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리>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쓰리
나카무라 후미노리 지음, 양윤옥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책인가 싶은 표지와 당돌한 제목이 인상깊었다. 지갑을 품속에 넣는 (혹은 꺼내는) 청년은 슬픈 눈동자로 빌딩숲을 등지고 서둘러 자리를 뜬다. 그가 주인공의 모습이겠지. 비싸 보이는 손목시계는 이미 늦은 오후를 가리키지만, 그를 진심으로 기다리는 사람은 없다. 

주인공은 우연히 만나는 어린 소년에게 "시시하게 살지마" 라고 얘기해 주지만, 실은 그건 자기 자신에게 해주고 싶었던 말이다. 꼬마의 엄마와 누울 때도, 전에 나락으로 떨어지는 악몽만을 꿈꾸듯 노래한 애인이 떠올랐고, 유일한 벗이 사라진 후에, 그는 자신과 인연의 끈이 닿는 그 누군가를 꿈꾸었는지 모른다.  

 Go 의 가네시로 가즈키의 발랄함도 없고, 용의자 X 를 그린 히가시노 게이노의 치밀함도 없다. 주인공 "쓰리꾼"의 과거나 기억은 듬성듬성 독자에게 던져지고, 그의 외로움은 올이 성긴 낡은 천처럼 드리워져 있다. 공감은 어렵지만 그렇다고 주인공이 아주 밉지도 않다. 양윤옥 선생의 번역은 우리글을 읽어도 일본어를 읽는 것 처럼 (아, 이건 일본어를 모르는 사람의 개인적인 느낌일 뿐이지만) 낯선 문장이다. 그저 나락으로, 대책없이 떨어지는 현대 시대의 외톨이, 그를 거대한 정치적, 경제적 음모 안에서 이용하는 ( 거인의 하수인일 뿐인) "그" , 그리고 훤히 보이는 꼬마의 십 년 후 모습이 슬프다.

 빠르게 읽히기는 하지만, 곱씹어서 생각할 여지는 남기지 않는 짧은 소설이다. 그림이 없지만 만화를 읽은 후의 느낌과 크게 다르지 않고, 치밀한 "쓰리" 꾼의 세계에 대한 생생한 묘사도 없다. 심하게 야하지도 않고, 그저 예측 가능한 인물들이 그만큼의 역할을 해내고 사라진다. 그래서, 허전하고 아쉬운 느낌이 강하다. 그래서, 우리의 미야베 미유키가 그리워졌다. 그리고 품 속의 내 지갑을 꼭 움켜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쓰리
나카무라 후미노리 지음, 양윤옥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6월
장바구니담기


"나는 먼 곳에 가야 해. 그래서 이제 만날 수 없어. ...... 하지만 시시한 인간이 되지 마. 혹시 비참해지더라도 언젠가는 꼭 바꿔." -31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찌 어찌 하여, 운 좋게 신간 리뷰어에 당첨이 되었다. 

첫 과제로 받은 책은 (것도 7월 9일 배송, 12일에야 받았으니 뜸은 있는대로 들어서 거진 누룽지가 된 마음으로)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 이다. 영문 합본이라 한쪽엔 영문이 또 다른 한 쪽엔 우리글이 있다. 예전에 시사영어사에서 나온 빨간 표지의 학생용 영문대역판이 생각났다.  아, 도스토엡프스키도 100쪽으로 끝냈던 (우리글은 50쪽이라는) 간단명료한 문학의 결정체!  

 어쨌거나, 

낯선 알라딘에서의 서재 글올리기에 나도 적잖이 긴장을 했던지, 리뷰쓰기가 수월치 않다.... 

 이 책의 첫인상은 700쪽에 육박하는 성경체 볼륨에 어째서 책갈피용 성경책 끈이 없느냐!!!! 는 것이다. 표지의 그림은 얼핏 꼬마 니콜라도 생각나게 하지만, 이 책은 Native American,  인디언 소년의 이야기다.  

 번역은 의역이 많고 부드러운 우리말 표현에 더 신경을 쓴 듯하고 쪽수가 딱 맞아 떨어지지도 않아서 굳이 영문을 대조해가며 읽어야한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그리고 표지에 찍혀있는 MP3 CD 를 받지 못했기에 성우의 목소리나  분위기를 알 수 없어서 아쉽기도 하다.  

 그리고 나의 글 읽기 진도는 느리고, 느리고, 느리다.... 

헛, 그런데 오늘 또 택배 청년이 다녀갔다. 혹자의 말에 의하면 밀려드는 서평단 책에 숨이 조여왔다고 했는데. 바로 이런 느낌? 오옷~ 나쁘지 않아!  

            더군다나, 이 두 권의 책은 몇 주전, 신문의 신간 리뷰에서 보고 찜해두었던 것들이다. 신간 리뷰라해서 아직 신문 신간 소개편에도 실리지 않은 것들인줄 알았는데, 이렇게 내가 보와두었던 책을 받는 경우도 생기니, 가슴이 마구마구 뛴다.  

 특히, 이 책,<쓰리>라는 단어를 책 제목으로 떡하니 붙여놓다니, 얼마나 되바라진 태도인지!!! 만화책인지 소설인지, 아니면 이것이 책이라고 불러도 되는 건지 도발적인 표지에 막되먹은, 하지만 그런 적나라한 제목에 끌리는 내 자신이 어쩔 수 없는 보통 소비자의 마음이기도 하리라.....  

어쨌든, 이제 내 앞에 밀려든 세 권의 책, 나는 탐하여 읽어낼 수 밖에.  

옙, 자랑질이었습니다.-_-;;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10-07-30 09: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 권의 리뷰보고 이 페이퍼 읽으니....지금쯤 맘이 좀 식상했겠어요! 쓰리는 겐자부로상까지 탔는데 영 별로인가봐요. 일본도 작품의 수준이 점점 떨어지는 것 같아요. 저는 제가 자주 가는 스컷님의방에서 미미의 고구레사진관이 신관으로 나왔다는 이야기 듣고 빨리 그런 작품이나 번역되어 나오길 학수고대하고 있어요.

아침부터 날씨가 선선하네요. 비가 더 오려나 싶은게.

유부만두 2010-07-30 18:03   좋아요 0 | URL
일본 문학상도 우리네 상처럼 그 편차가 큰가봐.
 
굿바이, 게으름 - 게으름에서 벗어나 나를 찾는 10가지 열쇠, 개정판
문요한 지음 / 더난출판사 / 2009년 2월
장바구니담기


게으름을 판단할 때는 '삶에 방향성이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 그러나 게으름은 위장의 천재다. 사실 게으름을 노골적으로 피우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위장된 게으름은 대부분 '해야할 일을 하지 않고 중요하지 않은 일에 매달리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 게으름은 행위 자체가 아니라 태도, 즉 능동성에 의해 구분된다. 아무런 물음이나 생각 없이 반복적인 일상을 바쁘게 사는 것도 삶에 대한 근본적인 게으름이다.-30쪽

병적으로 게으른 사람들은 비관주의자가 되지 않고는 자신을 지키기가 힘들다. 그러나 이 역시 튼튼한 보호막은 아니다. 비관주의라는 보호막 속에 숨어만 있기에는 게으름으로 인한 현실적 피해들이 너무나 크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게으른 사람들의 자기방어는 늘 불완전하다. 병적 게으름에 빠진 사람들은 비관주의라는 비가 새는 집에서 쪼그려 잠을 잔다. 그리고 그 현실을 잊고 마음을 달래기 위해 쉽게 중독에 빠진다. 점차 현실을 떠나고, 관계를 떠나고, 심지어 자기 자신과도 이별하게 되는 것이다. -49-5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굿바이, 게으름 - 게으름에서 벗어나 나를 찾는 10가지 열쇠, 개정판
문요한 지음 / 더난출판사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게으르다. 그래서 이런 확실한 제목의 책을 골라 읽었다. 게으름을 떨칠 수 있길 바라면서, 용기를 좀 얻을까 싶어서.  

내가 하는 짓꺼리들과 갖다 대는 핑계들이 모두 다 게으름이 만들어 낸 것들이었고, 더 놓아두었다가는 위험할 수도 있단다. 그리고, 성과에 급급해서 살아온 내 습관이 그 원인이기도 하단다. 우선 내가 변할 수 있다는 점을 믿고, 행복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단다.  

책은 쉽게 잘 읽히고, 설득력도 있다. 그런데, 40에 접어든 게으른 아줌마가 실천할 수 있는 게으름 떨치기 방법은 잘 생각나지 않는다. 집안을 깨끗하고 예쁘게 꾸미기, 가족에게 영양가 풍부한 식사 준비하기, 뿐은 아닐텐데. 아이 전교 1등 만들기, 뭐 이런것도 아닐테고. 

요즘 우울하다고 칭얼거렸었는데, 실은 "나 게을러요" 라고 광고를 하고 다녔던 꼴이다. 부끄럽기도 하고, 진짜 우울해 지기도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10-07-30 09: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게으르면 좀 어때서요. 게을다고 아니고 여유로움이라고 생각해요. 우리.

유부만두 2010-07-30 18:04   좋아요 0 | URL
ㅋㅋㅋ 저자가 꼬집은 말 중에 하나가, 여유로움과 게으름은 다르다는 점이야. ...나로선 변명의 여지가 없어. ㅜ 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