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국지 제2권 - 구름처럼 이는 영웅
나관중 원작, 이문열 평역 / 민음사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정말 삼국지는 여러 번 읽어봐야하는 책인 것 같아요. 예전에는 그저 중국의 한 역사속의 이야기를 읽는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지금은 삼국지에 나오는 방대한 인물들을 통해 그들의 장단점을 느끼고 사회생활에서 어떻게 행동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예를 들어 천자의 옥쇄를 가지게 된 손견은 자신의 결백을 주장한다고 하늘에 대고 맹세를 하지만 결국 자신의 말처럼 죽게 됩니다. 아무리 헛말이라고 해도 말조심해야겠다는 생각도 들고, 원소와 조조가 관우를 태하는 태도에서 리더의 자질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하더군요.
동탁을 무찌르기 위해 조조, 원소, 손견, 유비가 만나게됩니다. 먼 훗날 제웅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싸우게 되는 인물이지요.
이번편에서 몇가지 기억나는 사건들이 있다면 바로 관우가 화웅의 목을 베러가는 사건이지요. 화웅을 목을 베고 데운 술을 마시겠다던 관우의 호기, 그리고 그런 관우를 흠모하게 되는 조조, 하지만 장수의 자질을 보기보다는 사회적인 배경만으로 사람을 판단해버리는 원소의 좁은 소견을 느끼게 했지요.
또 하나 바로 완윤이 자신의 가비인 초선을 이용해 연환계를 써서 동탁과 여포를 물리치지요. 하지만 여기서도 왕윤의 너무 융통성없음은 자신을 죽음으로 내몰뿐만 아니라 동탁을 물리쳤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황실을 역적들에게 빼앗기게 만들어버립니다. 때론 작은 관대함이 큰일을 도모할 때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비록 신의도 없고 지혜도 없는 여포이지만, 여포가 유비, 관우, 장비와 함께 어우러져서 싸우는 장면은 그의 무술이 대단하다고 느끼기도 했고, 예전에는 못 느꼈던 3:1 싸움은 좀 불공평하지 않아?하는 생각이 들더군요.ㅎㅎ
이제 서서히 원소, 조조, 유비, 공손찬이 기반을 잡아가기 시작합니다. 여기에 손견의 아들 손권도 가세하게 되고, 또 제왕의 재질이 없는 인물들은 간추려지겠지요. 이제 삼국지를 단순히 이야기만이 아닌 인물들간의 지략을 읽게 되니 한층 재미있어지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