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책정리를 하다 빼낸 책은 하루키의 젊은 시절 여행기 <비 내리는 그리스에서 불볕천지 터키까지>(문학사상사)다. 원제는 <우천염천>이고 번역본도 같은 제목으로 몇 차례 나왔다가 제목이 바뀌었다. 내가 갖고 있는 것도 그래서(?) 두 종이다. 언젠가 <염천우천>으로 조금 읽었던 책.

또 어디에 꽂혀 있는지 모르겠는데 해외여행기로 <우천염천>의 짝이 되는 건 <먼 북소리>다. 1980년대 후반에 쓰인 글들이라는 것도 공통점. 하루키가 40대로 넘어갈 무렵이다. 하루키의 여행기가 생각난 건 최근 김연수의 여행산문집이 나와서이기도 하고 한편으로 나도 여행기를 써야 해서다. 몇 차례 문학기행을 다녀온 김에, 그리고 앞으로도 가게 되는 김에 ‘여행기란 무엇인가‘를 궁리해보는 것.

세계적인 저널리스트이자 여행작가로 리샤르드 카푸시친스키와 로버트 카플란의 책과 함께 제발트의 작품들, 그리고 하루키와 김연수 책들도 참고거리다. 하루키의 <우천염천>은 나중에 그리스 여행을 가게 되면 또 정독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지금은 그냥 슬렁슬렁 넘겨보는 수준.

시오노 나나미의 <그리스인 이야기>도 그렇게 읽는데, 사실 나나미는 고대 그리스의 사회와 문화에 대해 꽤, 나로서는 너무 자세하게 적고 있어서 가끔 책에서 눈을 떼게 된다. 그렇지 않아도 머리가 복잡한데, 라는 생각에. 하루키와 나나미의 공통점도 있다. 한국에서 가장 많은 책을 팔아치운 일본 저자라는 것. 그나마 하루키의 여행기들이 가장 덜 사랑받은 게 아닌가도 싶다. 여러 번 다시 나온 걸 보면...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제트50 2018-08-14 1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루키 열풍에도 불구하고 제가
좋아하는 그의 작품은 <노르웨이의 숲>,
<먼 북소리>입니다^^;
<비내리는 그리스..>도 리스트에
올려야겠어요. 얼마전에 쌤 페이퍼 보고 카잔차키스의 <지중해기행>을
구입했어요. 저는 주로 영국여행기를 읽는데 왠 지중해바람이 왔을까요?^^

로쟈 2018-08-14 18:59   좋아요 0 | URL
한권 정도로 바람이라고하긴 어렵고요.^^

달걀프라이 2018-08-21 1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루키의 책이 집에 많이 있는데 여행기는 없었네요.
저도 김연수의 여행기 재미있게 읽었어요.

로쟈 2018-08-21 23:02   좋아요 0 | URL
하루키는 모든 장르를 하루키화하죠.
 

1996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폴란드 시인 비스와바 쉼보르스카(1923-2012)의 책이 나왔다. <읽거나 말거나>(봄날의책). 의당 시집이겠거니 했는데 놀랍게도 서평집이다! 책은 2015년에 나왔으니 시집 <충분하다>와 마찬가지로 유고집이다. 이미 소수의 열혈독자를 거느리고 있는 시인이지만 이번 서평집이 쉼보르스카에게 다가가는 문턱을 낮춰줄 것 같다.

˝책과 마주하는 순간, 쉼보르스카는 그 어떤 가식도 없이 온전히 그 자신이 된다. 폴란드 문단을 대표하는 지식인도, 존경받는 노벨상 수상자도 아닌, 순수한 ‘애호가’이자 겸허한 ‘아마추어’의 입장에서 모든 권위를 내려놓은 채, 오로지 책에만 집중한다. 그렇기에 모르는 것에 대해 절대로 아는 척하지 않으며, 마음에 들지 않는 책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진솔하게 털어놓는다. 누구보다 자신의 감정에 충실하기에 때로는 혹평도 서슴지 않는다.˝

예상대로 상당수의 책 목록이 생소하지만 우리에게 친숙한 책도 눈에 띈다. 나관중의 <삼국지>나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 등이 그렇다. 한번 더 책의 바다는 드넓다는 건 확인하면서 읽어봐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판본 프랑켄슈타인 얘기를 며칠 전에 적을 때 같이 다루려던 내용인데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초판본 얘기다(<젊은 베르터의 고뇌>로도 번역되지만 괴테학회의 공식 표기를 따라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으로 적는다). 알려진 대로 1774년 스물다섯 살의 괴테를 일약 유명작가로 만들어주었다는 작품이면서 지금은 세계문학 고전으로 읽힌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은 우리가 읽는 번역본이 초판이 아니라 괴테가 초판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수용하여 1787년에 다시 펴낸 개정판이라는 점이다. 괴테의 나이 38세 때의 일로 이탈리아 여행을 통해서 서서히 고전주의자로 변모해가던 시점이다. 초판본이 ‘질풍노도‘의 문학정신을 대변했다면 괴테는 개정판에서 그에 대한 정밀교정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나는 ‘두 명의 괴테‘가 탄생한다고도 말하고 싶다. 티나게 달라진 부분들도 있는데 베르테르에게 사랑의 교사 역을 담당하는 어느 집 하인(머슴)의 등장이 대표적이다. 이 하인의 등장으로 로테에 대한 베르테르의 사랑은 모방적 성격을 갖게 되기에 매우 중요한 차이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그런 개정판을 1774년판으로 알고 읽는다는 점이다(심지어 많은 전공자들도 두 판본의 차이를 사소하게 여긴다). 세계문학전집판으로 나온 거의 모든 번역본이 현재 정본으로 읽히는 이 1787년판을 대본으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원전을 1774년판이라고 적는다. 내가 아는 유일한 예외가 보물창고판이다(한 강의에서 후사까지 하겠다고 수소문해서 알게 된 정보다). 역자가 후기에서 의도적으로 1774년판을 옮겼다고 밝힌다. 초판본 표지만 얹는다면 아마도 유일한 ‘초판본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될 성싶다.

어떤 작품을 대충 읽거나 편의적으로 읽는 건 독자의 권리다. 그렇지만 사실과 맥락을 존중하며 읽는 것 역시 보장되어야 하는, 독자의 권리다. 현재의 세계문학전집판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들은 그런 점에서 좀 무심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wo0sun 2018-08-14 15: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작품 강의 듣고 초판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
혹시나 예전에 초판 번역서가 있지 않을까해서 찾아봤었는데
2015년 번역이라니~
가을 강의 없을때 1787판본과 비교 해가며 읽어볼까 합니다

로쟈 2018-08-14 19:00   좋아요 0 | URL
저는 중요한 차이라고 보는데 쉽게 간과들 하네요.
 

제목만 보고는 제쳐놓기 십상인 책이 마치다 고의 <살인의 고백>(한겨레출판)이다. 작가도 생소하여 일본의 흔한 장르소설이겠거니 했는데, 무려 ‘다니자키 준이치로상 수상작‘이다. 그 전작들로 이미 아쿠타가와상과 가와바타 야스나리상을 받은 실력자로 오에 겐자부로로부터 ˝일본의 차세대를 이끌 독특한 작가˝라는 평을 얻었다. 일본문학의 향방을 가늠해보기 위해서라도 관심을 두어볼 만한 작가.

지난주에 하루키와의 인터뷰집을 낸 가와카미 미에코도 아쿠타가와상과 다니자키 준이치로상 수상 경력이 있다고 소개했는데 마치다 고가 <고백>(<살인의 고백>의 원제)으로 수상한 거 2005년이고 미에코가 <사랑이 꿈이라든지>로 수상한 게 2013년이다. 화려한 수상경력의 동시대 일본작가들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이고 같이 묶어서 읽어봐도 좋겠다. <살인의 고백>의 소개는 이렇다.

˝19세기 말 일본 가와치 지역에서 실제 있었던 무차별 살인사건, 일명 ‘가와치 10인 살해사건’을 소재로 한 장편소설. 아쿠타가와상, 가와바타 야스나리상, 노마 문예상 등 일본의 최고 문학상들을 휩쓴 작가 마치다 고의 대표작이자 제41회 다니자키 준이치로상 수상작이다. 평범한 농사꾼이었던 사내는 어떠한 이유로 마을 사람들과 자신의 아내, 태어난 지 사십 일밖에 지나지 않은 갓난아기까지 죽이는 무자비한 학살을 감행했는가. ‘인간은 왜 인간을 죽이는가’라는 화두를 들고, 살인자의 내면을 철저히 탐색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주에 <프랑켄슈타인>에 대한 강의가 있어서 <초판본 프랑켄슈타인>에 잠시 눈길이 갔다. ‘초판본‘이라는 건 1818년판을 말하는데 가장 많이 읽히는 번역본 가운데 문학동네판도 1818년판을 옮긴 것이므로 초판이라는 건 ‘초판본 표지‘ 이상의 의미를 갖기 어렵다(표지야 구경만 하면 될 일이고).

참고로 열린책들판 <프랑켄슈타인>은 1831년 개정판의 번역이다. 저자 메리 셸리(1797-1851)가 생전에 수정해서 펴냈기에 한동안 정본으로 간주되었지만 현재는 미숙하더라도 1818년판의 문학사적 의의를 더 높이 평가하는 추세. 메리 셸리가 개정판은 낸 건 초판의 남편 퍼시 셸리(1792-1822)의 이름으로 나왔던 것도 감안되지 않았나 싶다. 작품의 저작권을 회복한다는 의미. 현재도 번역본들에는 남편 퍼시가 쓴 서문이 실려 있다.

번역상의 차이가 없다면 현재로서는 ‘초판본‘이라는 말에 현혹될 이유는 없다. 다만 <프랑켄슈타인>이 두 가지 판본이 있고 한국어판도 그에 따라 두 종으로 나뉜다는 것 정도를 상식으로 알아두면 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