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첫 번째 리틀위버 - 핀룸으로 만나는 위빙 ㅣ 첫 번째 시리즈
정세은 지음 / 책밥 / 2016년 1월
평점 :
리틀위버,라는 낯선 단어가 뭔지를 확인하기 전에 먼저 사진으로 본 직물을 보니 왠지 이걸 꼭 해보고 싶었다. 이렇게 멋진 것을 집에서 손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니 괜히 흥분되기 시작했다. 그래서 책을 받기 전에 리틀위버라는 단어를 검색해봤는데 예상외로 찾아볼만한 자료가 많지 않았다. 검색이 어렵다기보다는 '리틀위버'라는 직기 자체를 구입하는 것이 어려운것처럼 느껴졌으니.
'리틀위버'는 티 코스터 크기의 직물을 만드는 작은 직기를 일컫는 것이고 이 책은 그 리틀위버를 이용해 티 코스터나 그를 응용한 넥워머, 티코스터를 여러 장 연결하여 만들 수 있는 테이블 매트, 담요, 그 외 덮개나 받침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직조기술을 정리해 놓은 책이라고 하면 이 책에 대한 설명은 대략적으로 끝난것이 아닐까 싶다. 직조기술이라고 표현했는데 우리에게 익숙한 표현으로 한다면 뜨개질을 할 때 무늬를 넣기 위한 패턴을 배우는 것처럼 이 책에서 설명하는 것 역시 코스터를 만들 때 여러가지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색다른 패턴을 만들어내는 공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커다란 수직기만을 떠올려서 집에서는 결코 할 수 없으리라 생각했던 편물수직을 이렇게 자그맣게도 할 수 있다는 것에 흥미를 가졌는데 어떤 것인지 정확히 모르면서 리틀위버를 덥석 사기는 망설여져서 아직은 리틀위버를 마련하지 못하고 책만 들여다보고 있다. 혹시 리틀위버를 목공을 이용해 직접 만들어볼 수 있을까 싶어 들여다보다가 촘촘하게 같은 간격으로 일정하게 못을 받아야하는데 못머리가 있으면 또 안되겠다는 생각에 포기. 나중에 여유가 생기면 리틀위버를 마련하는 걸 생각해봐야겠다. 그만큼 이 직조물은 꽤 매력이 있는 것이다.
오래전에 선물로 받은 티 코스터가 편물로 되어 무늬도 담겨있는데 그것도 이런 방식으로 만든것일까?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했다기에는 형태가 일정치 않고 조금씩 어긋나는 무늬도 있어서 그냥 머나먼 남미에서 온 것이라 그런가보다,라고만 생각했는데 그것이 공장제품이라기보다는 가내수공업제품이라고 생각한다면 왠지 좀 더 가치있게 느껴진다.
직접 해보지 못하고 눈으로만 작품감상을 해서 많이 아쉬운데 언젠가 기회가 되면 시도를 해보고 싶다. 가장 포근한 실로 따뜻한 시간을 엮어보라,는 저자의 말이 없더라도 왠지 리틀위버로 직물을 짜고 멋진 무늬의 티 코스터를 만들고 있다면 그냥 즐거운 시간이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