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제왕의 생애 (반양장)
쑤퉁 지음, 문현선 옮김 / 아고라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읽으면서 한해에 얼마나 책을 읽었나를 알기 위해 카운트를 한답니다. 그래서 의미있는 숫자에는 제가 좀더 기억하고 싶은 책을 골라서 읽기도 하지요. 올해는 여러가지 일들이 있어서 작년보다 책을 많이 읽지 못해서 좀 아쉽네요. 그래도 상반기에 100권정도 읽었으니 다행이다 싶어요. 

올해의 100번째 책으로 쑤퉁의 ‘나, 제왕의 생애’를 선택했습니다. ‘이혼 지침서’를 통해 그를 알게 되었는데, 3편의 중편 중에 영화 ‘홍등’으로 탄생한 ‘처첩성군’이 무척이나 인상적이었거든요. 그러고보니 쑤퉁과의 인연은 책이 아닌 영화가 먼저였네요.

‘이혼지침서’, ‘쌀’, ‘나, 제왕의 생애’를 읽다보면 중국인의 삶을 읽을수 있어 좋았습니다. 우리나라와 가까운 나라임에도 솔직히 중국 소설은 그다지 많이 읽은 편은 아니었어요. 그래도 요즘은 중국소설을 많이 출판해서 조금씩 접하고 있는데, 우리의 삶과 비슷해서인지, 대체로 소설속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고, 그래서 만족스럽더군요.

‘나, 제왕의 생애’는 앞의 2편의 책보다 제목과 책 디자인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검정색 바탕으로 붉은색 두건과 옷을 쓴 소년의 모습은 왠지 불길해 보이면서도 붉은 새는 희망적이 느낌이 들었거든요. 게다가 뒷표지에 커다란 둥근 달을 배경으로 줄타기를 하는 모습은 작은 그림이었지만 제게는 아주 크게 다가올정도로 무척이나 인상적이었습니다.

왕위 서열이 가장 낮은 다섯명의 아들중에 다섯째로 태어난 단백. 그래서 그는 아버지의 죽음은 자신과 무관하다고 생각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는 장자 단문을 제치고 섭국의 제왕이 됩니다. 어린나이에 제왕이 된다는 것은 그의 생애에 있어 행운이 아닌 불행일뿐이지요.

한 나라를 절대 권력자인 제왕의 자리에 올라갔지만, 단백은 어리다는 이유로 할머니와 어머니의 어릿광대로 전락하게 됩니다. 아직 그는 권력보다는 작은 새와 놀이가 더 좋은 철부지 왕이었습니다. 하지만 제왕의 삶을 통해 권력이라는 것이 얼마나 무서운것인지, 그리고 자신을 둘러싼 적들로 인한 불만과 공포심을 어린이가 가지고 있는 순수한 잔인성으로 표출합니다.

허수아비일뿐인 제왕은 자신이 사랑하는 여자를 지킬 힘도 었습니다. 솔직히 단백의 입장에서 여러 비빈들의 질투, 권력투쟁을 보면서 무척 피로하고 힘들었을거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아마도 그것은 단백 뿐만 아니라 모든 제왕이 가져야 할 또 하나의 짐이 아닌가 싶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여자라서인지 단백의 입장보다는 여자의 입장에서 보게 되는 것 같아요.

어린나이에 비빈이나 궁녀로 뽑혀 궁으로 들어가, 왕의 사랑 한번 받아보려고 몸부림치고, 사랑을 받으면 그 사랑을 유지하려고 몸부림치고, 그 사랑 때문에 살아남으려 몸부림치는 그녀들을 보면서 그래서 자신밖에 믿을사람이 없다는 것을 알 때 무척 고독하고 두려울거란 생각이 들었어요. 결국 그녀들의 삶은 왕이 죽을 때 흰수건을 받아 함께 죽는걸로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아무리 부귀영화가 있다더라도 궁궐 안에서는 왕도 왕의 여자도 한 마리 작은 새보다 못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단백에게 빼앗긴 제왕의 자리를 호시탐탐 노리던 단문은 자신의 세력을 키워 힘으로 제왕의 자리를 빼앗습니다. 솔직히 빼앗았다기 보다는 자신의 자리를 되찾았다는 것이 더 옳았겠네요. 단백 역시 제왕의 삶이 자신의 삶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었고, 이 모든 것이 할머니의 계략이었다는 것을 알았기에 더 제왕의 자리에 욕심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아니 오히려 그는 제왕의 자리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것 같아요.

제왕이었던 자가 평민으로 산다는 것이 큰 치욕이고, 고통일거라고 생각한 단문을 보면서 어쩐지 불쌍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어쩜 자신이 제왕이 될거라 기대했다가 제왕이 되지 못해 절망하고 고통받았던 시간이 자신에게 가장 힘들었던 시기였다고 생각했었는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내린 형벌이 단백에게 새장속에 갇히 새의 새장을 열어주어 세상밖으로 풀어준 행위라는 것을 알았다면, 그리고 그가 그 새장에 갇혔다는 것을 알았다면, 그는 새장을 열었을지 궁금하더군요.

어릴적 자신의 수족인 연랑과 함께 저잣거리에서 만난 줄타기 광대에 마음을 빼앗긴 단백은 평민이 되는 동시에 그의 꿈을 향해 ㅤㅉㅗㅈ아 갑니다. 그리고 진짜 광대가 되어 줄 하나에 의지해 하늘을 날아다니지요.

사실 줄 하나에 목숨을 의지해 사는 광대를 보면 언제 땅 아래로 떨어질지 몰라 가슴이 조마조마하게 되는데, 단백을 보면서 오히려 광대의 삶이 더 안전하고 행복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왕으로써의 삶 역시 언제 끊어질지 모르는 권력이라는 줄 위에서 곡예를 하는 것인데, 그 줄이 광대의 줄보다 더 가늘고 힘이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거든요.

초반에는 제왕이 된 단백의 불안한 심리는 저를 초초하고 심란하게 만들었지만, 광대가 된 단백은 진정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은 한다는 기쁨을 느껴서 저 또한 함께 행복해지게 되더군요. 비록 그가 제왕이었던 시절의 모든 것이 허망하게 사라져버렸지만 한줄의 줄과 한권의 책만이 그의 곁에 남아 그의 존재의 힘이 되어줍니다.

개인적으로 한 작가가 마음에 들면 그 작가의 책을 계속적으로 선택해서 읽게 되는 것 같아요. 그 작가가 가지고 있는 스타일이 마음에 들거든요. 쑤퉁도 그런 작가중에 한명이랍니다. 앞으로 출판될 그의 다른 작품들이 기대되네요.

아참! 그전에 ‘쌀’을 읽으면서 작가의 서문이 없어 아쉬웠었는데, 이번 ‘나, 제왕의 생애’에서는 작가의 서문이 있어 반가웠어요. 책을 읽다보면 작가의 서문이나, 번역하는 분의 생각이 없으면 왠지 책에 소홀한 느낌이 들었거든요.^^  그리고 이 책 때문에 언젠가 ‘논어’를 한번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雨裝愚齋 2007-07-06 0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또한 쑤퉁의 작품을 찾아 읽었죠...이혼지침서, 쌀, 그리고 아직 이 책은 보관만 하고 있죠....제 이름과 작가의 싸인이 들어 있는 책이라서 그런지는 몰라도....좀 아껴 두었다 읽어야지 하고 생각중이죠..한번 논어를 읽어보시겠다니...시장에서 구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시공사에서 나온(혹은 나왔던) 논어를 한번 보심이 어떠실지...

보슬비 2007-07-08 06: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인회에 가셨군요.^^ 스토리 마음에 들었답니다.
시공사의 논어 한번 찾아보도록 할께요. 하지만 여건상 아마도 전자책에서 찾아봐야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