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는 어떻게 지배하는가 - 세상을 조종해온 세 가지 논리
앨버트 O. 허시먼 지음, 이근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진보와 보수를 가르는 특별한 시각
참으로 이해하기 힘든 것이 있다. 오늘날 우리에게 보여 지는 정치현실이 그것이다.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는 시민의 눈으로도 해결책이 보이는 문제를 가지고 치고 박고하는 그들을 보면서 드는 생각이다. 최근 집권 여당 대표의 자연산 발언이나, 같은 당 소속 특별시장의 학생들의 무상급식에 관한 반대광고는 그런 모습의 극단적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무엇이 있어서 그러한 시각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일까? 단순한 실수라고 하기에는 보다 근본적인 무엇인가 분명 있을 것이다.

사회 현상을 이야기할 때 대부분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평가하고 판단하기 마련이지만 대의적 민주주의 사회에서 통용되는 가치관이라는 것이 있어 그러한 판단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본다면 극과 극을 달리는 모습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무엇을 보고자 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말이 실감난다. 진보와 보수의 차이가 바로 그들이 각각 보고자 하는 것, 과정은 내버려 두고서 결과에만 목을 매는 상황이 우리고 하여금 이런 이해하지 못할 상황을 목격하게 만드는 것이 아닌가도 싶다.

바로 이렇게 이해하기 힘든 상황에 대한 근본적 차이를 설명해주는 책이 앨버트 O. 허시먼 저서 ‘보수는 어떻게 지배 하는가’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보수 또한 반동 지배자들이 항상 내걸고 있는 논리를 몇 가지 이론적 근거로 제시함으로써 줌으로써 이해하기 힘든 정치상황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보수는 어떻게 지배 하는가’의 저자 앨버트 O. 허시먼(Albert O. Hirschman)은 현대 경제학사의 주요 틀을 ‘터널 이론’이나 몰락하는 조직에서 발생하는 ‘이탈, 저항, 충성’의 행동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개발도상국의 발전 과정에 대한 인류학적이고 사회학적인 틀을 적용하여 큰 성과를 남긴 세계적인 석학이다. 주요 저서로는 ‘보수는 어떻게 지배 하는가’, ‘떠날 것인가 남을 것인가’, ‘열정과 이해관계’ 등이 있다.

이 책에서 저자 허시먼은 인류가 이룩한 진보의 역사를 거꾸로 돌리려는 사람들을 보수 또는 반동으로 규정하고 이들의 행동양태를 분석 세 가지의 명제를 제시하고 있다. ‘역효과 명제’, ‘무용 명제’, ‘위험 명제’가 그것이다. 저자가 주장하는 역효과 명제는 어떤 정책의 예견되는 결과가 오히려 정반대의 결과를 낳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단순히 어떤 정책이나 운동이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거나 혹은 예상하지 못한 비용이나 좋지 않은 부작용을 수반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에서 멈추지 않고 있다. 의도된 것과는 정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그 정책의 시행을 저지하는 적극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무용 명제’는 어떤 정책을 시행해 봐야 ‘기존의 체제가 바뀌지 않을 것이다’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인류 역사가 이룩한 과거나 현재나 미래의 어떤 변화라는 것도 결국 대부분 표피적이고 외형적이고 표면적인 환상에 불과하며, 깊숙한 사회 구조에는 전혀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시도 자체를 거부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위험 명제’는 결과를 예상하며 시행하려는 정책을 시행하면 ‘우리의 자유와 민주주의가 위태로워질 것이다’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새로운 진보를 위해 옛 진보를 희생하는 것이 합당한지를 판단하려 한다. 만약 새로운 개혁이 시행된다면 어떻게 해서 귀중한 이전 개혁을 특히 최근에야 이루어낸 그것을 치명적으로 위태롭게 하는지를 보여준다.

저자가 이러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살핀 인류의 지난 200년 역사의 과정에서 진보의 역사를 거꾸로 돌리려는 사람들의 모습을 살펴 얻어낸 결론이라고 한다. 특히, 영국의 산업혁명이나 프랑스 시민혁명 그리고 대의적 민주주의의 표상인 시민의 선거권 획득, 20세기 들어 사회복지 정책의 수립 등의 과정에서 보여준 그들의 주장을 세밀하게 검토하며 그들의 주장을 하나하나 살피고 있다.

시계를 거꾸로 돌리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저자가 살핀 유럽이나 미국의 모습이 아니라 우리가 직면한 한국정치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고 보인다. 대다수 국민들이 반대하는 정책을 집행하는 정부나 도저히 이해되지 않은 특별시장의 특정사안에 대한 반대광고 등에 대한 그들이 주장하는 근거를 살펴보면 결국 저자가 말한 ‘시계를 거꾸로 돌리는 세 가지 힘’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도 보수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언어적 현상이 발휘하는 힘이 생각보다 크다는 것은 여려 차례 선거를 통해 확인 된 사실이다. 하지만, 당장 현실정치에서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숙제로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