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o Inbu
Memory of the Wind

2015.10.12-10.24 gallery 숨(전주)


창문이 덜컹거리는 소리, 전선을 가르는 소리, 나뭇가지의 흔들림, 깃발이 펄떡이는 요란함, 처마 밑 풍경의 딸랑거림, 귀밑을 스치며 내는 소리ᆢ등 이것은 삶에서 일상적으로 체험하는 바람의 편린이다. 또한 청량하다, 웅장하다, 꿈틀거린다, 상쾌하다, 포근하다, 편안하다, 외롭다, 쓸쓸하다, 서글프다, 두렵다, 서럽다ᆢ등 인간 내면의 감성을 통해서 바람은 묘사되고 인식되기도 한다.


어릴적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당황스러움과 슬픔, 유년시절의 우울함과 서러움, 십대시절의 좌절의 모습, 그리고 청년시절의 분노와 현실을 안타까워하는 모습, 낯선 나라에서의 희망을 꿈꾸는 모습ᆢ등 처음 구체적인 형상이었던 내 기억들은 시간의 흐름속에서 흐릿한 잔상으로 남아서 하나의 색채로만 인식되고 존재한다. 그 색채는 내 감성의 기억 속에서 일어나는 바람이며, 바람은 내 삶의 사유와 반추를 이끌어 낸다.


화면위에 찢어서 세워 붙이거나 둘둘 말아서 묶는 수백, 수천 장의 한지 조각들은 바람의 결과 화면의 율동을 표현하기 위해서이며, 그리고 한지의 유연함과 가벼움의 특징들은 바람을 묘사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 2015 표인부 작가노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딸아ᆢ
아빠는 외로운 것이 아니란다.

검푸른 가을밤 무릎에 올린 거문고의 술대에 감기는 현에 유난히 무게가 실리는 것이 느껴지지 않느냐? 가을이 주는 행복을 누리는 것으로 그 무게를 온전히 현의 울림으로 담아내는 것만한 것도 없으리라고 본다.

아빠는 이른아침 발길에 차이는 이슬이 무게를 더해가는 것을 느끼고, 해질녘 붉은 노을이 저 혼자 붉은게 아님을 알듯이 오늘 이 시간을 살아가는 나를 돌아보며 스스로 위안삼는 것으로 이 가을을 누리고자 한다. 너에게 있어 거문고 연주처럼 이 아빠도 가을이 주는 그 행복을 마음껏 누리려는 것뿐이다. 

딸아ᆢ
너도 이제, 행복은 아득히 먼 곳에 있는 것만이 아님을 어림짐작으로나마 알 것이라고 믿는다. 아빠가 누리는 그 행복의 중심에 딸, 네가 있어 너의 안부가 궁금하고 네 무릎위에 놓인 거문고 현을 울리는 술대에 힘을 실리길 바라는 것이다. 그것이 너에게 아빠가 가을타는 외로움으로 비쳤을지도 모르겠으나 그렇게나마 아빠의 심사를 짐작해보려는 너의 마음이 가상하다.

가을은 외롭고 쓸쓸함만을 주는 시간이 아니란다. 풍성한 열매도 있고 따스한 햇볕도 있다. 아스라이 하루를 밝히는 안개도 있고, 풍덩 빠지고 싶은 푸르디 푸른 하늘도 있으며 눈시울 붉히는 붉디붉은 노을도 있다. 

바쁘다는 이유로 이 가을을 외면하지 말거라. 그것이 눈부신 햇살로 만물을 영글게하고, 다가올 추위를 대비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간격을 좁혀주는 이 가을에게 덜 미안한 일이다.

딸아ᆢ시간이 지나서 다시 이 가을이 올 무렵에는 내 피리 소리에 너의 거문고 음을 얹어볼 날이 오길 바란다. 곡으로 '수연장지곡'은 어떨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동행, 가을빛에 물들다'

'국립민속국악원'과 '전주시립국악단' 교류공연
2015.10.3 pm 4.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


국악을 연주하는 단체간 교류가 새로움을 만들어 낸다. 안방에 손님을 모시고 서로 간의 마음을 보텐다. 관객을 위한 공연 앞에서 주인과 손님이 다르지 않다. 감정과 의지가 소통을 통해 공감을 불러오면 당연히 따르는 것은 감동일 것이다.


처음이라고 했다. 혼자의 준비가 아닌 교류이기에 다소 어설픈 진행이 아쉽기도 하지만 공연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좋다. 처음 접하는 단체의 연주가 궁금했다. 200회 공연을 앞둔 단체인 만큼 쌓인 내공이 만만치 않아 보인다.


늘 드는 아쉬움이다. 빈 관람석 자리는 언제쯤 채워질까? 국악연주단체 뿐 아니라 국악관련 종사자, 관련단체, 정부부처 및 정책, 관람객 모두 마음 모아 공감을 통한 감동의 자리가 된다면 곧 채워지리라 믿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 제99회 정기연주회 
'한국ᆞ몽골 교류연주회'


2015.10.1 pm7.30
광주문화예술회관 대극장


한국과 몽골의 수교 25주년 기념 '몽골국립마두금연주단 초청공연'이다.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에서 주목해온 아시아민족음악과의 교류의 일환으로 몽골 음악과의 만남은 그동안 몇차례의 공연으로 그리 낯설지 않다.


그동안 접한 몽골음악은 마두금을 중심으로 한 부분적인 음악이 전부였다고 본다. 이번 '한국ᆞ몽골 교류연주회'가 특별한 의미가 있는 점은 '몽골국립마두금합주단'의 연주를 접할 수 있다는 점이다. 대규모 인원구성과 다양한 악기를 통한 합주에서 볼 수 있는 연주음악의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소중한 기회다.


'한국ᆞ몽골 교류연주회'는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공연의 중심은 1부에서는 '몽골국립마두금합주단'의 연주로 보인다. 열 곡에 이르는 연주를 직접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놓치기 힘든 공연임에 분명하다. 2부는 김광복이 지휘하는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의 연줄호 구성되며 3부는 양국의 연주담이 모두 한자리에서 합동으로 연주하는 자리다. 몽골의 전통음악과 한국의 사물놀이, 아리랑 등으로 구송되었다.


장장 3시간 가까운 연주시간은 기획자의 욕심이 과한 듯 싶다. 특히 1부의 '몽골국립마두금연주단'의 연주는 분명 귀한 음악을 접할 수 있는 기회이기는 하나 너무 많은 곡을 편성하여 자칫 지루함을 불러오지 않았나 싶을 정도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2부와 3부의 연주가 관객의 커다란 호응을 얻었다는 점이다. 연주단과 관객이 음악을 매개로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연주회였다고 보인다.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
-1994년 창단하여 광주를 대표하는 국악연주단체다. 지역 국악발전에 공헌하고 민속음악의 발굴과 아시아 민족음악, 재즈, 명인명창 협연 등 전통음악과 창작음악의 조화를 이룬 관현악 연주와 창작 등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몽골국립마두금합주단
-1992년 창단된 몽골정부설립 국립마두금합주단으로 마두금을 보존하며 그 역사의 가치와 문화유산 전승을 목표로 한다. 전통음악과 다양한 장르음악의 연주로 세계문화에까지 가치매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도思悼'
왕이어야 했던 아버지와 아들이고자 했던 세자, 그 사이의 간극을 넘지 못한 비극이 '임오화변'이었을까?


이 영화의 주인공 사도세자는 영조의 둘째 아들로 이름은 선(愃)이다. 아버지 영조와의 갈등으로 세자에서 폐위되어 서인으로 강등되었고, 영조의 명으로 뒤주 속에 갇혀 굶어 죽었다. 이후 영조가 아들의 죽음을 애도하면서 내린 시호가 ‘사도(思悼)’이며, 정조가 다시 ‘장헌 세자(莊獻世子)’로 시호를 바꾸었다.


'자격지심自激之心' 자기가 한 일에 대하여 스스로 미흡하게 여기는 마음이다. 이준익 감독의 영화 '사도'를 보는 동안 떠나지 않은 단어다.


왕, 아버지, 아들, 세자, 어머니, 아내ᆢ수많은 사회적 관계를 자신의 처지를 기준으로 생각하여 지극히 염려하는 마음인 이 자격지심이 극단적으로 발휘될때 나타나는 현상이 영화의 그것이 아닐까 하는 마음이다.


"왕이라고 언제나 칼의 손잡이를 잡는 경우는 없다. 칼끝을 잡지 않으려면 공부를 해아한다." 아버지 왕의 시각이다. 그렇기에 강하게 키우려했다. 그에 비해 아들 세자의 시각은 "허공으로 날아간 저 화살이 얼마나 떳떳하냐"로 표현된다. 숨쉬조차 버거운 강박으로 다가왔다는 것이다.


역사적 사실을 두고 어떻게 보느냐하는 것은 후대사람들의 선택의 영역일 것이다. 보고 싶은 것만을 보는 것에서 역사라고 예외는 없다. 오히려 더 극단적으로 자기중심적으로 보게된다. 이 자기중심적인 시각은 철저히 현실적이며 정치적이다. 이 정치적 시각을 빼면 역사를 볼 이유는 많이 감소된다.


이준익의 사도에는 이 시각이 대단히 축소되어 있다. 권력을 바라보는 아버지와 아들의 감정과 지향의 간극이 극단적으로 그려졌다는 말이다. 사도세자의 죽음을 통해 우리는 현실의 무엇을 바라보고 싶었던 것일까?


영화 '사도'는 굉장한 속도로 관객을 몰입으로 이끌어간다. 그 중심에 '역사 상 가작 비극적인 가족사'가 있다. 사도세자를 보는 시각의 대표적인 것은 '당쟁에 의한 희생'이다. 이것은 정치적으로 사도세자의 삶과 당시 상황을 보고자 함에 있다. 이 시각이 임오화변의 전체를 대변하지는 못할지라도 정치를 배재한 사건의 본질은 없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시각이라는 것이다.


탄탄한 시나리오, 선이 굵은 주연배우들의 연기, 몰입도의 최고 등에도 불구하고 영화 '사도'에서 아쉬운 것이 여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