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당 마당에는 이렇게 커다란 하귤 나무와 곳곳에 꽃나무 과실나무 꽃..들이 심어져 있다. 그냥 들풀처럼 아무렇게나 자라게 두는 듯 하지만 그래도 가끔 풀도 메고 청소하고 화단을 가꾼다.

자기집 마당이 있는 것처럼 성당에도 마당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좀 전에 이 성당 마당에 한떼의 무리가 다녀갔다. 이름표도 달고 있고 유모차도 끌고오고 아이들도 데리고 온 걸 보면 분명 뭔가 체험하는 프로그램을 진행중인 듯 한데.

이 사람들이 이 마당에 난입해서 여기저기 풀들을 뜯어가고, 내년 여름이면 저렇게 숙성되어 노오랗게 익어갈 하귤열매를, 시퍼렇게 살아있는 열매를 따고 나뭇가지를 꺾고 난리가 아니다.

아, 아까 근처에 있을 때 한마디 했어야했는데. 그때는 내가 그들이 어떤 행동을 하는지 몰라서 그냥 지나쳤고 저 멀리서 쳐다보고 있으려니 그렇게 자기 집 마당처럼 헤집어놓고 간다. 분명 자기들은 뭔가 자연을 느낀답시고 그따위 짓을 했겠지만.

내가 볼 때 그들은 자연파괴자들일뿐이다.

더구나 남의 집 마당에서 무슨 행패인가.

아무리 친한 옆집이라 해도 맘대로 들어가서 나뭇가지 꺾어들고 익지도 않은 열매를 손으로 마구 비틀어 따면 그게 어디 이웃인가?

성당이 열린 공간이라 하더라도 그건 말이 안되지. 아, 생각할수록 화가나는데? 도대체 저들의 정체가 뭘까.

앞으로도 계속 이런 난입을 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면 가만히 참아서는안되지 않을까, 싶어.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qualia 2017-09-15 18: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너무 안타깝네요. 어떻게 저럴 수 있는 것이죠? 물론 아이들은 그저 모든 게 신기한 것이죠. 그런 것들로 가득찬 세상에서 쏟아져 들어오는 온갖 감각적 자극들이 시키는 대로 움직이고 반응하는 로봇에 가깝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아직 성찰적 의식은 형성되지 않은 상태니까요. 해서 아이들이 그러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고 봐요. 하지만 그 부모가 아이들이 그렇게 행동하도록 놔두거나 부추기는 것은 정말 문제입니다. 이게 문제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뛰놀고 즐기는 것만으로도 너무나 귀엽고 사랑스럽고 대견스러워서 무슨 짓을 하든 걍 흡족하게 바라만 보는 때가 있다는 것이죠. 격려하고 쓰담쓰담하면서까지요. 그 순간은 부모로서의 어른들은 누구나 할 것 없이 성찰적 의식이 마비되는 것 같습니다. 이건 아무리 고학력자, 지식인, 교양인이라 하더라도 똑같다는 것을 거듭 느낍니다. 한 가지 감정에 몰입돼 있을 때는 반성적·성찰적·이성적 의식은 하얗게 증발해버립니다.

혹은 아이와 그 부모가 함께 있을 때는 그 아이의 의식 없는 행동을 제3자가 나서서 제지하기는 무척 어려운 것 같습니다. 잘못하면 그 부모와 언쟁이 발생할 수 있으니까요. 해서 많은 사람들이 아이들이 천방지축 그렇게 날뛰어도 (속으로는 부글부글 끓지만) 겉으로는 모른 척하고 지나가기 일쑤죠. 이런 상황에서 나서면 오히려 오지랖 넓다고 비야냥받기 쉬운 게 한국적 현실입니다. 이런 의식 구조가 우리 한국인들에겐 어릴 적부터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 같습니다. 해서 자신한테 직접적 손해와 해가 끼쳐오지 않는 한 주변에서 벌어지는 수다한 불합리한 일들, 부조리한 실태들, 비상식·몰상식적 행태들, 명백한 오류들, 의심스러운 주장들 등등에 대해서 비판은커녕 모른 척하고 지나가는 행동 방식이 전형적인 삶의 방식으로 자리잡게 되는 것이겠죠. 해서 모두들 좋은 게 좋은 거라고 할 뿐입니다.

우리가 부모일 때, 아이들과 자연으로 공공 도서관 등으로 놀러갔을 때, 이런 의식의 마비 상태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