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부터 20년간, 거대도시 사람들의 모습은 급격하게 달라질 것이다. 그 숨가쁜 변화 속에서 거대도시민의 이동을 어떻게 구상하고 어떻게 구현해내는지가 우리의 미래 건강과 행복, 그리고 넷제로Net-Zero의 달성까지도 좌우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더해야 할 것들과 빼야 할 것들은 이제 더없이 명백하다. 개인과 사회 모두가 바뀌는 일만 남았다.

지금부터 20년간, 거대도시 사람들의 모습은 급격하게 달라질 것이다. 그 숨가쁜 변화 속에서 거대도시민의 이동을 어떻게 구상하고 어떻게 구현해내는지가 우리의 미래 건강과 행복, 그리고 넷제로Net-Zero의 달성까지도 좌우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더해야 할 것들과 빼야 할 것들은 이제 더없이 명백하다. 개인과 사회 모두가 바뀌는 일만 남았다. - P1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행자의 어원 사전 - 이 세계를 열 배로 즐기는 법
덩컨 매든 지음, 고정아 옮김, 레비슨 우드 서문 / 윌북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 때 나라 이름은 그냥 나라 이름,이라고만 생각했었던 기억이 있다. 어느 날 선생님이 미국이라는 나라의 이름을 한자로 표현할 때 아름다울 미,자를 쓰는데 미국은 쌀의 뜻을 가진 미를 써야한다고 했던 말도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좀 더 자라서 미국을 아메리카라고 하면 아메리카는 대륙을 의미하는 것이지 미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며 면박을 당했던 기억도 있다. 

내가 잘못알고 있었던 것은 아니라고 말하고 싶지만 왠지 반박하기 싫어지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이 책에도 아메리카 합중국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역시나 '나라가 아닌 대륙, 그것도 두 개의 대륙을 가리키는 말'(31)임에도 그냥 아메리카라고만 불릴 때가 많음을 언급하고 있다. 소비에트 연방이 사라지고 러시아가 된 이후 당당하게 아메리카가 최강으로 불리는 것일까? 아니, 생각해보니 나라 이름은 그 이전부터 그리 불렸었던건데.


여행자의 어원 사전,은 여러 생각을 떠올리게 해서 궁금한 책이었다. 

솔직히 말한다면 이 책을 처음 펼쳤을 때 내가 생각했던 것과는 조금 달라서 신나게 읽히지 않았다. 세계 각 나라의 명칭에 대한 스토리텔링 - 그러니까 약간의 상상력을 거짓말처럼 가미해 재미있는 이야기를 풀어놓을 것이라 예상했는데 뜻밖에도 이 책은 그보다 더 깊이 들어가는 '어원'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을 예상하지 못했던터라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읽듯 읽히지는 않았다는 말이다. 그래서 순서없이 관심이 가는 나라 이름부터 찾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과연 대한민국의 코리아는 뭐라 했을까?


"몽골고원에서 남동쪽으로 1900킬로미터가량 내려오면 양옆에 황해와 일본해이자 한국의 동해를 끼고 있는"(253) 작은 반도에 하나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는 두 개의 나라가 있다는 말로 시작한다.

나라 이름의 어원에 대한 이야기에 앞서, 일본해이자 한국의 동해,라는 표현에서 새삼스럽게 왜 우리는 우리 영토에 대한 주장을 더 강하게 - 그러니까 한국의 동쪽바다가 아니라 한국의 바다라고 못박지 않았을까를 먼저 떠올리게 된다. 그러니 동해나 일본해를 같은 표현이라고 보는 것이지. 사실 동그란 지구에 동서남북을 정한다는 것 자체가 전 지국적 합의가 아니듯 그냥 약속된 표현으로 우리 내부적으로는 동쪽의 바다지만 국경으로 따지자면 저 바다는 우리나라 바다가 아니던가.


책과 관련없는 이야기가 길어졌는데 아무튼, 마르코폴로 등등의 이유들로 고려가 더 알려졌음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 학창시절에 조선이 아닌 고려가 더 알려진 것은 아무래도 실크로드의 영향이 클 것이다,라는 말을 너무 깊이 새겨버렸는지 내게는 여전히 그것이 더 기억에 남지만 코리아의 알파벳 철자에 대한 언급은 좀 놀라웠다. 처음 들어서 놀란 것이 아니라 우리의 역사적인 부분까지 정확히 짚어냈다는 것이 놀라운 것이다. 

역사이야기를 꺼낸김에 버마 이야기까지 해보자. 군사정권에 의해 버마는 미얀마로 이름이 바뀌어버렸다. 이때쯤 읽었던 책에서 우리나라에 유학온 버마 학생들은 군사정권의 미얀마가 아닌 버마로 불릴 것을 희망한다고 했던터라 지금까지 미얀마가 아닌 버마로 부르곤 했는데 이름이 바뀌는 과정의 현대사를 이야기하면서도 저자는 국명이 그리 심각한 문제가 아닐수도 있다고 언급한다. "이 나라의 이름은 버마어 문어로 므란마 Mranma고 구어로는 바마 Bama, 둘 다 버마 인종 집단을 가리키는 자칭명에서 온 말이다"9268)라고 설명하고 있다. 


순서없이 흥미로운 내용부터 찾아 읽기 시작하니 점점 더 재미있어진다. 자국어 알파벳에 에프 F 가 없는 나라가 어떻게 핀란드 Finland가 되었는지, 파키스탄 Pakristan에서 발음의 편의를 위해 아이 i가 추가된 것이며 원래 인도 북부의 5개 지역을 합해 줄인 PAKSTAN에는 i가 없었다는 것 등의 이야기는 글자만으로 놓고 봐도 그 언어에 대한 관심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 


이제 이 책을 다시 생각해보니 너무나 흥미로운 이야기로 가득하지 않은가. 

단지 나라의 이름에 대한 어원을 찾아간다고 해서 그 나라에 대해 더 잘 알게 되는 것일까? 라는 생각은 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이 바로 떠오르게 될 것이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올여름, 지구는 불타고 있다. 내 집이 불타고 있는데, 그 불에 기름을 붓는 것을 자랑하고 부유함을 과시할 만큼 어리석은 이는 얼을 것이다. 하지만 개인의 이동을 비롯한 라이프스타일에 있어서는어째서인지 다들 바보가 된 것만 같다. 올해도 우리나라의 SUV 판매 비중은 역대 최대치를 돌파하는 중이다. - P1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년 동안의 고독 - 1982년 노벨문학상 수상작 문학사상 세계문학 6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안정효 옮김, 김욱동 해설 / 문학사상사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플] 백만년의 시간이 흘렀다.
지금 마콘도에는 비가 내리고 있을까?
책을 다 읽고나니 문득 백년전은 언제였나 생각해봤다. 백년전, 1905년... 을사조약?
나는 왜 그 수많은 생각들 중에서 백년전의 을사조약을 떠올려버렸을까? 백년 동안의 고독은 그만큼 씁쓰름한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게 했나, 라는 생각을 해 본다. 백년 동안의 고독, 이라는 것은 마콘도가 ... 계속읽기
https://bookple.aladin.co.kr/~r/feed/4296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궁궐로 떠나는 힐링여행 : 경희궁 인문여행 시리즈 19
이향우 지음 / 인문산책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궁궐로 떠나는 힐링 여행 시리즈의 한 권으로 '경희궁'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저자의 궁궐 이야기는 꽤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알고 있다. 기회가 된다면 시간을 내어 경복궁, 창경궁, 덕수궁... 궁궐 지도를 들고 다 찾아가볼텐데 사정이 여의치않으니 책으로나마 들여다보고 있다. 사실 궁궐의 이름은 많이 들어봤지만 전체 지도를 놓고 위치를 확인해보라고 하면 도대체가 동서남북이 어디인지조차 모를 것이라 예상되지만 이제 조금씩 알아가면 되지 않는가,라는 초긍정의 자세로 경희궁을 살펴보고 있다.


"경희궁은 서부의 적선방에 있다. 동쪽은 흥화문이고, 흥화문내에는 금천교가 있고 또 그 동쪽은 흥원문이다. 서쪽은 숭의문이고, 남쪽은 개양문이며, 북쪽은 무덕문이다"(13)


경희궁은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경운궁(덕수궁)과 더불어 현존하는 조선시대에 지어진 5대 궁궐의 하나(13)라는 설명에 이어 문화재로 인식되어 1980년에 사적으로 지정될 당시 경희궁 구조물이 없어서 그 터만 사적지로 삼아 관할부서조차 문화재청이 아니라 서울시와 종로구청이라고 말하고 있다. 경희궁은 일제강점기에 철저히 파괴된어버린 궁궐이라고 하는데 이를 복원하는 것은 반가운 일이나 책을 읽다보면 복원하는 과정에서 철저한 고증으로 인한 성실한 복원이 되었는가,라는 것을 생각하면 뭔가 아쉬운 것들이 많이 보인다. 숭정전 보개천장의 황룡 사진이 있는데, 해학적인 용의 모습도 아니고 뭔가 어울리지 않는 어색한 느낌인데 오히려 저자가 원형을 상상하며 그렸다는 칠조룡의 모습이 더 해학적으로 보인다. 


창경궁은 홍화문이, 경희궁은 흥화문이 대문이라 할 수 있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 전체 궁의 지도를 보면 경희궁의 흥화문이 흔히 말하는 정문이라 할 수 있는 것이고, 흉년이 들면 영조가 자주 그 흥화문 앞에 나아가 구휼을 하고 백성들과 자주 소통을 하려 했다고 한다. 인터넷 세상으로 비대면 소통이 더 쉽고 다양해진 요즘 오히려 소통이 없는 누군가와는 달리 백성을 귀하게 여기던 영조는 그래서 조선시대의 최고 전성기라 하는 것 같기도 하다.


저자의 궁궐 이야기를 통해 문무관의 위치라거나 품계석이 따로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 궁궐이 그저 옛 집,이라는 인식만 갖고 있던 내게 그 이상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사건들과 조선의 정책, 왕족들의 삶 등에 대해 자세한 고증을 통해 설명하고 있어서 단순히 궁궐 구경이 아닌 우리 역사를 들여다보게 되기도 해 궁궐로 떠나는 힐링 여행이 역사와 문화까지 다 아우르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모두에게 추천할 수 있는 책이다. 


책의 첫머리에 저자는 경희궁이 훼손되고 파괴되어버렸고 문화재청이 아니라 서울시청과 종로구청에서 관리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했었는데 왜 그것을 강조했는지 마지막으로 덧붙이고 있다. 경희궁 유적지 발굴이 이루어지기 전에 그곳에 서울시의 온갖 건물이 세워져버렷고 심지어 민간 건물도 들어서 있으니 경희궁 복원이 쉬워보이지는 않는다. 

사실 우리 동네에서 조금 위쪽으로 올라가면 넓은 공터가 십여년간 방치되어 있는데 사유지인 그곳에서 구석기 유물이 나왔다던가... 아무튼 유적지 발굴이 되는 것도 아니고 내가 보기엔 그냥 그 넓은 땅을 방치해둔것처럼 보일뿐이다. 

역사적인 가치가 있는 것을 발굴하고 복원하는 의미가 크다는 것은 알지만 어쩌면 그렇게 스쳐가는 것도 역사의 일부가 아닐까, 라는 생각도 하게 되는데 경희궁의 복원은... 글쎄, 아직까지는 내게 있어서 빈 공간이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