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캇 님 페이퍼로, 영화 “마틴 에덴”을 먼저 보고 홀딱 반해 녹색광선 책을 영접했다. 녹색광선이라면 몇 권 있는데 이번에 두 권이 색 조합이 좋다. 1권 암녹색도 좋지만 가을이라 그런지 2권 버건디색 양장이 더 마음에 든다. 영화 속 한 장면을 각각 표지에 넣었다.
영화의 공간적 배경은 원작소설과 달리 지구 반대편 항구도시로 이동했다. 나폴리와 제노바를 배경으로 하는 피에트로 마르첼로 감독의 이 영화 중 특히 인상 깊었던 건 인물들에 바짝 다가가 얼굴을 담아낸 장면이다. 그렇게 인물의 내면에 다가간 카메라 시선이 무척 마음에 들었다. 특히 노동자들의 얼굴, 노인들의 얼굴에 새겨진 고단함과 세월의 훈장, 연륜의 미소가 그렇다. 어느 할머니의 밝고 넉넉한 웃음을 아주 가까이서 찍은 얼굴이 살아낸 흔적을 고이 담은 여느 초상사진처럼 기억에 오래 남는다.
노동자 출신으로 세상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생의 뜨거움과 차가움을 일찌기 알게 된 잭 런던의 자전적 소설, 영화와 달리 어떻게 또 읽힐지 설렌다. 자신이 숭배하여 걸어들어가고자 한 세계에 환멸을 느끼고 모순된 자신과의 괴리감과 사랑의 상실감에 스스로 그 세계를 버리고 바다로 걸어들어간 마틴. 눈시울처럼 붉게 타는 지평선 아래로 해는 지고 파도는 무심하고 세상엔 전쟁이 일어났다는 고함만 공허하게 들릴 뿐.
강렬한 마지막 장면에서 돌아보면, 노동자로서의 마틴이 훨씬 생기있고 순수하고 강인했다. 무릎 나온 바지에 낡은 점퍼를 입고 열망 가득한 눈빛으로 책을 들고 허름한 골목을 내려오는 장면이라든가 작가가 되고자 쉼없이 책을 읽고 글을 쓰고 자신의 지적 세계를 구축하며 구호를 부르짖는 노동자들과 함께 항구 장면에서 흘러나온, 발랄한 생의 틈새를 비추는 경쾌한 샹송이라든가 그 모든 인물과 풍경을 담는 화면의 물빠진 색감, 오래된 클래식 렌즈를 통해 멀가까이서 바라보는 듯한 색이 좋다.
“이 방에서 나만이 개인주의자입니다.” - 마틴
_ 책머리에
나는 먼지보다는 재가 되리라
내 삶의 불꽃이 마르고 부패되어
숨막혀 죽기보다는
차라리 찬란한 불길 속에서 타오르리라
졸린 듯 영원한 행성보다는
차라리 떨어지는 최고의 별똥별이 되어
내 모든 원자 하나하나가 장엄한 빛을 발하리라
존재가 아니라 사는 것이 곧 인간의 본분일지니
나는 생의 연장을 위해 주어진 날들을 허비하지 않으리
내게 허락된 시간들을 모두 쓰리라
잭 런던, <먼지가 되기보다는 재가 되리라>
-7쪽
![](https://image.aladin.co.kr/product/30079/87/cover150/k022839471_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06/pimg_734585173354817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06/pimg_734585173354817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06/pimg_7345851733548172.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06/pimg_734585173354817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06/pimg_734585173354817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