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T.F. 

n. 미국 재무부의 알콜담배화기국.
Bureau of Alcohol, Tobacco, and Firearms의 약어.


backbone    

n. 원래는 '등뼈'라는 뜻.
그러나 와인이 backbone을 가졌다라고 표현할 때에는
구조가 좋은 풀바디의, 조화롭고 깊은 맛을 가진,  와인을 표현할 때이다.
이 표현은 까베르네 소비뇽 같은 고급와인을 표현할 때 주로 쓰인다.
backbone이 부족한 와인의 경우 종종 thin(가는, 얇은)이나
flabby(연약한, 맥없는) 등의 표현을 사용한다.



backward   

adj. 원래는 '뒤쪽의, 발달이 늦은'의 뜻.
이 표현은 비슷한 타입의 와인이나 같은 빈티지의 와인에 비해
숙성이 덜 됐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와인들은 병 속이나 통 속에서 좀더 숙성을 시켜야 한다.



balance 

n. 조화.
와인의 맛을 구성하는 요소들 - 산도, 당도, 알콜함량, 탄닌의 양 등이
조화롭게 어울렸을 때 ‘밸런스가 좋다’라는 표현을 한다.
너무 달지 않고, 너무 시지 않고, 너무 떫지 않고,
각각의 맛들이 적당하게 섞였을 때이다.



Balthazar  

n. 발싸이저. 12리터가 들어가는 커다란 통.
750ml짜리 병으로 따지면 16개에 해당한다.
주로 샴페인을 담는다. Salmanazar보다는 크고 Nebuchadnezzar보다는 작다.



Barbera

n. 바베라. 이탈리아에서 널리 재배되는 적포도 품종의 하나. 
높은 산도를 가지고 있고, 조화로운 맛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워낙 가격이 싸므로 테이블 와인으로 많이 이용된다.
색이 짙으며, 미디엄- 풀바디이며, 베리향과 스파이시한 향을 가지고 있다.
이 포도품종은 이탈리아 이주민들이 많은 California's Central Valley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라벨에서 이 포도품종을 볼 수 없는데,
그 이유는 테이블 와인의 블렌드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barrel   

n. 와인을 저장, 숙성하기 위한 통.
크기, 사용연령, 나무의 종류, 구운 정도 등의 요소들이 와인에 영향을 준다.
복잡한 향을 부여해 주는 오크나무가 주로 재료로 사용된다.
1배럴 기준양은 60갤론의 와인이 들어가는데, 지역마다 조금씩 용량이 틀리다.
또 지역마다 달리 불리워지는데, 보르도 지방에서는 'barrique',
부르고뉴 지방에서는 'piece', 영국에서는 ‘hogshead’,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puncheon’, 이탈리아에서는 ‘botti’라고 불린다.



barrel-aged 

adj. 오크통에서 숙성시킨.
오크통에서 숙성시킨 와인에서는 오크향과 바닐라향, 버터향이 난다.
또한 와인의 색이 깊어지며 탄닌도 부드러워진다.



barrel-fermented   

adj. 오크통에서 발효시킨.
대부분의 와인들은 스테인레스통이나 나무통에서 발효시키지만,
부르고뉴의 고급 화이트 와인(샤도네이) 경우 오크통에서 발효시킨다.
오크통 발효는 비용이 많이 들고, 위험하며,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지만
매우 만족스러운 오크향과 균형잡힌 플레이버등을 얻을 수 있다.
레드 와인의 경우 오크통 발효는 거의 안 한다.



Baume   

n. 보메. Brix 참조 



bead 

n. 샴페인을 글라스에 따랐을 때 생기는 작은 거품이나 기포들.
이것을 ‘bubble'이라 표현하면 와인에 대해 예를 갖추지 않은 사람이다.
샴페인이나 스파클링 와인을 잔에 따랐을 때
거품이 작을 수록, 또 오랫동안 이 거품이 생겨난다면 
그것은 질좋은 와인이라 말할 수 있다.


Beaujolais nouveau    

n. 보졸레 누보. 보졸레 지역에서 가메 품종으로 만든 와인.
보졸레 누보는 전세계적으로 11월 세번째 주 목요일에 출시되는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그 해에 만들어진 햇포도주란 의미가 있으며,
부르고뉴 지방의 그 해 빈티지를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보졸레 누보 축제가 법으로 정해진 것은 1951년도이다.
과일향과 라즈베리향, 체리향이 특징이며, 탄닌과 수렴성은 비교적 적은 편이다.



Beerenauslese  

n. 베렌아우스레제.
독일어인 이 말을 그대로 직역해 보면 각각의 포도알을 손으로 골라 수확했다는 뜻이다.
독일 고급 와인 등급의 하나로 Kabinett, Spatlese, Auslese보다는 윗등급이고,
Eiswein과 Trockenbeerenauslese보다는 아래 등급이다.
유명한 독일의 디저트 와인 중의 하나이다. 



berry  

n.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첫번째는 와인의 원료가 되는 포도를 말한다.
두번째는 와인에서 딸기류과의 열매들, blackberry, cranberry, cherry,
black currant, raspberry 등의 맛과 향이 나타날 때
berrylike 또는 berry-fruited란 표현을 쓴다.



big    

adj. 풀바디의, 풍부하고, 강하고, 동물성의 느낌을 주는 와인을 빅와인이라 한다.
빅 와인을 묘사하는 형용사는 Full-bodied, robust, rich, meaty, spicy,
powerful, strong 등이다.



bin number   

n. 포도주를 저장할 때 편의상 각각의 통에 번호를 할당한다.
"Bin 707 Cabernet", "Private Bin", "Cask 23 Cabernet Sauvignon" 등이
그 예이다. 와인 소비자들에게는 이 번호가 무의미하다.
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 와인의 경우 이 숫자가 상표명으로 된 것도 있다.
'Bin 65 Chardonnay’가 그 예이다.
이렇게 숫자를 사용해서 상표명을 만들면 소비자들이 기억하기 쉽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발음하기 어려운 와인이름이 얼마나 많은가?
이런 이름이야말로 언어의 장벽을 뛰어넘는 명명법이다.



bite 

n. 원래의 뜻은 ‘물다’이다.
보통 화이트와인이나 샴페인이 산도가 높거나 탄닌의 양이 많을 때
이 표현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보면, "This extra brut has a sharp,
peppery bite to it, don't you think?" 숙성을 시키면 이 특성이 사라진다.



bitter or biting 

  adj. 쓴.
혀에서 느낄 수 있는 네 가지 맛, 단맛, 신맛, 짠맛, 쓴맛 중의 하나.
와인에서 쓴맛은 포도껍질, 줄기, 씨앗에서 탄닌이 지나치게 많이 나왔기 때문이다.
소량의 탄닌이 들어있는 것은 일반적이지만,
보통 와인에서의 쓴 맛은 좋지 않은 맛으로 간주된다.



blanc de blancs 

n. 블랑 드 블랑. 프랑스어를 그대로 직역해 보면 ‘백에서 얻은 백’이란 뜻이다.
청포도품종(주로 샤도네이)으로만 만든 화이트와인이나 샴페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청포도는 영어로는 white grape라 하는데, 어떤 경우에는 백포도라 해석하기도 한다.
또한 검붉은 빛깔의 포도를 영어에서는 black grape라 하는데,
우리 말로는 적포도라 하기도 하고 문자 그대로 흑포도라 하기도 한다.
blanc de noirs와 반대되는 단어이다.



blanc de noirs  

n. 블랑 드 누아. 프랑스어를 그대로 직역해 보면 ‘흑에서 얻은 백’이란 뜻이다.
즉 적포도품종(삐노 누아, 삐노 므니에)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이나 샴페인을 가리킨다.
제조방법은 포도즙을 짠 뒤, 포도껍질의 색소가 물들기 전에
재빨리 포도껍질을 제거하면 된다.  blanc de blancs과 반대되는 단어이다.



blend  

v. 블렌드. 2가지 이상 다른 것을 섞는 것을 말한다.
서로 다른 포도품종, 포도원, 빈티지 등 여러 다른 요소들을 보다
더 좋은 와인을 만들기 위해 혼합한다.
최고급 와인부터 테이블 와인까지 거의 모든 와인들이 블렌딩된다.
보르도 와인의 경우 까베르네 소비뇽과 멜로를 블렌딩하며, 
샴페인의 경우 2~3가지의 빈티지들을 블렌딩한다.



blind tasting 

n. 블라인드 테스팅.
어떤 와인인지 라벨을 가린 상태에서 와인을 시음하고 평가하는 테스트.
두 종류가 있는데, 시음할 와인들의 이름은 안 상태에서
제공되는 순서만 모르게 하는 것과, 시음할 와인들의 이름, 순서 모두 모른 채
진행되는 테스트(double-blind tasting)가 있다.



body 

n. 바디. 입안에서 느껴지는 와인의 무게감이나 점성도, 질감을 표현하는 용어이다.
물을 입안에 넣었을 때의 느낌과 막걸리를 입안에 넣었을 때의 느낌 차이가 바로 바디다.
보통 라이트바디(light-bodied), 미디엄바디(medium-bodied),
풀바디(full-bodied)라고 표현한다.
풀바디의 전형적인 예는 까베르네 소비뇽이,미디엄 바디의 전형적인 예는 삐노 누아 이다.
와인의 바디는 알콜, 글리세린, 당의 함량에 따라 결정된다.



Botrytis cinerea

n.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특정한 기후 조건에서 생기는 회색곰팡이의 학명으로,
일명 귀부(고귀한 부패)를 만드는 곰팡이다.
포도껍질에 이 곰팡이가 자라면 포도 내의 수분을 증발시켜 당도를 높이고,
특별한 플레이버를 만든다.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디저트 와인,
독일의 트로켄베렌스아우스레제나 프랑스의 소테른 와인은
이 곰팡이 때문에 만들어진 와인이다.

귀부병에 걸릴 확률도 높지 않고,
아주 적은 양만 만들어지기 때문에 매우 비싼 것으로도 유명하다.


bottle age 

n. 병숙성. 병에 담겨진 와인이 바람직하게 숙성된 것을 말한다.
탄닌과 산도가 적당히 감소하고 부드러워졌을 때, 이런 표현을 한다.
‘This wine displays significant bottle age.'



bottle sickness 

n. 보틀 시크니스. 보틀 쇼크(bottle shock)이라고도 한다.
병입이나 선적 과정에서 와인을 부주의하게 다루었을 때 생기는 일시적인 현상을 말한다.
플레이버가 약해지고, 아황산의 냄새가 난다.
쇼크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다시 원래 상태로 되돌아 온다.



bottle-aged 

adj. 병숙성한. 와인이 병속에 병입된 상태에서 숙성을 하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양조장에서는 병입된 상태에서 와인을 숙성시킨다.
요즘은 와인이 너무 빨리 소비되는 경향이 있는데,
질 좋은 레드 와인 같은 경우 좀더 숙성시킬 필요가 있다.



bottled by     

v. 병입. 이미 만들어진 와인을 구입하여 단순히 병에 넣는 일만 했음을 말한다.
따라서 품질에 대한 보장은 없는 편이다.
비교적 저렴한 와인의 라벨에 많이 씌여있다.



bouquet   

n. 부케. 부케는 발효와 숙성 과정에서 일어나는 와인의 화학적 변화에 의해
형성된 향기를 말한다. 이에 반해 아로마는 와인의 원료로 사용된 포도 자체에서
나오는 향기를 말한다. 오크통에서 숙성시켰을 때 얻을 수 있는 오크향,
숯향이 바로 부케의 예이다.
그러나 점점 부케와 아로마가 동의어로 생각되어지는 추세이다. 아로마 참조.



breathe or breathing   

v. aeration 참조



breed   

n. 품종. 완벽에 가까울 만큼 조화롭고, 우아하고, 정교한 와인을 말할 때
와인의 ‘breed'를 언급한다. 와인의 ’breed'는 재배되는 토양에서부터,
포도품종, 양조 기술의 정확함 등이 영향을 미친다.



briary   

adj. briar은 장미덤불같은 가시많은 찔레덤불이다.
와인이 earthy(흙냄새같은)하거나 stemmy(줄기가 섞인)한 특성,
즉 식물성의 느낌을 가지고 있을 때 이 briary란 단어로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이 표현은 와인에게 있어서 부정적인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블랙베리의 향과 섞일 때는 와인에 산도와 강도를 부여해 주는 경향이 있다.
이 표현은 주로 캘리포니아 진판델 와인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된다.



bright    

adj. 원래는 ‘선명한, 빛나는, 생기있는’의 뜻이 있다.
만약 와인을 표현할 때 'bright blackberry flavors'라고 표현하면
블랙베리의 맛과 향이 와인 전체에 골고루 스며있다는 의미이다.
이것을 시적으로 표현한다면, ‘와인에서 블랙베리의 맛과 향이 빛난다’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와인의 투명도하고도 관련이 있는 단어이다.
bright wine의 반대는 dull(무딘, 단조롭고 지루한, 분명치 않은) wine,
혹은 cloudy(탁한, 흐린) wine이다.



brilliant    

adj. 원래는 ‘빛나는, 찬란한, 눈부신’의 뜻이다.
그러나 와인을 표현할 때는 와인의 투명도와 관련된 단어이다.
와인을 글라스에 따랐을 때 맑고(clear), 깨끗하고(clean), 밝으며(bright),
둥둥 떠다니는 입자가 보이지 않을 때 이 ‘brilliant'란 표현을 쓴다.
반대말은 ‘흐린 혹은 탁한’을 의미하는 cloudy, hazy이다.



Brix   

n. 브릭. 미국에서 포도와 와인에 들어있는 당을 재는 단위.
독일에서는 'Oechsle'을 사용하고, 프랑스를 포함한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는
'보메(Baume)'를 사용한다. 1Brix란 포도쥬스 100g에 들어있는 1g의 당을 말한다.
당의 함량이 높을 수록 와인의 알콜함량이 높아진다.
포도의 brix 수치가 20~25정도 되면 수확이 가능하다.
만약 이 포도로 당의 55%를 발효시키면 알콜함량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25 x .55 = 13.75% alcohol)



browning   

adj. 갈변.
1) 오래된 와인에서 숙성의 정도를 나타날 때 사용되는 용어.
만약 글라스 가장 자리로 갈변이 생겼을 경우,
그것은 충분히 숙성되어 이제 막 절정기를 지나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런 정도라면 아직도 충분히 즐길만한 상태이다.

2) 영한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인 경우 이 갈변은 매우 나쁜 징조이다.
양조과정 중 산소에 너무 많이 노출되어 있거나
보트리티스 시네리아균 때문에 숙성을 잘못했다는 표시이다.



Brunello     

n. 브루넬로.
이탈리아 투스카니의 몬탈치노 지역에서 재배되는 적포도품종.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와인 중의 하나이다.
가장 대표적인 게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인데,
100% 브루넬로 포도품종으로만 만들어져야 하며,
적어도 4년은 숙성을 해야한다는 게 법으로 정해져 있다.
끼안티 와인보다는 무겁고, 풍부하며, 색도 더 짙다.
10년이상 장기 숙성을 하면 매우 좋다.



brut    

n. 브뤼. 프랑스어로 raw(가공하지 않은, 원료 그대로의)의 뜻이다.
샴페인이나 스파클링 와인이 드라이한 맛을 지녔을 때 이 단어로 표현한다.
이 brut는 dry보다 더 드라이한 맛을 나타낸다.
가장 드라이한 것부터 스위트한 것까지의 표현을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다.
brut zero -> brut nature -> extra brut -> brut sauvage ->
brut (dry) -> extra dry -> sec(slightly sweet) ->
demi-sec (fairly sweet) -> doux (definitely sweet).
와인 라벨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표현은 brut, extra dry, demi-sec이다.



Bureau of Alcohol, Tobacco, and Firearms (B.A.T.F.)   

n. 미국 재무부의 알콜담배화기국. 이곳에서 와인산업을 관장한다.



burnt    

adj. 원래는 ‘불에 탄, 그을은’이란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이다.
와인을 저장, 숙성하는 동안 열과 산소에 노출이 많이 되었을 경우
불에 탄 듯한 냄새나 색을 가지게 되는데, 이런 와인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이런 표현을 하는 와인은 일반적으로 질이 안 좋은 와인을 의미하지만,
마데이라(Madeira)와인은 예외적이다.
마데이라 와인은 일부러 고온에서 숙성시켜 이런 특성을 가지게 하는 와인이다.



buttery   

adj. 버터향이 나는.
샤도네이 와인이나 부르고뉴 화이트 와인을 묘사할 때 쓰는 표현이다.
이 향을 얻기 위해 오크통에서 발효와 숙성을 하는데,
포도즙을 짜낸 후의 술지게미와 침전물을 치우지 않고
함께 발효시킴으로써 이 향을 얻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