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쟁이, 루쉰
왕시룽 엮음, 김태성 옮김 / 일빛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신하면 '아Q정전'을 떠올랐었는데, 그가 그림도 그렸다는 이야기에 귀가 솔깃했습니다. 작가가 아닌 미술가의 입장에서의 루쉰을 바라본다는 것이 꽤 흥미로웠거든요. 종종 작가들이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때론 자신의 책의 삽화를 맡는것도 보아왔었지만, 이렇게 그것을 중점을 두어 이야기하는 것을 처음 접해서인것 같습니다.

사실 처음 그림쟁이라는 말에 약간 기대를 해서인지, 책을 펼쳤을때, 평소 제가 알고 있던 미술과는 약간의 거리감에 살짝 실망했습니다. 하지만 루쉰의 작품을 보면 옛 문인들을 떠올리면서 서화가 생각나게 하더군요. 서화 역시 다양한 미술의 또 한 분야라는 것을 인정하고 보니 좀 더 책 읽기에 수월했습니다. 때론 너무 고지식한 태도는 무언가 알아가는 길에 큰 걸림돌이 되는것 같네요. 

루쉰이 중국인이어서인지, 책 속의 그림을 보면 동양적인 매력을 접하게 될것입니다. 단순하면서 여백의 미를 느끼게 하거든요. 개인적으로는 이 책에 소개된 루쉰의 작품 중에 기호적인 표현인 부엉이가 가장 마음에 들었습니다. 암튼, 루쉰이 작가이자 화가이면서 해부학과 설계, 책 디자인등에 다양한 관심을 보였다는 것도 놀라웠어요. 여러방면으로 욕심이 많은 사람이었네요.^^

이 책은 루쉰의 작품 하나 하나에 대한 설명과 참고자료. 필자의 해석과 루쉰과 주변인들의 메모를 통해 루쉰의 생활상을 엿볼수 있는 기회를 주기도 했습니다. 순차적인 설명으로 인해 자칫 어렵게 느껴질수 있었던 그의 작품 세계를 좀 더 쉽고 흥미를 가질수 있게 해주었던 점이 이 책의 장점이었던것 같습니다.  

약간 아쉬움이 있다면 일반적으로 이런류의 책은 하드커버로 접했던거에 비해 하드커버가 아니었다는 점이예요. 하드커버가 아님에도 겉커버가 있는데, 커버를 한지를 연상케하는 점은 좋았지만, 하늘거려서 커버로서의 기능을 잘 수행하지 못할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전반적으로 책값이 좀 비싼감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이외수님이 떠올랐습니다. 개인적으로 이외수님이 그림에 더 소질이 있으신것 같네요.^^ 좀 더 이외수님의 그림이 더 그림 같은 느낌이랄까^^ 언젠가 이외수님도 이런 책을 누군가 펴주시겠지요. (물론, 이외수님의 글도 좋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