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카(Vodka)
마법의 술

원산지
러시아

원료
최초에는 포도주를 사용했고 그 후에 감자를 사용하다 지금은 주로 곡물(호밀, 보리, 옥수수)을 발효 증류시켜 만든 무색, 무미, 무취한 증류주

ㆍ북유럽과 러시아 - 감자
ㆍ미국, 영국 - 옥수수(Corn), 호밀(Wheat) 등
ㆍ네덜란드 - 감자와 곡물을 혼합

보드카의 역사

ㆍ11~12세기경 러시아, 폴란드인이 제조하기 시작하였다.

ㆍ러시아어의 Vodka는 물이라는 뜻으로 "생명의 물'을 의미한다.

ㆍ1810년 활성탄을 이용한 여과법을 개발하여 품질을 향상시켰다.

ㆍ1917년 러시아 혁명이후 러시아인이 타국으로 망명하여 세계에 전파되었다.

ㆍ1933년 미국의 금주법 폐지로 보드카를 제조하게 되었다.

ㆍ1939년경부터 미국에서 칵테일을 만드는데 기본주로써 급격한 발전을 하였다.

보드카의 제조과정

곡류발효 → 증류 → 활성탄여과 숙성하지 않는다.

보드카의 특징

① 러시아의 국민주
② 무색, 무미, 무취의 독특한 술
③ 보드카는 향료의 첨가 대신 활성탄(자작나무)으로 여과하여 냄새를 없앤다.
④ 무색, 무미, 무취의 특성을 이용하여 각국에서는 칵테일의 기주로 많이 사용
⑤ 보드카의 원료는 밀, 감자, 호밀(Rye), 사탕 비트(Sugar Beet). 옥수수(Corn) 등
⑥ 1000℃ 이상으로 태운 Paulownia Wood(자작)의 활성탄에 주정을 15∼30회 여과시키고
1급이 되려면 모래로 걸러 목탄냄새를 제거한다.

보드카의 분류

① 중성보드카(Netural Vodka)

ㆍ무색 투명한 것으로 보드카의 대부분을 차지
ㆍ증류후 여과과정을 거친 후 별도의 숙성기간을 거치지 않고 바로 증류수로 희석시켜서 병입한 제품
ㆍ칵테일을 만드는 기주로 많이 이용

② 골드 보드카(Gold Vodka)
ㆍ증류 후 여과과정을 거친 다음 일정기간 오크통에 저장
ㆍ연한 황갈색을 띰 - 오크농안에서 색이 우러나오므로

③ 즈브로우카(Zubrowka, Zubrovka)
ㆍ폴란드에서 생산되는 보드카
ㆍ관목의 잎을 첨가하여 엷은 갈색과 소박한 맛을 곁들인 화주
ㆍ병속에 풀잎이 들어있다.

④ 플레버드 보드카(Flavored Vodka)
ㆍ보드카에 여러 가지 과실을 첨가하여 향과 맛을 입힌 보드카
ㆍ스트레이트(Straight)로 마심
ㆍ원료 : 오렌지(Orange), 레몬(Lemon), 라임(Lime), 민트(Mint)

보드카의 유명상표

① 러시아보드카
모스코프스카야(Moskovskaya), 스톨리치나야(Stolichinaya), 스톨로바야(Stolovaya)

② 아메리칸 보드카
스미노프(Smirnoff), 사모바르(Samovar), 하이럼 워커(Hiram's Walker)

③ 네덜란드 보드카
볼스(Bols), 드 쿠퍼(De Kuyper)

④ 잉글랜드 보드카
고던스(Cordon's), 길베이스(Gilbey's)

⑤ 기타
엡솔루트(Absolute), 핀란디아(Filandia),

                                                                           * 출처 : 칵테일 사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