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화 <더 존 오브 인터레스트>는 2023년 제76회 칸 영화제 심사위원대상, 사운드트랙 수상.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 장편국제영화상 및 음향상을 수상했다. 아우슈비츠 유대인 학살 장면은 단 한 컷도 없지만, 그것을 상상하게 만드는 소리로 울림을 주는 영화. 사운드트랙과 음향상을 수상한 이유이기도 하다.
2. 독일 장교 루돌프 회스와 그의 아내가 꾸려가는 집과 정원을 영화 내내 보여주지만, 머릿속에서는 이 집의 담 너머 들려오는 총소리와 비명, 굴뚝 연기를 통해 비참한 장면을 떠오르게 만든다. 하지만 너무나 평온하고 지극히 따분할 정도의 일상이 시종일관 비쳐지면서 감독의 의도와는 다르게 개인적으론 비극의 강도가 오히려 덜어진 느낌이다. 물론 많은 이들은 그와 같은 극명한 대조를 통해 비극이 강하게 드러난다고 평하고 있지만.
3. 이 영화는 그야말로 한나 아렌트가 말하는 '악의 평범성'을 보여주는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유대인 학살을 저질렀던 이들이 뿔 달린 악마가 아니라 우리와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라는 주장. 상부의 명령에 복종하며 그 일의 도덕성 등을 판단하지 않고 그대로 수행하는 관료적인 사람일 뿐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판단력을 잃어버리고 체제에 갇힌 평범한 사람들의 각성이 필요한 셈이다. 하지만 영화 <더 존 오브 인터레스트>의 주인공 루돌프는 자신의 행위를 돌아보고 도덕적 판단을 내려, 반성하고 바로잡을 수 있을까. '악의 평범성'이 지닌 한계일 수도 있겠다.
4. 루돌프의 관심은 상부로부터의 인정과 승진이다. 그래서 유대인 학살을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회의를 통해 소각장 설계를 새롭게 하는 등 일중독에 빠져 있다. 그의 아내는 집을 가꾸기 위해 정원을 디자인하고, 풀장을 만들고, 아이를 키우며 자신의 파라다이스를 만들어 간다. 남편의 전근 소식에도 남편 만을 전근지로 보내고, 자신은 이곳에서 아이들과 남겠다는 결의까지 보인다. 이곳의 여인들은 유대인 학살로 남겨진 옷과 장신구 등등에서 자신들에게 필요한 것들을 서스럼없이 가져온다.
5. 루돌프 집을 둘러싼 담 너머는 유대인 수용소이자 소각장이다. 이들은 유대인을 사람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그래서 총소리와 비명은 그저 생활소음에 그친다. 아니 애당초 그들의 귀에 들리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이 장면에서 상상력이 중구난방으로 날뛰며,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곳도 담을 치고 담 너머에 소, 돼지, 닭을 키우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한다. 조금 도를 지나친 상상이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생명을 함부로 다루면서 우리도 모른 척 일상을 보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사람을 넘어 동물로 그 대상을 확대해 본다. '살상의 평범성'이라고나 해야할까.
6. 루돌프가 아이들을 보트에 태우고 강물을 오가고, 자신은 낚시를 즐긴다. 그런데 강물에서 뼛조각을 발견한다. 강물에 떠다니는 재와 뼈. 물은 담을 넘어 흘러간다. 아무리 눈에 보이지 않게 감추어 놓아도 그 흔적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다. 루돌프는 황급히 아이들을 보트에 태우고 집으로 돌아와 마치 자신의 범죄를 모두 씻어내리는 냥 온몸을 박박 씻어낸다. 아이들도 재차 씻기고 또 씻긴다. 하지만 강물의 재는 씻겨내려가더라도 그의 죄는 씻겨 내려가지 못했을 것이다.
7. 루돌프 가족을 바라보던 카메라는 갑자기 수용소의 남겨진 신발들을 전시해 놓은 현재의 전시관 모습을 비친다. 순간 편집 사고처럼 느껴질 정도의 이질감. 관리하는 사람들은 이 전시관의 유리를 박박 문질러 닦고, 바닥도 청소한다. 또다시 씻어내는 이미지들. 이번엔 씻음을 통해 과거의 잔혹한 역사가 보여진다. 감추어진 것들이 드러나는 것이다. 죄악은 아무리 담을 쌓아 견고히 감추려 해도 결국 드러나기 마련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평범한 악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