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션 - 어느 괴짜 과학자의 화성판 어드벤처 생존기
앤디 위어 지음, 박아람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마션은 이상하게도 리뷰가 넘쳐난다.
고로 나는 짧게 써야겠다.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하지?’
이 천재적인 작품을 ‘화성판 삼시세끼’라고 표현한 사람들의 상상력의 빈곤함이란!
웃자고 한 얘기겠지만 슬프다.
살기위해 먹는 것과 먹기 위해 사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이거늘.
‘21세기 판 로빈슨 크루소’가 좀 더 적확하다.
이 작품을 쓴 앤디 위어는 천재가 아닐까. 화성판 생존기임에도 – 영화나 소설이나 – 마치 누군가의 회고록을 보는듯한 착각에 빠져든다. 그만큼 작가가 구축한 작품의 리얼리티가 견고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만족스러운 면이 없진 않다.
주인공 마크 와트니가 왜 저렇게 아등바등 살려 하는지 납득이 안 갔다. 지구와 연락이 된 이후에는 그나마 이해가 된다. 그래, 살아 돌아가면 그는 영웅이 될테니까.
영화 <그래비티>의 산드라 블록은 꼭 살아야만 할 이유가 있었다.
그러나, 마크 와트니는 ‘반드시 돌아가야 할’ 이유가 없었다.
화성, 절대적인 고립무원의 상황임에도 이 소설엔 삶에 대한, 죽음에 대한 아무런 관점이 없다. 중력이 느껴지지 않는 소설이라니! 영화 <캐스트어웨이>의 배구공 ‘윌슨’에 대응할 만한 것도 없다. 와트니 주변의 모든 것은 도구에 불과하다.
그래서일까. 마치 게임을 보는듯한 느낌은.
한없이 가볍다. 그 가벼움을 선호하는 독자도 있겠지만 내 취향은 아닌 듯.
천재의 작품이긴 하나 감동이 없다.
밑줄 그을 문장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