거예요.)

이 책을 읽다보면 '날씬하다', '뚱뚱하다' 그리고 '아름답다'라는 기준이 얼마나 개인적이고, 주관적이며 그러한 사고들이 자신들이 살고 있는 문화권에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제 눈에도 니제르의 여인은 참 아름답습니다.]

저는 결혼전에는 외출할때 나시나 반바지를 입어 본적 없습니다. 저주 받은 하체라 절망하면서 교복 치마조차 입는것이 불편했었거든요. 신체검사를 하면 그래도 보통 체중으로 평가 받았지만, 저보다 날씬한 동생이 평균보다 체중미달이라는 평가를 받는것이 무척 부러워했던 때가 있었습니다.

서로의 용돈을 걸고 다이어트한적도 있고, 엄마가 싸주신 도시락을 다 먹지 않고 버린적도 많았어요. (요즘 사춘기 소녀들이 다이어트 때문에 밥을 안 먹는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예전보다 더 하면 더했지 못하지는 않을거란 생각이 드네요.)

빈약한 가슴에 비해 큰 엉덩이는 저의 컴플렉스 중에 하나였죠. 바지를 선택할때 허리가 아닌 엉덩이 사이즈에 맞춰 골라야하는 비극은...

하지만 지금은 '마른몸'에 대한 환상은 갖지 않습니다.

농담삼아서 이제 임자 있는 몸이니 걱정 안해도 돼. 라고 이야기하지만..

사실, 제 컴플렉스라고 여긴 부분들이 누군가에게는 무척 사랑스럽게 보일수도 있다는 것을 알았거든요. ㅎㅎ 저의 몸에 대한 자신감은 50% 신랑이 20%는 어머님이(젊을때 이쁜거 입어야지 나이들면 못 입는다며, 평소 제가 선택하지 않는 옷들을 과감히 선택해주시는 어머니) 30%는 해외 생활에 있었습니다.

결혼후 바로 미국 텍사스에서 생활하면서, 제가 처음으로 날씸하다고 느꼈어요. -.-;; 물론, 그 착각으로(신랑이 저보다 더 날씬해 보였는데..) 신랑은 1년사이 20kg 찌는 바람에, 1년후 만난분이 신랑을 못 알아보기도 했습니다.

사실, '니제르 여인'들의 이야기를 취재하신 분 역시 뚱뚱한 여인이 미인인 곳에 생활하면서도 살찌는것에 자유로울수 없었다는 말에 동감했습니다. 아무리 뚱뚱한 사회에서 산다 할지라도, 기존에 가지고 있던 미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기란 쉽지 않았고, 저 같은 경우에는 그 속에 한국인들과의 교류가 있어서 한국에서보다 날씬해 보인다 할지라도 여전히 체중에 대해 민감할수밖에 는 없었던것 같아요.

살뿐만 아니라 화이트닝에 대해서 환경마다 다른 시각을 보이는지 느꼈어요. 여행중에 양산을 쓰는 사람들은 아시아인들이 많았고, 챙이 긴 모자에 마스크 그리고 반팔에 드러나는 살을 가르기 위해 긴 토시까지 착용하신분들을 보면 대부분 한국인 아줌마 관광객들이었답니다.

한국에 돌아왔을때, 우리나라 여성들이 얼마나 비쩍마르고 하얀지 솔직히 아름답다기 보다는 좀 측은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제 시각이 많이 바뀌었어요. 하지만 점점 내가 날 너무 방치했나?하는 생각이 드는것을 보면.... ^^

[절인 올리브만 보다가 실제 올리브를 보니 이상하네요. 올리브를 보니 군침이 돕니다. ^ㅠ^]

[식물성 올리브가 그렇게 각광을 받는 것을 보니, 우리나라의 참기름과 들기름도 올리브만큼 건강에 좋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

[대중매체의 노출로 인해 점점 미인의 기준이 서구화로 바뀌어 가는 것을 느낍니다. 오똑한 콧날, 커다란 눈, 점점 비슷해지는 얼굴과 몸들..]

이 책에서는 '플로칼'이라는 가명을 쓴 기름 빼는 약.

저도 먹어보았어요. ^^;; 다이어트를 하기 위해 찾아서 먹은것이 아니라, 어머니께서 놀러오실때 너무 신기한 약이 있다며 가져오셨더라구요.

저희부부가 워낙 고기를 많이 먹어서인지 이 약을 먹으니 정말 기름이 줄줄... 너무 신기해서, 다른 부부에게도 드렸는데, 그분들은 저희부부처럼 기름이 많이 나오지 않았다고 하셔서 저희는 저희가 정말 고기를 많이 먹어서 그런줄 알았어요. 그런데 부작용이었다니...ㅋㅋ

솔직히 먹으면서 그다지 몸에는 좋지 않을거란 생각이 들긴했었어요.


[치즈 얇게 저민건가? 생각했는데, 돼지 비계를 얇게 저민 음식이예요. 솔직히... 먹고 싶지 않아요.]

하지만 제가 가지고 있는 동물성 기름에 대한 거부감은 얼마나 이중적인지...

닭껍질이 몸에 좋지 않을것 같아, 삼계탕이나 닭볶음을 할때 벗겨서 쓰면서, 튀김으로 바삭한 껍질을 좋아하는 나.

돼지고기의 너무 많은 비계는 잘라내서 사용하면서, 베이컨의 비계는 바삭바삭하게 튀겨 맛있게 먹는 나.

아주 가끔은 동물성 기름을 섭취하면서 죄책감을 느끼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행이도 저는 휘핑크림 좋아하지 않아요. 항상 휘핑크림 빼고 먹습니다. 하지만, 어쩜 제가 좋아하지 않는것이 살에 관한 강박관념으로 싫어한다고 생각하고 있는건지도 모르겠습니다.

패스트푸드 음식을 먹으면서 다이어트 콜라를 찾는것도 우습고, 다이어트 한다면서 빵 한조각에 잼과 버터 발라 먹는 모습도 우습고, 아침은 달콤한 라떼로 먹는다 하지만 그 역시 엄청난 칼로리가 숨겨있다는것을 모르고 먹는지... 아니면 알면서도 모르는척 하는지..

왜, 스팸은 안나오나 했어요.

몸에 좋지 않다는것을 알면서, 은근히 생각나는 맛이기도 하지요. 하지만 스팸이 하와이와 이렇게 밀접하게 연결되었다는것은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하나의 잘못된 음식이 문화를 변화 시키고 망가뜨리는지 왠지 서글프네요.

암튼, 이 책을 읽으면서 '얼굴 좋아보인다'는 말이 칭찬이 아닌 비수가 되었던 시절을 생각하며 ,그 동안 제가 가졌던 살에 관한 생각들을 다시 돌아보게 되었어요.

[ 인류학은, 한 사람의 욕망은 매우 개인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그 사람이 살고 있는 문화에 의해 만드어진 것이라 가르친다.– 200쪽] 에서 말하듯이, Fat에 관한 여러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그럼으로 이 책을 통해 해결책을 찾으려 하셨다면 실망스러우셨겠지만,Fat에 관한 여러 문화를 배우셨다고 생각하신다면 괜찮은 책인것 같아요..

다만 서구인들의 시선으로 아시아권의 'Fat'을 이야기한다면 어떤 글들이 올라왔을까? 살짝 궁금하긴 했는데, 다양한 문화권의 지방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아시아권이 빠졌다는 점이 아쉬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