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8월 15일 소나기 25도~31도


가지치기와 주위 풀베기, 퇴비 주기 이외에는 거의 손을 쓰지 않은 작물들을 수확하자니 의구심이 든다. 올해로 벌써 4년 째인데, 과연 생태적 균형을 갖추는 시간은 얼마나 필요로 하는 것일까. 



올해 시험 삼아 처음 심어본 옥수수의 경우엔 병에 걸리거나, 알곡이 잘 여물지 않거나, 벌레 피해를 입는 것이 많았다. (사진 속 벌레는 주홍긴날개멸구) 그래도 몇 개 수확할 수 있는 것에 만족해야 하려나. 토종옥수수 일부와 초당옥수수 일부를 따로 떨어뜨려 심었는데도 두 종이 섞이는 현상이 발생한 듯하다. 게다가 자라는 속도가 너무 달라서 일시에 수확하는 것도 힘들었다. 도대체 언제 수확을 해야 할지 가늠하는 것도 문제였던 것이다. 수확한 것 중 먹을만 한 것들을 쪄보니, 어떤 것은 딱 알맞은 시기여서 맛이 괜찮았지만, 일부는 너무 일찍 따서 덜 여문 것도 있고, 일부는 너무 늦어서 딱딱한 것도 있었다. 일시에 수확하는 농부들이 대단하다 여겨진다. 



루비에스 사과 또한 마찬가지다. 벌레와 병 탓인지 제대로 생긴 것은 단 한 개도 없다. 모두 울퉁불퉁 못 생긴데다, 검게 그을린 자국들도 많다. 그나마 먹을만하지 않을까 싶은 것들만 추려 보았다. 



배도 열매가 많이 달렸다고 좋아했지만, 이번 장마 기간에 탄저를 비롯해 벌레 피해가 극심하다. 열린 것 중 절반 정도는 피해를 입은 듯하다. 언뜻 보기에 괜찮아 보이는 것들도 과연 수확 때까지 버텨줄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럼에도 올해는 과수마다 열매를 꽤 맺어줬다는 것에 희망을 품어봄 직하다. 지난해까지는 열매 자체가 거의 맺지 않았다. 물론 아직 어린 나무인 탓도 있을 것이다. 올해 과수들의 피해를 실감했으니,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과연 이대로 계속 키워가면서 생태적 균형점을 스스로 찾아가도록 할 것인지, 아니면 식물추출물을 비롯해 다른 친환경적 방법을 통해 방제를 하는 수고를 들여야 할지 선택해야할 시기라 여겨진다. 과수를 전문적으로 하지 않고 집에서 몇 그루 따 먹는 수준이니, 몇 년이고 기다려보는 것도 어떨까 싶지만, 밭의 환경이 산 속도 아니고, 경계에 있다보니 생태적 균형이라는 것이 과연 가능할지도 의문이다. 


비록 몇 그루 안된다 하더라도 친환경적 방제를 궁리해야 할 성싶다. 올해 선녀벌레와 갈색날개매미충이 극성이었으니, 내년엔 더욱 심해질 것이다. 대책을 세우지 않는다면, 블루베리밭도 엄청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크다. 외래해충을 제어해 줄 생태적 방법이 요원하다는 것에 문제가 있다. 그렇기에 방제라는 농사적 수고를 꽤 공들여야 하지 않을까 싶다. 결국 자연의 힘을 이용한 농사에서 농사에 방점을 두어야 할 상황이라 판단된다. 어슬렁 어슬렁 농사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어느 정도 균형을 잡아갈 때까지는 보다 더 수고로운 농사가 될 성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하수 2022-10-21 08: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해 농사지으시니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내년엔 친환경 농법 성공하시길 기원합니다^
 


현 정부 들어 첫 주택 관련 대책이 나왔다. 5년 간 270만호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한다. 그래서 주택공급대책이다. 집값의 고공행진이 집이 부족해서라고 판단해서일 것이다. 전 정부에서는 집값의 원인을 다주택자에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다주택자가 집을 내놓도록 하기 위한 대책 등이 쏟아졌다. 하지만 결과론적으로는 실패였다. 그렇다면 이번 정부의 주택공급대책은 성공할 수 있을까. 


개인적으론 필패라고 본다. 집값을 잡는냐 못 잡는냐의 문제가 아니다. 집값의 일정 부분은 너무 많이 풀린 돈 탓도 있다. 이 돈을 어떻게 거두어 들일 것인가도 집값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주 요인이 될 터이다.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전 정부도 현 정부도 이 모든 정책이 서울과 수도권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즉 서울로 수도권으로 모두 들어와 살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는 것이다. 집값을 잡을 테니, 또는 집을 마련할 테니 서울과 수도권에서 살라는 것이다. 인구의 절반이 서울과 수도권에 몰려 있음으로 인해 많은 문제가 벌어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지역은 소멸이라는 단어를 앞에 두고 있다. 균형 발전이 아니라 쏠림으로 인해 서울과 수도권은 그들 나름대로, 지역은 지역별로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런 쏠림 현상을 해결하고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근원적인 집값 해결책은 아닐까. 5년 간 서울과 수도권에 270만 호의 주택을 공급할 것이 아니라 5년 간 270만 명을 서울과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서 살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 270만 명이 지역으로 들어와 사는 것이 오히려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서울과 수도권 중심의 쏠림의 철학에서 벗어나 지역이 살아날 수 있는 상생의 철학을 갖는 것이 먼저일 것이다. 생각의 변화가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딸내미가 코로나에 걸렸다. 추측컨데 서울 나들이에서 전염이 된 것은 아닌가 생각된다. 혹시나 코로나인지 아닌지 고민이 되는 사람들에게 판단에 도움이 되는 한편 코로나 병증 진행 상황에 대한 기록을 위해 확진 전후 1주일 정도를 남겨본다.


서울 나들이는 전주 목요일. 버스, 지하철은 물론 식당 등등 사람들이 많은 곳을 다니다 보니 이 과정에서 전염이 된 것은 아닐까 추측해본다.

첫 증상은 월요일 저녁. 그러니까 서울 나들이 후 4일 지나서 부터다. 목이 따끔거리며 아프다고 한다. 인후통 시작. 평소 1년에 2~3차례 편도선염을 앓기에 코로나라기 보다는 편도선염이 아닐까 생각했다. 


화요일 아침 자기진단을 해보니 음성. 병원을 향했다. 병원에서도 진단검사를 해서 음성. 편도선염 약을 받아 집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저녁부터 열이 나기 시작하면서 두통까지 호소. 아무래도 코로나가 의심된다. 



수요일 아침 자가진단 양성. 1~2분 후 엷게 나타나던 T의 선이 시간이 지날 수록 짙어진다. 보건소를 찾아서 PCR 검사. 열이 나면서 아픈 아이를 보건소까지 데려가는 것도 쉽지 않다. 수요일 저녁부터는 고온과 두통. 해열제를 먹여야 할지 고민이 됐다. 검사 결과가 나오기까지 가장 아픈 하루였다. 결과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인지라 약을 쓰는 것도 애매하다. 오직 해열제 정도만 가능한 상태. 딸내미가 해열제 없이 버틸 수 있을 것 같다고 해서 참아보기로 했다. 딸아이는 밥 먹는 시간 빼고 하루 종일 잠만 잔다. 실제 이 기간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가장 난감했다. PCR검사 받은 후부터 확진 판결 전까지 대처 상황에 대한 안내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목요일 아침 양성 판정 결과 통보 받음. 하지만 증상은 오히려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아직 열은 있지만 고온에서 미열로 내려온 상태. 두통도 조금 나아졌다. 다만 목이 아픈 것은 여전하다. 다행히 열이 내려서 지켜보기로 했다. 이날까지 딸내미는 계속 잠을 청했다. 보건소에서 연락이 옴. 코로나 치료할 수 있는 근처 병원 등을 알려줌. 


금요일이 되자 열은 거의 내렸다. 아주 조금 미열 상태. 두통도 많이 가라앉았다. 다만 목이 아픈 것은 지속되고 코가 막히기 시작했다. 입맛이 별로 없는지 밥은 조금밖에 먹지 않는다.


토요일이 되자 열은 다 내렸고 두통도 사라졌다. 코막힘과 목 아픔은 계속. 간혹 마른 기침. 코가 막히고 목이 아픈 탓인지 맛을 잘 구별 못하는 듯. 평소 그렇게 잘 먹던 라면이나 치킨도 몇 번 씹고는 만다.


일요일부터 화요일까지 코 막힘과 인후통 지속. 강도는 세지 않고 조금 불편한 정도. 화요일 자정을 기해 자가 격리가 끝났지만, 후유증이라고나 할까. 마른 기침과 목 아픔, 코 막힘은 살짝 불편할 정도로 계속 된다. 생활에 지장은 없을 정도. 이제 일상으로 돌아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영화 [프레이]는 [프레데터]의 프리퀼적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런데 이번 영화는 의외로 디즈니+에서 만나볼 수 있다.

 

디즈니에서도 19금 액션영화를 만드는 구나. 첫번째 놀라고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액션 연출에 두 번 놀라고

그럼에도 여전사의 성장기라는 디즈니적 요소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세번 놀란다. 


[프레이]는 우주선에서 외계 생명체(프레데터) 1명이 스텔스 기능으로 아메리카에 내려오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마지막 결투에선 함정을 만들고 늪을 활용하며, 재래식 무기로 상대와 겨룬다. 마치 1987년 첫 [프레데터] 영화를 오마주하는 듯 여겨진다. 



다만 달라진 것은 1987년 첫 [프레데터] 영화는 중남미를 배경으로 근육 투성이의 아놀드 슈왈츠네거가 주인공이라면 [프레이는] 아메리카를 배경으로 300년 전 코만치 부족의 소녀전사가 주인공이라는 것이다.즉 외계 생명체 사냥꾼 프레데터를 대적하는 주인공이 근육의 성인 남자에서 원주민 부족의 소녀로 바뀐 것이다. 다분히 디즈니적인 설정이다. 그리고 부족으로부터 아직 어린 여전사이기에 인정받지 못하던 주인공 나루가 주위의 냉대와 시련을 이겨내고 성장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마치 [뮬란]과 [모아나]처럼 말이다. 


이런 디즈니적 설정을 이해하고 영화의 액션을 즐긴다면 꽤나 즐겁게 영화를 감상할 수 있을 듯하다. 초반 토끼도 사냥하지 못하던 나루가 어떻게 최첨단 무기로 무장한 외계 사냥꾼 프레데터를 대적할 수 있을지 의문을 품지 말라는 것이다. ^^;  이런 전제하에 영화를 본다면 곰과의 싸움을 포함해 몇몇 액션 장면이 기억에 남을만큼 잘 연출된 것을 만끽할 수 있을 듯하다. 게다가 중간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소중한 사냥감이던 버팔로를 무자비하게 대량학살한 백인들의 모습 등을 통해 나루가 코만치 부족에게 이제 삶의 터전을 옮겨야 한다는 말의 무게가 육중하게 다가올 수도 있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8월 8일 비 25도~29도


장마가 다시 시작되는가 보다. 비바람이 거세다. 



하루종일 오락가락 내리는 비에 금화규 일부가 쓰러졌다. 자세히 보니 너무 밀집된 곳의 일부를 숨통을 트여주기 위해 가지와 잎을 잘라준 부분이 넘어져 있었다. 반면 서로 다닥다닥 붙어 있는 금화규들은 쓰러지지 않고 버티고 있었다. 그야말로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라고나 할까. 


실제 농사를 지을 때 작물이 너무 바짝 붙어 있으면 바람이 통하지 않으면서 여러가지 병에 걸리기 쉬운 상태가 된다. 나무들을 전정하는 원칙도 빛과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번 비바람에 숨통이 너무 트여진 곳, 그러니까 여유가 너무 있었던 곳의 금화규가 쉽게 쓰러진 것이다. 너무 밀집되어 있지 않았나 생각된 곳은 오히려 서로가 서로를 기대면서 비바람을 이겨냈다. 


항상, 모든 조건에 잘 들어맞는 경우란 없는 듯하다. 조건에 따라, 상황에 따라, 좋았다가 나빠지기도 한다. 물론 나쁘다가도 좋아진다. 그야말로 '새옹지마'. 이번 비바람이 다시 한 번 삶의 무상을 가르쳐주는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