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우리는 모두 쓰는 사람이니까
"다른 사람의 글을 잘 볼 수 있을 때 내 글도 잘 보인다는 말을 믿읍시다. 사실 합평은 다른 사람한테 하는 말이면서 곧 나에게 하는 말이기도 하다는 걸 모두 잘 알고 있잖아요. 우리 모두 쓰는 사람이니까요. 그러니 아픈 말이 나오더라도 너무 속상해하지 말고 다음 글 쓸 때 반영하는 걸로 합시다. 제가 글방에 오는 이유이기도 하고요." - P7

글쓰기는 매주 향상되지 않는다. 지지부진 지리멸렬의답보 상태가 몇 달 혹은 해를 넘기기도 한다. 매주 이토록 충실히 써 오는데 매주 이토록 쓰라린 이야기만 해야 하다니, 쓰는 이에게도 읽는 이에게도 고역이다. 어이하나 그렇다고 재미없는 글을 재미있다고 할 수는 없는 법. 글방의 유일한규칙이라면 글에 관한 한 정직할 것, 그러니 읽은 느낌 그대로 말을 하는 수밖에. 진척 없는 시간이 흐르고 흐르다 어느날 ‘점핑‘의 순간이 온다. 지난주까지와는 질적으로 완전히달라진 글이 그야말로 짜잔 하고 나타난다. 재밌는 건 글쓴이는 그 사실을 모른다는 거다. 지난주도 지지난 주도 지지지난 주도 본인은 최선을 다해 썼기 때문에, 한번 점핑한 글 - P13

은 예전의 글로 돌아가지 않는다. 점핑한 그곳에서 주옥같은 글 몇 편을 쓰고 다시 지지부진 지리멸렬의 시간을 보낸다. 다시 점핑, 하는 순간이 올 때까지. - P14

어디까지 쓸 것인가? 알고 보면 글쓰기는 용기와 관련된 행위다. 눈부신 한 편의 글 안에 전투의 상흔이 이곳저곳깊게 배어 있는 까닭이다. 견고한 질서 완고한 관습 치밀한통제를 부수고 깨뜨리고 균열을 내는 것, 글쓰기란 그런 것이므로 우리는 종종 뚝뚝 떨어지는 서로의 피를 지혈하고 깊게 베인 상처를 싸매주고 뜯겨나간 옷자락을 수선해주었다. 그 과정에서 종종 기억과 기록은 동일하지 않으며 문자 안에다 담기지 않는 이야기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기도 했다. 말로도 글로도 복구되어지지 않는 상처, 라는 것이 있다는 것도 인지하게 되었다. 쓰는 일이란 그러므로 공적인 기억의바깥을 떠도는 배제된 혹은 은폐된 이야기를 발견하는 일일수도, 문자세계의 바깥에 존재하는 거대한 이야기의 무덤에서 부장품을 발굴하는 일일 수도, 표현되어지지 않는 것의표정을 더듬는 일일 수도 있다고 우리는 생각하게 되었다. 끝내 남는 것은 부드럽고 섬세하고 아름다운 것, 이라는 게 다만 놀라울 뿐. - P15

1부. 글방이 활활발발해지는 순간
내가 쓰는 것이라 생각하지만 글이린 이야기가 나를 이용해 생을 획득하고 이어가고 확장해가는 과정이 아닐까. 작가의 몸이란 어쩌면 이야기를 전하는 경로가 아닐까. 그 길에 꽃 피고 새 울고은성한 그늘 드리우라고 모질고 냉정하게 담금질하는 거 아닐까. 작가의 재능이란 그러므로 행운이면서 동시에 고난일 수밖에.
글방에 오는 이들에게 나는 종종 우아한 독자로 남으라고 농담 아닌 농담을 한다. 하지만 우아한 독자로 남고 싶은사람은 결코 글방에 오지 않는다. 재능의 발견이 곧 고초로 이어지는 운명에 이끌린, 자기 의지를 뛰어넘는 ‘이야기의 선택‘을 받은, 해사하고 맑은 눈망울들이 글방 문을 조심스럽게 연다. 아직 세상에 없는 이야기가 눈을 빛내며 기지개를 켠다. - P37

글이 주는 위안이란 서로 다른 여러 세계가 교차하고 충돌하고 비껴가고 엇갈리며 만들어내는 우주에 자신이 속해있음을 발견하는 것이다. 누추하고 남루할 줄 알았던 내 존재가 맙소사, 다른 수많은 별들과 함께 반짝반짝 빛나고 있구나, 목격할 때다. 내 후회가 누군가의 희망이 되고 내 절망이 누군가의 징검다리가 되고 내 뜨거운 눈물에 춥고 쓸쓸한누군가가 밥을 말아 먹는다는 걸 아는 것, 글이 주는 위안일 것이다. - P46

글을 쓰는 일은 재능보다, 성실함보다, ‘용기’에서 비롯된다고 나는 종종 글방러들에게 말하곤 했다. ‘어디까지 쓸것인가‘는 ‘내 마음의 우물을 어디까지 들여다볼 것인가‘라는 말로 바꿔 쓸 수도 있을 것이다. 나도 모르게 내 안에 차곡차곡 입력된 관습과 지식과 정치와 경제와 윤리의 체계를의심하고 살짝 깨물어 부수어보기도 하고 와장창창 깨트려버리기도 하고 심지어 ‘다른‘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자가 작가라고, 나는 스스로 두려워하면서, 말하곤 했다. 16세기에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은 목숨을 내어놓는 일이었다. 21세기, 지금 목숨을 내어놓고 말해야 하는 건 무엇인가? 혹은 어떤 이야기를 했을 때 주류의 시스템이 이를부인하고 두려워하고 때로 작가를 위협하는가? 이야기의 핵심은 거기에 있을 것이다. 위반의 대가를 치를 용기, 그것을함께 기르자고 글방 같은 걸 계속하는 거라고 예나 지금이나 나는 생각한다. - P52

"토지에서 가장 감동적인 부분은 서희가 두 아들에게 아버지의 성이 아니라 자신의 성을 물려주는 거야. 최서희의아들 최환국, 최윤국. 요즘으로 치자면 래디컬페미니스트인 셈이지. 급진적이기 이를 데 없지만 사실 토지를 이야기할 때 이 부분을 말하는 사람은 거의 없어. 박경리 작가를 여성주의 작가라고 말하는 평론가들도 거의 없지. 사실『토지』에는 세상의 모든 여자들이 등장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거같아. 6백 명의 등장인물 중에 절반은 여성이니 그 캐릭터의 다양성과 혼종이 얼마나 잘 드러나겠어. 여성의 연대와 우정도 곳곳에서 일어나, 서희의 할머니인 윤씨 부인과 간난할멈의 경우는 생사고락을 같이하는 사이지. 윤씨 부인이 동학도김개주의 아이를 임신했을 때 비밀리에 아이를 낳는 것을 돕고 끝까지 그 비밀을 지키는 사람이 간난할멈이거든." - P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법 엄숙한 얼굴 소설, 잇다 2
지하련.임솔아 지음 / 작가정신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왜 여전히 남성의 시선으로 ‘저 여자 왜 저러지?‘하고 ‘그녀‘를 불신하며 바라보고 있는 것인지. 내 안의 학습된 남성성이 ‘남편‘의 ‘오라버니‘의 불온한 시선으로 ‘아내‘나 ‘누이‘인 그녀들을 바라보고 있음을 또 한번 들키고 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리스틴 드 피장은 같은 시대사람들이 보여주는 여성 혐오에 반발하고 여성을 위해 변론했다. 미망인이자 학식 있는 여성이었던 크리스틴은 최초의 여성 전업 작가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사랑의 신에게 보내는 편지>(1399)와 《장미가 말하다>(1402)에서 그녀는 대담하게도 《장미 이야기》에 등장하는 남성 우위론적 발언을 공격했다. 이로 인해 그녀는 학계와 친구들에게 맹렬한 비난을 받게 되는데, 그들 모두가 남성이었다. 크리스틴의 작품 중에서 가장 유명한 《여성들의 도시》(1404~1405)는 당시에 남성이 쓴 것으로 분류되었는데, 크리스틴은 자신의 관점 자체도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편견, 특히 "천성적으로 열등하다는 편견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 P236

마리 드 구르네(1565~1645)는 여성 문인이자 몽테뉴의 수양딸이었다. 그녀는 여성의 처지에 대해 항의하고 여성혐오도 아니고 여성 찬양도 아닌, 양성 간의 평등을 주장한다. 지적으로 열등하게 취급되는 것을 거부하는 여성들이 표현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것이다. - P241

이로부터 40년 뒤, 개신교로 개종한 데카르트 철학자 프랑수아 풀랭 드 라 바르(1647~1723)는 여성에게 가해지는 불공정성과 그녀들이 놓인 상황적 불평등은 사실 편견에 근간을 둔 것이라 확신하고 두 편의 중요한 글을 썼다. 그는 여기에서 여성이 제대로 된 교육을 받고 모든 직업에 제한 없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여성이 "천부적으로" 열등하다는 도그마가 오래전부터 있던 것이고 많은 학자의 의견이 같다고 해서 진실은 아니기 때문이라고한다. 그는 사회가 여자들에게 열등한 지위를 부여하고 이를 강요했다고 생각한다. "여성의 지위가 낮다는 이유로, 사람들은 그녀들이 자연적으로 열등한 존재일 수밖에 없다고추론하고 그녀들을 이러한 상황 속에 묶어두기 위해 이처럼 근거가 없는 추론을 근거로 삼고 있다." 그는 유명한 ‘영혼은 성이 없다 L‘esprit n‘a pas de sexe라는 격언을 만든 사람이기도 하다. - P242

그의 투쟁에는 유명한 작가들이 동참해 여성의 해방을 주장하게 되는데, 오노레 드 발자크처럼 특히 박식한 귀족 여성들이 운영하는 살롱에 자주 드나들던 사람들이다. 1829년 말에 발행된 《결혼의 생리학》은 ‘성찰Méditations‘로 이루어진 부부의 행복에관한 상황을 정리한 목록이라 할 수 있다. 발자크는 이 글에서 결혼을 전쟁으로 서술하면서 여성의 입장을 옹호하고 양성 간의 평등 원칙을 지지한다. "문명을 돌려놓아라! 생각을 고쳐라! 이것이 당신들의 외침이다! 당신들은 여성을 교육하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 틀림없다. 이 때문에 스페인의 사례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어리석은 자들을 통치하기가 박식한 사람들을 통치하기보다 훨씬 쉽다. ‥…무지함. 이것이 전제군주제가 유지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 P257

이로부터 14년이 지난 1848년 3월 16일, 작가 제니 데리쿠르(1809~1875)는 이혼의 부활을 주장하는 청원을 보낸다. 여성들은 스탕달이라는 아군을 발견하게 되는데, 그는 《적과 흑》(1830)과 《파르마의 수도원》(1839)에서 여성의 예속적인 처지에 대해 날카롭게 비판했다. 1842년, 의사이자 시인인 에티엔 드 쉐프빌도 프랑스 여성의 조건을 해학적으로고발하고자 펜을 들었다. "한마디로, 프랑스 여성들은 어찌나 자유로운지 무서울 정도다!" "조금은 덜 빈정거리는 다음 장에서 그는 이렇게 쓰고 있다. "나는 이 젊은이들이 비아냥거리는 회의주의가 부럽지 않다. 이들은 모든 여성을다루기 쉬운 정부 수준으로 만들고, 여성들의 신선한 감각을 한 번도 함께 나누지 않았다. 나는 그들을 불쌍히 생각한다. 그것은 다른 자아로부터 행복과 지지와 위로를 얻는 아름다운 것이기 때문이다. 여자를 모독하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다!" - P259

마침내 프랑스에서 여성의 투표권이 인정된 것은, 프랑스 공산당 서기장 페르낭 그르니에가 1944년 3월 24일에 알제에서 열린 임시국회에 수정안을 제출하면서다. 드골 장군의 발언이 결정적이었는데, 특히 그는 1944년 3월18일에 "새로운 정부는 프랑스의 모든 남성과 모든 여성이선출한 대표로 구성되어야 한다"라고 선언했다."
같은 해 4월 21일, 프랑스 여성들은 드디어 "남성들과 같은 조건에서 선거하고 선출될 수 있게 된다."132 2년 뒤에는모든 분야에서 여성과 남성이 동등하다는 원칙이 헌법 서문에 명시된다.‘33 1947년 제르맨 푸앵소-샤퓌가 최초의 여성장관이 된다. 13 하지만 그다음 여성 장관은 1974년이 되어서야 등장하는데, 시몬 베유가 보건부 장관을 맡게 된다. 1991년 5월 15일 에디트 크레송이 수상이 되었지만, 여전히여성이 정치적 고위직에 도달하는 것은 어렵고 느리다. - P271

에필로그
우리는 혁명의 새벽에 있다. 여성으로 밝혀진 바이킹 여전사로부터 스키타이의 아마조네스가 있었고, 최근의 고고학적 연구는 예술품으로 꾸며진 동굴안에 선사시대의 여성들이 있었던 것을 밝혀냈다. 선사시대에 여성 예술가들이 존재했던 것이다. 성에 따라 역할이 배분되었다고 하는 선입견 일부는 무너졌다. 과학적이라기보다는 이데올로기에 더가까운 성차별주의자들의 주장을 무너뜨리는 것은 특히나젠더 고고학이 해야 할 작업이다.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지만, 이제 틈이 벌어졌다. 그 틈은 여성이 역사 안에서 올바른 자리를 되찾기 전에는 닫히지 않을 것이다. - P281

어째서 가부장제는 우리의 민주주의 체제에서도 이렇게나 오래 유지될까? 이것이 경제적 지배와 정치적 지배를 기반으로 할 뿐만 아니라, 캐롤 길리건이 심리적 지배라고 불렀던 것에 특히 영향을 받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이른바 전형적인 여성적 성격이 존재한다는 것인데, 다른 사람과의관계를 중시하는 돌봄care의 윤리다(보살피기, 배려, 감정이입). 이는 천성적인 것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 만들어진다." 가부장제 체제에서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는 성에 따라 양식화된 상이한 방식으로 양육되며, 특히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형성이 - P287

그렇다. 연약함은 여성적인 것으로 여기므로, 사내아이들은모든 감정 표현을 감추고 없애야만 한다." 이러한 무관심은예속과 탄압이라는 정치적인 질서를 만든다. 이처럼 정치적인 가부장제는 심리적인 가부장제로 살찌워진다." 남성과여성의 차이는 우리의 유전자 속에 각인된 것이 아니다. 돌봄은 모두가 나눌 수 있는 능력이다. 사내아이들도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이러한 태도를 배워야만 한다. 가부장제를끝내기 위해서는 심리적 가부장제가 사라져야 한다. - P2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hen you answered my questions, you said the way to get to be an author was to write. You underlined it twice. Well, I sure did a lot of writing, and you know what? Now that I think about it, it wasn‘t so bad when it wasn‘t for a book report or a report on some country in South America or anything where I had to look things up in the library. - P31

Every time I try to think up a story, it turns out to be like something someone else has written, usually you. I want to do what you said in your tips and write like me, not like somebody else. I‘ll keep trying because I want to be a Young Author with my story printed (mimeographed). Maybe I can‘t think of a story because I am waiting for Dad to call. I get so lonesome when I am alone at night when Mom is at her nursing class. - P61

"You know," said Mom, "whenever I watch the waves, I always feel that no matter how bad things seem, life will still go on." That was how I felt, too, only I wouldn‘t have known how to say it, so I just said, "yeah." Then we drove home. - P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장
모쒀족에게는 아버지를 나타내는 어떤 말도 없으며, 이들의 속담에 따르면 "아이를 만드는 데남자의 역할은 초원의 풀에 내리는 비와 같다. 비는 풀을 자라게 하지만 그 이상은 아니기 때문이다. - P138

이들은 데니소바인Denisoviens*이나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우리의 직접적인 조상**)와 교배했다. 네안데르탈 여성이 호모 사피엔스 남성과 성관계를 통해 혼혈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를 가졌던 것이 유전학적으로 입증되었듯이, 호모 사피엔스 여성과 네안데르탈 남성 사이에서는 여자아이만 태어난 것이 유전학적으로 증명되었다(남자아이는 자연 유산이 된다***). - P143

이러한 자료를 종합해보면, 유럽의 몇몇 구석기 사회에서는 여성들이 사냥감을 찾아내서 흔적을 쫓고 사냥 전략을마련하며 창을 던지는 일까지, 사냥의 모든 단계에 참여했음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다가 구석기시대가 끝나갈 무렵부터 던지는 종류의 무기는 남성만 사용하도록 하는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 P168

일부 동굴 벽화가 믿음과 연관된 동기로 만들어졌다는 가설 내에서, 여성이 의식을 이끌지 않았다고 배제할 수 있는 고고학적 자료는 아무것도 없다. 선사학자들은 여성이 동굴에 있었음을 더는 부정하지 않지만, 여성이 작품 일부를 만들었다는 데 관해서는 의견이 일치되지 않는다. 심지어 이를 생각조차 하지 않는 전문가가 많은데, 그들은 입증할 증거가 없다는 점을 이유로 내세운다. 그렇지만 남성이 남긴 작품이라고 할 증거도 없지 않은가! 그러므로 선사 예술에서 가장 유명한 그림과 조각을 여성이 만들었을 가능성을 부정할 수는 없다. - P172

아주 드문 사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역사적 사회, 전통 사회 또는 현대 사회에서 무기 사용과 사냥, 전쟁은 남성 전용이었고 가치 있게 평가된다는 주장이 일반적이다. "생명을 주는 일이 아니라 자신의 목숨을 걸었기 때문에 사람은 동물보다 우월해졌다. 인류 중에서 생명을 부여하는 성이 아니라 생명을 죽이는 성에 우월성이 부여된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보부아르는 이렇게 쓰면서, 도구와 무기를 만들고 위험을 감수하는 것을 ‘초월transcendance‘의 한 형태로 연관시킨다. 그러면서 남성을 문화 쪽에 두고 여성은 자연 쪽에 두었다. 세계와의 일종의 유기적인 관계 내에서 남성은 자신의 조건을 극복하고 여성은 ‘한 곳에 머물러 있다demeure‘. 일종의 ‘보상‘의 형태라는 해석도 있다. 남자는 생명을 줄 수 없고(출산), 어린아이를 먹일 수도 없어서(수), 무기를 독점하는 쪽으로 갔으리라는 것이다. 또 다른 연구자들은, 남자가 원래 폭력적인 성향이 더 강하다며 이를 생물학적으로 설명하려고 한다. - P189

1940년대 초반, 여전히 대중들의 마음속에 존재하던 아마조네스는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만화 스토리 작가 윌리엄 몰턴 마스턴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는 여성 참정권 운동을 비롯한 페미니스트 운동과 제2차 세계대전 중 여성의 사회 참여에 영향을 받았으며, 1941년 슈퍼 히로인 다이애나를 탄생시켰다. 다이애나는 아마조네스가 헤라클레스에게패한 이후 도망쳤던 테미시라 섬을 통치하는 히폴리테 여왕의 딸이다. 다이애나는 이 섬에 불시착한 미군 비행사 스티브 트레버와 함께 미국에 가서 범죄자와 싸우는 원더우먼이 된다. 그녀는 자유롭고 강하며 용기 있는 여성을 대표하며, 남자들에게만 허용되던 모든 활동과 직업을 영위한다. 그러나 이 여자 만화 주인공은 1954년부터 이미 논쟁을 불러온다. 남자아이들을 겁먹게 한다는 것이다! 1960년대 말이 되면, 그녀는 자신의 사무실을 떠나지 않는 비서 다이애나 프린스가 된다. 1980년대가 되어서야 다이애나는 아마조네스로서 정체성을 회복할 수 있었다. 미국의 여성 감독 패티 젱킨스가 연출한 영화 <원더 우먼>에서처럼 말이다. - P207

적어도 기원전 600년 이전의 유럽에서는 여성이 여왕이고 섭정이며 여황제였다. 귀족이건 평민이건 인류의 역사를 빛냈던 수많은 전쟁과 혁명에 참여했고, 남자들과 마찬가지로 자유를 위해 투쟁했다. 그 가운데 몇몇은 유명할지 몰라도, 더 많은 이들은 사람들의 기억에서 사라졌다. 시대적인흐름에 영향을 받아 19세기의 역사학자 대부분은 이 여성들의 이름을 역사에서 지워버렸다. 이 시기 의학 이론은 아리스토텔레스와 히포크라테스를 계승한 ‘체액설‘을 재가동해서 남성의 기질(능동적)과 여성의 기질(수동적)로 구별했다. 자신과 남의 피를 흘리게 하는 것이 남성에게 적절하다고 설정된 능력에 가치를 부여했고, 전쟁 행위가 특히 그것을 완수하는 것으로 되었다. 근대에도 남장까지 한 여전사들이 있긴 하지만, 이 시기에 여성들은 전쟁터에서 점차 멀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내전을 제외하고는 20세기 초반에도 여성들은 전투와 떨어져 있었다. 하지만 이들 여전사는 기개와 담력,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남자만의 전유물이 아님을 입증했다. "여자 영웅이 남자 영웅을 만든다." - P208

1세기에 팔레스타인 지역에 등장한 기독교는 얼마 지나410지 않아 어머니 여신 신앙을 거부했다. 325년에 열린 제1회니케아(지금의 터키 이즈니크) 공회의에서, 성령의 도움으로 신의 아들을 낳은 마리아는 여신이 아니라 ‘신의 어머니‘로서 추앙받게 되었다. 하느님이 여자였던 시절》에서 멀린스톤은, 유대-그리스도교가 남성 신의 숭배와 가부장제를한꺼번에 받아들이게 하면서 최고신이 어머니 여신이던 과거 종교의 기억까지 지우려 했다고 비난했다.
"처음부터 원래 그랬다""라는 내용을 자주 읽지만, 신화는 원초적인 모습 그대로 전해지지 않는다. 새로운 버전이나와 옛것을 덮어쓰고 대체하는 것이다. 수백 년의 세월이 흐르면서 수도승 등 가부장적 사고에 젖은 번역자들은 원전 - P217

신화의 내용을 여러 차례 바꾸고 다시 손질했다. 이들이 "가부장제가 장악한 여신을 과소평가하고 무시하고 거부한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 - P218

선사시대 여성에 대한 상징적인 표현은 편견과 가설을 가지고 해석한 것인데도, 일부 페미니스트 연구자들은 이를바탕으로 선사시대 여성들을 비판했다. 이들은 선사시대 여성들이 수동적이고 남성에 복종한 피해자로 자신들의 삶을비참하게 만들었다면서, 이 시기를 "자연 상태état de nature"라고 여겼다. 《제2의 성》(1949)의 <역사>에서 보부아르는 고고학 자료를 전혀 참고하지 않고 생물학적 결정주의에 함몰되어, 농업 이전의 선사시대 사회에서 여성의 위치는 이들의 ‘본성nature‘ 때문에 소외되었다고 기술했다. 여성이 출산과 아이 양육 때문에 지식과 전문 기술을 만들어내는 데 적합하지 않았으리라는 것이다. 보부아르는 여성의 역할을 과소평가하고 남성의 역할이 가치 있다고 했다. - P2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