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마시면 누구나 다 기고만장하여 영웅 호걸이 되고 위인 현사도 안중에 없는 법이다. 그래서 주정만 하면 다 주정이 되는 줄 안다. 그러나 그 사람의 주정을 보고 그 사람의 인품과 직업은 물론 그 사람의 주력(경력)과 주량(술의 양)을 당장 알 수 있다. 주정도 교양이다. 주도에도 엄연히 단이 있다는 말이다.
첫째, 술을 마신 연륜이 문제요. 둘째는 같이 술을 마신 친구가 문제요, 셋째는 마신 기회가 문제요, 넷째 술을 마신 동기, 다섯째 술 버릇, 이런 것들을 종합해보면, 그 단의 높이가 어떤 것인줄 알 수 있다.
음주에는 무릇 18의 계단이 있다
1; 부주---술을 아주 못 먹지는 않으나 안 먹는 사람.
2; 외주---술을 마시기는 하나 술을 겁내는 사람.
3; 민주---마실 줄도 알고, 겁내지도 않으나 취하는 것을 민망하게 여기는 사람.
4; 은주---마실 줄도 알고 겁내지도 않고 취할 줄도 알지만 돈이 아쉬워 혼자 마시는 사람.
5; 상주---마실 줄도 알고 좋아 하면서 무슨 잇속이 있을 때만 술을 매는 사람.
6; 색주---성 생활을 위해 술을 마시는 사람.
7; 수주---잠이 안 와서 술을 마시는 사람.
8; 반주---밥맛을 돋구기 위해 술을 마시는 사람.
9; 학주---술의 진경을 배우는 사람(주졸).
10; 애주--술의 취미를 맛보는 사람(주도).
11; 기주--술의 진미에 반한 사람(주객).
12; 탐주--술의 진경을 채득 한 사람(주호).
13; 폭주--주도를 수련 하는 사람(주광).
14; 장주--주도 삼매에 든 사람(주선).
15; 석주--술을 아끼고 인정을 아끼는 사람(주현).
16; 낙주--마셔도 그만 안마셔도 그만, 술과 더불어 유유 자작 하는 사람(주성)
17; 관주--술을 보고 즐거워 하되 이미 마실 수 없는 사람(주종).
18; 폐주(열반주)-술로 말미암아 다른 술 세상으로 떠난 사람.
부주, 외주, 민주, 은주는 술의 진미 진경을 모르는 사람들이요, 상주, 수주, 반주는 목적을 위해 마시는 술이니 술의 전체를 모르는 사람이다. 학주의 자리에 이르러 비로서 주도 초급을 주고, 주졸이란 칭호를 줄 수 있다. 반주는 2급이요 차례로 내려가서 부주가 9급이니 그 이하는 척주 반 주당 들이다. 애주, 기주, 탐주, 폭주는 술의 진미 진경을 오달한 사람이요 장주, 석주, 낙주, 관주는 술의 진미를 체득하고 다시 한번 넘어선 사람들이다.
애주의 자리에 이르러 비로소 주도의 초단을 주고 주도란 칭호를 줄 수 있다. 기주가 2단이요, 차례로 올라가서 열반주가 9단으로 명인급이다. 그러나 주도의 단은 때와 곳에 따라, 그 질량의 조건에 따라 비약이 심하고 강등이 심하다. 다만 이 대강령만은 확고한 것이니 유단의 실력을 얻자면 수업료가 기백만 금은 들 것이요 수행 연한이 또한 기십 년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