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정신과 의사의 서재 - 흔들리지 않고 마음의 중심을 잡는 책 읽기의 힘
하지현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20년 12월
평점 :
책 이야기라기보다는 '책 읽는 사람'의 이야기이다. 그리고 읽는 사람임과 동시에 쓰기 위해 '생산적인 읽기'를 하는 사람의 이야기이다. 정신과 의사 선생님답게 외부로부터의 파도에 내부의 정신이 건강하기 위해 코어를 강화하기 위해, 그리고 내가 보고 싶은 대로 보는 의도적 합리화와 보고 싶지 않은 것을 무시하는 편협함에 빠지지 않기 위한 독서를 강조하는 책의 서두는 공감하고 읽기 시작하자마자 애정이 싹트게 해주었다.
좌뇌와 우뇌, 쾌락적 흥미의 세 가지 원칙에 따라 책을 고르고, 책을 읽기 위한 전략적 배치, 책을 보관하며 책이 머무는 단계들, 에버노트를 이용한 '쓰기 위한' 수집 방법, 여행을 위한 책 준비, 여행지에서 서점 찾아가기 등을 읽고 있으니, 나는 그동안 정신없이 시간에 쫓겨 '책' 읽기에만 몰두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책을 읽는 그 자체의 즐거움과 유익함이면 충분하다. 하지만, 좀 더 잘 읽고 제대로 읽기 위해 '정신과 의사의 서재'는 유익한 부분이 많다.
책을 쓰는 사람들 또한 매년 책을 낸 저자의 고충과 에피소드 그리고 팁들은 소소하면서도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지인의 이 출간하면 서점에 가서 점원에게 책을 물어보고, 책의 상태를 파악해서 책이 잘 팔라지 않은 것 같으면, 점원에게 잘나가는 책을 왜 모르냐는 식의 시치미를 떼는 부분은 귀엽기까지 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애정하는 작가가 다음 책을 또 잘 낼 수 있도록 열심히 홍보하는 것을 보니 반성도 되었다. 일 년에 150에서 200권 정도 읽으시고, 책에서 거론된 책과 별점 5점을 준 책 목록을 후반부에 몇십 페이지에 걸쳐 나열하였는데, 나와 겹치는 책은 5%도 안되는 것 같다. 결이 다르기도 하지만, 절대적으로 독서량이 차이도 날 것이다. 그래서 또 자극도 되었다.
가벼운 수필과 같이 책은 아주 쾌속으로 읽히고,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면 더욱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저자도 북클럽을 묘사했듯이, 책의 내용보다는 책에 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들과 공간을 만난 것만으로도 북클럽은 좋은 것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