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오울프
닐 게이먼.케이틀린 R. 키어넌 지음, 김양희 옮김 / 아고라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북유럽의 신화를 작가적 재해석으로 탄생한 소설이라고 해서 관심이 간 소설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 판타지나 신화류를 좋아해서 더 귀가 솔깃했는데다가 '백투더 퓨쳐'감독이 영화로도 만들었다기에 책을 먼저 읽고 싶었는데, 여건상 영화를 먼저 보게 되었네요.

안타깝게도 한국에서는 영화가 그다지 빛을 보지 못했습니다. 아마도 실사가 아닌 애니메이션이어서 더 그랬던것 같아요. 솔직히 저 역시 영화를 보기 전까지는 애니메이션인지 몰랐습니다. 하지만  실사 같은 애니매이션에 감탄이 절로 났고, 무척 재미이있게 봤어요. 물론 '반지의 제왕'처럼 실사를 했으면 어땠을까?하는 생각이 들긴 했지만 또 다른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괜찮았던것 같습니다. 조금 안타까운것이 있다면 소설보다 영화를 먼저 봤다는것이지요.

책을 읽기 전에는 이 책이 영화보다 먼저 인줄 알았어요. 그래서 읽으면서 영화 참 잘 만들었군..하는 착각에 빠졌습니다. 다 읽고나서야 영화를 소설화한거더군요. 물론 같은 작가가 영화 시나리오를 맡았다고 하지만 그래서인지 개인적으로 영화보다는 책을 먼저 읽는 쪽을 권하고 싶어요.

책이 영화보다 각 인물들의 심정을 더 잘 묘사했고, 영화에서 알려줄수 없었던 북유럽의 신화에 대한 지식을 좀 더 알수 있다는 점이 책을 읽고 영화를 본다면 더 재미있겠지만, 영화를 보고 책을 읽는다면 소설화한 영화라서인지 전반적인 스토리에서 주는 긴장감이 사라져서 아쉽더군요.

흐로드가르왕은 한때 영웅이었던 왕이지만 이제는 늙어 병약해진 한낱 보잘것 없는 인간으로 전락합니다. 그에게 한가지 근심이 있다면 바로 '그렌델'이라고 불리는 괴물인데, 그 괴물을 무찌를 자신을 대신할 영웅을 기다립니다. 그리고 베오울프는 흐로드가르왕의 바람대로 '그렌델'을 무찌릅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베오울프 역시 흐로드가르왕의 저주를 안고 살게 되었네요.

책 속에서 나오는 그렌델과 화룡은 흐로드가르왕과 베오울프의 자식인 동시에 자신의 또 다른 자아이기도 합니다. 자신의 마음속에 있던 괴물이 물의 여인을 통해 형체를 갖추게 된것이지요.

책속의 주인공은 베오울프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렌델과 화룡의 어미인 물의 여인이 마음에 드는 캐릭터네요. 인간의 시각에서 그녀는 괴물이지만, 그녀가 보인 모성이나 인간에 대한 경계심 그리고 인간을 너무나 잘 이해하는 그녀를 보면서 괴물이란 입장차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녀의 입장에서 자신과 다르다는 이유로 자신들을 적대시하고 멸종시킨 인간이, 그녀 종족에게는 괴물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책이 흥미로운것은 북유럽 신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라는 점 외에도 마녀와 괴물이 등장하던 고대에서 인간이 지배하게 되는 중세로 넘어가는 시점이 등장한다는것이었습니다. 신화와 전설의 시대는 막을 내리고 기독교의 시대로 들어서면 어쩜 우리는 또 다른 형태의 괴물들과 마주하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소설은 영화와는 약간의 다른 결말을 보여주었는데, 개인적으로는 소설속 결말이 더 마음에 들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저는 영화보다는 책 쪽으로 손을 들어주고 싶네요.

*

책의 주석은 뒤에 수록 되어 있어서 읽기 불편했다는 분들이 많으셨는데, 저는 전자책을 읽어서 주석을 글과 함께 볼수 있어서 그런 불편은 없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