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국지 제9권 - 출사표
나관중 원작, 이문열 평역 / 민음사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제 끝이 다가오니 유비의 죽음이 그 차례라는 것을 알지만, 그래도 유비의 죽음은 삼국지를 더 이상 읽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게 하네요. 정말 삼국지를 세번 던지게 했다는 죽음다웠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이 책을 끝까지 읽게 하는 것은 제갈공명의 힘이지요.
이번편에서 가장 빛나는 점이 있다면 제갈량이 맹획을 얻는 과정이 아닌가 싶어요. 적군의 장수를 7번 잡아 7번 놓아주어 힘과 꾀뿐만 아니라 마음으로 그를 자기편으로 이끌게 했으니깐요. 솔직히 맹획의 무모함을 보면 어리석어 보일지 모르지만, 그래도 그 무모할정도의 어리석음과 같은 민족애를 보면서 한편 그가 그 스스로 목숨을 내놓지 않고 제갈량의 편으로 들어간것이 왠지 서운할정도였습니다.
또한 이번에 제갈량과 사마의가 충돌하면서 이제 사마의의 시대가 시작되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마의는 제갈량을 물리칠만한 인물이어서 그의 뛰어남에 호감을 가질법도 한데, 사람들은 제갈량을 너무도 사랑한데다가 사마의가 위의 인물이라는 점 그리고 그후에 일어난 일들 때문인지 솔직히 사마의의 성공보다는 실패에 더 관심을 가지고 통쾌해하는 것 같습니다.
아무튼, 삼국지에 여러인물중에서 제가 가장 사랑하는 인물은 바로 조운이 아닌가 싶어요. 유비, 조조, 손권, 제갈량, 관우, 장비도 좋았지만, 그래도 그들에게는 한가지 이상의 단점들을 가지고 있는것에 비해 조운은 그 중에서 가장 완벽해 보이는 인물 같아요. 더군다나 이번편에는 노익장을 과시하면서 더 그의 매력에 빠져들게 되었어요. 아마도 저는 다른 인물들보다 조운이 죽게 될때 삼국지를 집어 던지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