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思悼'
왕이어야 했던 아버지와 아들이고자 했던 세자, 그 사이의 간극을 넘지 못한 비극이 '임오화변'이었을까?


이 영화의 주인공 사도세자는 영조의 둘째 아들로 이름은 선(愃)이다. 아버지 영조와의 갈등으로 세자에서 폐위되어 서인으로 강등되었고, 영조의 명으로 뒤주 속에 갇혀 굶어 죽었다. 이후 영조가 아들의 죽음을 애도하면서 내린 시호가 ‘사도(思悼)’이며, 정조가 다시 ‘장헌 세자(莊獻世子)’로 시호를 바꾸었다.


'자격지심自激之心' 자기가 한 일에 대하여 스스로 미흡하게 여기는 마음이다. 이준익 감독의 영화 '사도'를 보는 동안 떠나지 않은 단어다.


왕, 아버지, 아들, 세자, 어머니, 아내ᆢ수많은 사회적 관계를 자신의 처지를 기준으로 생각하여 지극히 염려하는 마음인 이 자격지심이 극단적으로 발휘될때 나타나는 현상이 영화의 그것이 아닐까 하는 마음이다.


"왕이라고 언제나 칼의 손잡이를 잡는 경우는 없다. 칼끝을 잡지 않으려면 공부를 해아한다." 아버지 왕의 시각이다. 그렇기에 강하게 키우려했다. 그에 비해 아들 세자의 시각은 "허공으로 날아간 저 화살이 얼마나 떳떳하냐"로 표현된다. 숨쉬조차 버거운 강박으로 다가왔다는 것이다.


역사적 사실을 두고 어떻게 보느냐하는 것은 후대사람들의 선택의 영역일 것이다. 보고 싶은 것만을 보는 것에서 역사라고 예외는 없다. 오히려 더 극단적으로 자기중심적으로 보게된다. 이 자기중심적인 시각은 철저히 현실적이며 정치적이다. 이 정치적 시각을 빼면 역사를 볼 이유는 많이 감소된다.


이준익의 사도에는 이 시각이 대단히 축소되어 있다. 권력을 바라보는 아버지와 아들의 감정과 지향의 간극이 극단적으로 그려졌다는 말이다. 사도세자의 죽음을 통해 우리는 현실의 무엇을 바라보고 싶었던 것일까?


영화 '사도'는 굉장한 속도로 관객을 몰입으로 이끌어간다. 그 중심에 '역사 상 가작 비극적인 가족사'가 있다. 사도세자를 보는 시각의 대표적인 것은 '당쟁에 의한 희생'이다. 이것은 정치적으로 사도세자의 삶과 당시 상황을 보고자 함에 있다. 이 시각이 임오화변의 전체를 대변하지는 못할지라도 정치를 배재한 사건의 본질은 없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시각이라는 것이다.


탄탄한 시나리오, 선이 굵은 주연배우들의 연기, 몰입도의 최고 등에도 불구하고 영화 '사도'에서 아쉬운 것이 여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