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면을 끓이며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9월
평점 :
김훈의 <칼의 노래>는 남성적 묘사의 극치라고 말한 적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일까? 나는 김훈의 <화장>을 읽기가 불편했다. 추은주가 오상무에게 쓴 편지부분에서 계속 김훈의 얼굴이 어른거리기 때문이다. 김훈이 화장을 하고 여장을 한 모습이 연상된다.
남성적 서사가 주를 이루는 <칼의 노래>같은 소설을 읽을 땐 그의 문체가 장점이 될 수 있지만 <화장>같은 경우엔 오히려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김훈의 소설보단 에세이가 읽기에 마음 편하다. 어떤 이웃분이 ‘김훈의 글은 낭독에 좋다’고 말씀하셨는데 동의한다. <라면을 끓이며>도 읽다보면 어느새 읊조리게 된다. 어쩌면 그는 시조의 형식을 차용한 게 아닐까. 아니면 국악의 리듬을 차용한 것일까. 알려진 대로 김훈은 <칼의 노래>를 집필할 때 국악장단을 연상하면서 문장을 썼다고 말했었다.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등등.
예를 들면 이런 문장을 읽다보면 저절로 소리를 내뱉고 싶어진다.
가을은 칼로 치듯이 왔다. 가을이 왔는데, 물가의 메뚜기들은 대가리가 굵어졌고, 굵은 대가리가 여름내 햇볕에 그을려 누렇게 변해 있었다. 메뚜기 대가리에도 가을은 칼로 치듯이 왔다. 그것들도 생로병사가 있어서 이 가을에 땅 위의 모든 메뚜기들은 죽어야 하리. 그 물가에서 온 여름을 혼자서 놀았다. 놀았다기보다는 주저앉아 있었다. 사랑은 모든 닿을 수 없는 것들의 이름이라고, 그 갯벌은 가르쳐주었다. 내 영세한 사랑에도 풍경이 있다면, 아마도 이 빈곤한 물가의 저녁썰물일 것이다. 사랑은 물가에 주저앉은 속수무책이다.
<라면을 끓이며> P224. 3부 몸.
원래 좋아하던 문장들을 다시 만나는 것도 반가웠다. 예를 들면 이런 문장.
잘 익은 수박은 터질 듯이 팽팽해서, 식칼을 반쯤만 밀어 넣어도 나머지는 저절로 열린다. 수박은 천지개벽하듯이 갈라진다. 수박이 두 쪽으로 벌어지는 순간, ‘앗!’ 소리를 지를 여유도 없이 초록은 빨강으로 바뀐다. 한 번의 칼질로 이처럼 선명하게도 세계를 전환시키는 사물은 이 세상에 오직 수박뿐이다. 초록의 껍질 속에서, 새카만 씨앗들이 별처럼 박힌 선홍색의 바다가 펼쳐지고, 이 세상에 처음 퍼져나가는 비린 향기가 마루에 가득 찬다.
<라면을 끓이며> P336. 4부, 길.
가끔씩 아무 이유 없이 <칼의 노래> 첫 문장을 내뱉곤 한다.
‘버려진 섬마다 꽃이 피었다.’
그리곤 혼자 자지러진다.
‘아으, 동동다리’
그의 글에선 여전히 전체성과 개별성이 투쟁을 벌인다.
애초에 필사를 포기한다. 반납 일을 하루 넘겼기에.
사서 필사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