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을 먹고 카페에 들고온 책들 가운데 허수경 시인의 <누구도 기억하지 않는 역에서>(문학과지성사)를 아무데나 펼쳐 읽는다. 재작년 가을에 나온 시집이고 내가 구입한 건 올봄에 나온 5쇄다. 시인은 지난주에 세상을 떠났다. 꼭 그렇게 읽을 필요는 없지만 시를 읽는 맥락이 그렇게 만들어져 있기에 ‘푸른 들판에서 살고 있는 푸른 작은 벌레‘에 눈길이 멈추었다. 이렇게 시작하는 시다.

바지에 묻어온 벌레를 털어냈다
언젠가 누군가를 이렇게 털어낸 적이 있었다
털리면서도 나의 바짓단을 누군가는 무작정 붙잡았다
나는 더 모질게 털어내었다
서늘하고 아팠다
벌레여 이 바지까지 온 네 삶은 외로웠나
이렇게 말하는 건 나, 중심적임을 안다네,
사라져가는 생물들이 쉬는 마지막 숨을
적어본 적이 없고
모든 살았던 것들의 눈동자 역사를
적어본 적도 나는 없었으므로

시의 서두이자 전반부이고 후반부는 상상에 맡긴다. 다만 시인이 털어낸 벌레가 ‘날개 달린 벌레‘라는 걸로 보아 풍뎅이 종류가 아닐까 싶다. 고고학 답사 현장에서 묻어온 벌레이지 않을까 싶고. 이 벌레로 인하여 언젠가 벌레인 양 털어낸 한 사람이 생각났고 그 모진 행동에 뒤늦은 자책감이 들었다는 게 골자다.

하지만 똑같은 상황이 반복되더라도 시인은 다시 한번 털어내지 않을까. 그렇지 않는다면 회한이 남지 않을 테고 이런 시도 쓰일 수 없을 테니. 시쓰기는 회한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선택의 산물이다. 우리는 반복해서 후회하고, 혹은 후회를 반복하고 그 후회를 밑천으로 시를 쓴다. 상실을 시로 보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잃어버려야 하니까. 시인은 잘 잃어버리는 자이고 기필코 잃어버리는 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wo0sun 2018-10-09 17: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피할수만 있다면 피하고 싶은
후회와 회한, 상실을
기필코 부여잡고 있어야 하는게
시인이라면
시인의 운명을 타고나지 않은 것에 감사를~

로쟈 2018-10-10 23:07   좋아요 0 | URL
상실을 피해간다는 게 만만치 않습니다.^^
 

포르투갈의 시인이자 작가 페르난두 페소아의 시선집 두 권이 동시에 나왔다. <시는 내가 홀로 있는 방식>과 <초콜릿 이상의 형이상학은 없어>(민음사)다. 역자는 페소아가 살았던 도시 리스본에 대한 책 <페소아: 리스본에서 만난 복수의 화신>(아르테)를 쓴 김한민 씨로 페소아의 산문집 <페소아와 페소아들>을 옮기기도 했다. 페소아의 유작이자 대표작 <불안의 책>이 소개된 이후에 이제는 꽤 자주 출간소식을 접하게 되는데, 우리에게는 그간에 다소 멀게 느껴졌던 포르투갈문학을 조제(주제) 사라마구와 함께 대표하는 이름이다.

번역과정에서 아무래도 산문보다 더 많은 것을 잃게 되는 게 시인데 그럼에도 일부 시들은 살아남기도 한다. 아무곳이나 펼쳤다가 읽게 된, <초콜릿>에 수록된 ‘직선의 시‘가 그렇다.

내가 아는 사람 중에는 얻어맞은 사람이 없다
다들 모든 것에서 챔피언이었다

이후에 이어지는 건 자학적이고 자조적인 토로다.

내가 알거나 나와 얘기하는 모든 이들은
한 번도 어리석은 행동을 하거나, 창피를 당한 적이 없다,
인생에서 왕자가 - 그들 모두 왕자님들 - 아닌 적이 없었다...

(...)

그렇다면, 이 지구에 비열하고 잘못된 사람은 나 혼자란 말인가?

아무래도 번역을 통과해서는 읽히는 시들은 이런 어조와 정서를 담은 시들이 유리한 것 같다. 세사르 바예호 ‘오늘처럼 인생이 싫었던 날은 없었다‘ 같은 시처럼. 페소아에 입문하기 위해서는 시선집도 선택지가 되겠지만 <페소아>부터 읽어보는 게 빠를 것도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침에 허수경 시인의 부고를 접했다. 말기암으로 투병중이라는 사실은 알고 있었기에 지난여름 타계한 황현산 선생과 마찬가지로 마음의 준비는 하고 있었다. 마음의 준비? 놀라지 않을 준비라고 해야 하나. <슬픔 만한 거름이 어디 있으랴>(1988)가 시인의 첫 시집이었고 나도 처음 읽은 시집도 그렇다. 이후 딱 30년의 시간이 흘렀다.

진주 출신이어서 ‘진주 여자‘라고 입력돼 있었는데, 이후에 독일로 유학을 떠나 고고학을 공부한다고 했고, 박사학위까지 마쳤다는 얘기는 훨씬 나중에 들은 것 같다. 그래도 간간이 시집과 산문집이 나왔고 나는 몇권의 시집을 더 읽었다. 최근에 재간된 산문집 <그대는 할말을 어디에 두고 왔는가>를 펴보다가 근황에 관한 기사를 읽었고 해를 못 넘길 것 같다는 인상을 받았다. 지상에 남길 말들은 다 하고 떠난 것인지 궁금하다.

추모의 의미를 담아서 <누구도 기억하지 않는 역에서>를 주문했다. 검색해보다가 안 갖고 있다는 걸 알게 되어서. 그밖에 신문집들은 갖고 있다. 생전에 안면이 있었던 건 아니어서 나로선 오직 책으로 만나고 헤어진다. 마지막 시집을 읽으며 시인과 작별하게 될 터이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lanca 2018-10-05 03: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버티시리라 여겼는데... 안타깝네요.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로쟈 2018-10-09 16:36   좋아요 0 | URL
네 안타까운 일입니다..
 

영국의 비평가 테리 이글턴의 셰익스피어론, <셰익스피어 정치적 읽기>(민음사)가 다시 나왔다. 애초에 <셰익스피어 다시 읽기>로 나왔던 책이다. 무려 22년만이다. 번역이 달라진 것 같지는 않으나 하드카바에서 소프트카바로 바뀌고 표지와 제목도 달라지면서 마치 새책 같은 인상을 준다.

오래전에 읽은 책이지만 그때는 셰익스피어를 강의하기 전이었다. 지금은 주요 작품들을 강의에서 다루었고 나대로의 견해도 갖고 있는 처지라 독후감도 달라질 듯하다. 이글턴의 견해와 견주어볼 수도 있겠다.

셰익스피어론으로는 셰익스피어 전문학자 폴 캔터의 <맥베스: 양심을 지닌 아킬레스>(에디투스)도 정색하고 읽어볼 만한데 아직 시간을 못 내고 있다. 캔터는 특히 셰익스피어의 로마사극에 정통한데, 그에 관한 연구서들을 <맥베스> 덕분에 구하기도 했다. 셰익스피어에 관한 나의 요즘 관심주제는 로마사극과 이탈리아 배경의 작품들이어서 조만간(그래도 빨라야 겨울이다) 읽게 되지 않을까 싶다. 그 전에 먼저 이글턴의 셰익스피어와 재회하고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문학을 강의하면서 고전 작가들과 정전들을 대략 훑고 있는데 마땅한 번역본이 없어서 불가불 건너뛴 경우도 몇 된다. 호손의 <주홍글자>를 강의하러 지방에 내려가는 길에 떠올라서 적자면, 스티븐 크레인도 그 가운데 하나다. <붉은 무공훈장> 같은 대표작이 번역되지 않았던 건 아니지만 유감스럽게도 세계문학전집판으로 나와 있지 않다.

검색해보면 <현대 미국작가들의 선구자>라는 희한한 제목의 번역본에(알라딘에서는 역자가 저자로 탈바꿈해 있다) <붉은 무공훈장>이 들어 있긴 하지만 확인해보지 않아서 완역인지는 모르겠다. 크레인 작품은 단편 하나가 창비의 미국문학 단편선에 수록돼있고 자연주의의 선구적 작품으로 평가받는 <매기: 거리의 소녀>가 한 대학출판부에서 나온 바 있다. 모두 강의에서 다루기에는 미흡하다. 국내에 영미문학 전공자가 결코 드물지 않음에도 이런 ‘공백‘이 생기는 건 미스터리한 일이다. 내가 알지 못하는 별도의 사정이 있는 것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