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처음 읽은(그것도 최근에) ‘김호연 작가’의 책은 『매일 쓰고 다시 쓰고 끝까지 씁니다』이다. 매번 글을 쓰는 것이 힘들어 글쓰기에 대한 책에 관심이 많다. 제목만 보고 고른 이 책은 글쓰기의 방법에 대한 것이 아니었다. 오랫동안 글을 쓰면서 겪은 실패와 좌절, 그리고 다시 일어서는 작가의 연대기였다. 시나리오, 만화 스토리, 소설 등 여러 분야에서 글을 써 오며 경험한 이야기가 있었다. 만화에 만화 스토리 작가가 존재하는 것도, 영화의 시나리오가 어떤 방식으로 쓰여 지는지도 이 책을 통해 자세히 알게 되었다. 작가 지망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몇 가지 팁이 있었고, 일반 독자에겐 작가의 가난하고도 지난한 삶을 엿볼 수 있는 정도였다. 그래서 중간부터는 빨리 이 책을 넘겼지만, 김호연이란 작가가 절박하게 글을 써 왔고, 많은 노력을 했다는 것이 남아 있었다. 그 결과로 작가의 ‘불편한 편의점’이 베스트셀러가 되는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만큼 준비하고 다듬고 공들여왔기에 결실이 맺어지고 있는 것이다.
[시간이 지나고 나도 이곳저곳에서 당선을 많이 경험해 보고 나서야, 당선은 운이 많이 따르는 일이고 다만 그 운을 얻을 기회가 될 수준까지 작품을 완성해야 한다는 걸 깨달았다. -P118]
어떤 종류의 글을 쓰든지 작가의 길은 험난하다. 책은 독자들이 읽어 주어야 하고, 시나리오는 영화로 완성되어야 한다. 그 중간에 얼마나 많은 좌절이 있는지도 안다. 하지만 끝까지 버티고 계속 써 내어야만 한다는 것 또한 진리이다.
[영화로 만들어지지 못한 시나리오는 과녁을 빗나간 화살이고, 시나리오 작가는 무명일 따름이다. 이름을 얻는다는 건 신용을 얻는다는 것. 그것이 바로 크레딧이고 영화가 끝나면 올라오는 글씨들이다. -‘망원동 브라더스’, 작가의 말 중에서]
김호연의 장편소설 『망원동 브라더스』는 8평짜리 옥탑방에 모여 사는, 우정과 애증으로 뭉친 남자들의 눈물겨운 이야기이다. 이 방의 주인인 오영준(만화가), 그의 싸부 김인수(만화 스토리 작가), 영준의 책을 내어준 출판사의 영업 부장이었던 김창경, 영준의 후배, 삼척동자 유재완이 그 구성원이다. 영준이 루저, 빈대, 기생충, 바퀴벌레들로 표현한 그들은 여러 사연으로 영준의 좁은 방에서 신세를 져야만 하는 처지이다.
쉽게 잘 읽히는 이 소설에서 특별한 건 주인공인 오영준 작가의 태도이다. 옥탑방이라는 그리 좋지 않은 환경에서도 그는 사람을 받아들인다. 갈 곳이 없는 사람들, 외로워 기대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그는 내치지 않는다. 그들 대부분이 찌질하고 철없는 행동도 서슴지 않지만 인색하지 않고 사람의 정을 느끼게 한다. 막다른 곳에 있는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많은 것이 아닌 조금의, 최소한의 도움이다. 그 시기만 견디면, 언제라도 일어설 수 있는 것이 사람이다. 그렇지만 누구나 쉽게 그들에게 손을 내미는 것은 아니다. 조금이면, 아주 조금이면 되는데도...
[그래, 루저의 푸념이다. 하지만 루저가 너무 많다. 나도, 옆의 김부장도, 어딘가로 사라져버린 석의 아버지도 모두 루저다.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다 지면서 살고 있다. 지면서도 산다. 어쩌면 그게 삶의 숭고함일지도 모르겠다.]
“오작가가 사는 8평 옥탑방은 퍼시 애들론의 영화 <바그다드 카페>와 일맥상통하는 공간이다. 서로를 이해하고 끌어안아 그 공간을 사랑이 충만한 지상 최대의 낙원으로 만들어가려는 따뜻한 시선은 각기 다른 공간을 완벽하게 같은 곳으로 착각하게 만든다.”
- 『망원동 브라더스』, 추천글, 영화감독 송해성
지나다니는 것은 큰 트럭뿐인 황량한 사막 한가운데에 있는 ‘바그다그 카페’. 커피 머신은 고장나있고 모든 것이 엉망진창인 곳이다. 카페 여주인인 브렌다는 꽉 막힌 인생살이 덕분에 항상 화가 나 있다. 그곳에 육중한 몸매의 독일 여자, 야스민이 나타난다. 별로 환영받지 못한 그녀이지만, 오히려 야스민은 ‘망원동 브라더스’의 영준처럼 사람을 받아들이다. ‘받아들인다’는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감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야스민은 바그다드 카페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 진정으로 마음을 연다. ‘망원동 브라더스’의 사람들이 점차 자리를 잡고 다시 인생의 제 2막을 시작하듯이, ‘바그다드 카페’도 변화한다. 어쩌면 사람이 잘 살아갈 수 있게 해주는 요인은 사람 사이의 우정일지도 모른다. 그 우정에 검은 피부, 뚱뚱한 몸매, 나이는 중요하지 않다.
송해성 감독의 추천글로 오래전에 본 영화 ‘바그다드 카페’가 다시 보고 싶어졌다. 여러 군데를 들렀지만 왔차에만 이 영화가 있었다. 내가 왔차를 구독하지 않아 포기해야 할지 고민했는데 마침, 2월 6일 OBS, 10시에 이 영화가 상영되었다. 와, 이렇게 기막힌 우연이 있을까. 다시 본 ‘바그다드 카페’는 역시나 좋았다. 영화 주제곡인 제베타 스틸의 ‘Calling You'도 물론 명곡이다.
scott님께서 추천해 주신 ‘바그다드 카페’의 토대가 된 카슨 매컬러스의 소설 ‘슬픈 카페의 노래’도 내처 읽었다. 황량하고 세상과 동떨어진 마을에 키가 굉장히 크고, 사팔뜨기에 남자 같은 미스 어밀리어 에번스가 가게를 운영하며 살고 있다. 어느 날 그녀에게 자신이 어밀리어의 친척이라고 말하는 꼽추 라이먼 윌리스가 나타난다. 그녀는 라이먼을 사랑하게 되고 사료가게를 카페로 만든다. 그 후 이 마을이 변하기 시작한다. 그 후 미스 어밀리어와 열흘 만에 결혼 생활을 끝장 낸 마빈 메이시가 찾아온다. 그 세 사람은 한 방향으로의 사랑을 한다. 그들의 사랑을 온전히 이해할 수는 없었다. 하지만 “매컬리스의 사랑론에 의하면, 사랑이 신비로운 이유는 사랑이 서로 주고받는 상호적 경험이 아니라 혼자만의 것이기 때문이다(p149)” 라는 장영희 번역자의 설명으로 단번에 그들의 사랑을 받아들였다.
[아주 이상하고 기이한 사람도
누군가의 마음에 사랑을 불 지를 수 있다.
선한 사람이
폭력적이면서도 천한 사랑을
자극할 수 있고,
의미 없는 말만 지껄이는 미치광이도
누군가의 영혼 속에
부드럽고 순수한 목가를 깨울지도 모른다. -p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