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라에서 듣고 싶은 책들을 듣고 또 전자책 또는 종이책으로 읽고 나서, 들을 것이 없어 새로 녹음된 책을 기다리다 헤밍웨이의 파리 스케치가 있어서 신나게 들었다. 신나게. 노인과 바다의 그 어떤 것을 기대했다. 그는 어떻게 그것을 써냈을까. 또 그래서 무엇이 노벨문학상을 받게 했는지. 엿보고 싶었다. 파리 스케치 산문집에서.
잘 못 들었다. 듣지 말걸 그랬다. 궁핍과 배고픔도 느꼈지만, 그저 젊은 똑똑한 남편과 사랑스러운 아내의 파리 산문집이었다. 문장을 아주 잘 쓰는 헤밍웨이의 산문집은 번역도 아주 잘 되어서 정말 매끄럽게 잘 흘러갔다. 그런데 후반부에 그 사랑스러운 아내와 헤어지고, 부자들과 만남에서 알게 된 것 같은 여자와 재혼했다. 맑은 수채화 같은 파리의 삶은 분명 더럽게 혼합된 검은 얼룩의 물감으로 채색되었는데, 헤밍웨이는 그저 물만 더 부을 뿐이었다. 파리에서 사람들을 만나고 글을 쓰며 카페에 있었던 것을 그리는 것이니 그런 얼룩들은 다룰 이유가 없다고 했다.
그래서 인터넷을 좀 찾아보고 너저분한 그의 여성 편력을 알게 되었다.
그는 얼룩덜룩한 유화를 살면서 그것을 수채화인 양 써 내려갔다.
게다가 세계대전 후 산업이 발전한 미국을 변호하고 찬양하는 것 같아 싫어하는 위대한 개츠비의 피츠제럴드를 만나 친구로 지내며 겪은 일을 소개했는데, 고뇌가 아닌 화려한 사교계로 술에 전 피츠제럴드를 목도하게 되었다.
게다가 더블린 사람들의 제임스 조이스도 등장하는데, 조국을 우뚝 서게 만들어 화폐에까지 얼굴이 나온 그의 묘사는 파리의 고급 레스토랑에서 이탈리아어를 가족들이 쓰며 즐거워하는 것뿐이었다.
한 권의 산문집으로 헤밍웨이 작가 자신을 읽었고 피츠제럴드에 대한 생각을 굳혔고, 제임스 조이스에게 의구심을 가지게 되었다.
읽지 말았어야 했다. 부의 추월차선. 서두에 람보르기니를 열광하며 말할 때, 듣지 말았어야 했다. 웹 개발을 열심히 해 운도 많이 따라서 돈을 많이 벌고, 그 길과 결과를 정말 찬양하며 일반화시키는 형편 없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