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 왜 이렇게 안 들어가?"
짜증이 확 올라온다. 충전식 예초기의 모터 부분과 조정간 부분을 연결하는 것이 쉽지 않다. 처음 예초기를 사고 조립할 때는 이렇게 어렵지 않았는데, 이번엔 왜 이렇게 안되지?
충전식 예초기는 작년에 구입했다. 1년 간 잘 사용했는데, 워낙 돌이 많은 곳이라 충격을 많이 받아서 모터 부분에 유격이 생겼다. 축이 흔들거리다 보니 예초기 날도 흔들거려 위험했다. 할 수 없이 모터를 바꾸려고 했지만, 모터 만 바꾸는 것은 불가능했다. 모터와 함께 달려있는 막대부분까지 통째로 갈아야 했다.
새로 모터 부분을 주문해서 다시 조립을 시작했다. 그런데 왠걸? 좀처럼 새 부품이 조정간 쪽에 들어가질 않는다. 고무망치로 두들겨 보기도 하고, 조립되는 부분이 좁아서 그런가 싶어 칼로 조금 헤집어 보기도 하고... 새벽에 조립을 시작했는데 해가 뜨겁게 내리쬐기 시작한다. 1시간 가까이를 쩔쩔매다 보니 땀도 줄줄 흐른다.
'아무래도 이상한 걸, 이렇게까지 안 들어갈 리가 있나?'
둘의 접합부분이 계속 같은 부분에서 끝나는 것이 이상했다. 기존의 고장 난 것을 가져와 봤다. 새로 결합한 것을 옆에 두고 비교해보니, 웬 걸? 길이가 똑같다.
'이게 뭐야?'
둘의 조립을 위해 붙여 놓은 기준 스티커가 5미리미터 가량 위에 붙어 있었다. 즉 기준선이 잘못 되어 있었던 것이다. 기준이 잘못 됐으니, 아무리 기준에 맞추어 조립해도 맞지 않았던 것이다. 그나마 기존의 것을 잣대로 비교해 보고서야 기준이 잘못된 것을 알았다.
우리 삶의 기준은 제각각이다. 서로 기준이 다르다 보니 충돌하고 갈등을 빚기도 한다. 소위 진보와 보수는 그 기준이 반대쪽에 있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이렇게 다른 기준도 합의된 잣대를 가질 수는 있다. 이 잣대가 없다 보니 서로 자기의 기준에만 맞추려 한다. 땀만 뻘뻘 흘리고 결과는 도출해내지 못한다. 서로 다른 기준을 인정하고, 서로 합의할 수 있는 잣대부터 만들어야 한다. 잣대가 없는 세상이 너무 시끄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