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클하면 안 되나요?
마스다 미리 지음, 권남희 옮김 / 이봄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처음 이 글을 읽기 시작할 때는 그 '뭉클'이라는 말에 집중을 했다. 아침에 출근하는데 누나 손을 꼭 붙잡고 학교에 가고 있는 꼬마 초등학생의 모습에 문득, 햇살이 좋네 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백살은 되어보이는 나무에 연하게 반짝이며 고개를 내밀고 있는 새싹을 보게 되었을때도 문득, 성당에서 몸이 불편한 할머니에게 미사포를 이쁘게 잘 씌워주고는 손을 꼭 잡아주는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나란한 뒷모습을 볼 때도 문득, 오랜 세월이 흘러 도로 곳곳이 확장되고 건물이 바뀐 동네를 걷다가 두 할아버지가 이곳저곳을 가리키며 어느 곳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대화를 나누는 모습을 보고 있는데 가만히 바라보고 있는 그 뒷모습에서 두 분이 손을 꼬옥 붙잡고 있는 것을 발견했을때도 문득 나는 '뭉클'해지곤 한다.

 

마스다 미리 여사도 이런 '뭉클함'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일까?

사실 나는 뭉클,이라는 말에서 '감동'이라는 감정을 끌어내주는 이야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많은 에피소드들이 그런 감동이라기보다는 조금은 '짠해 보이는', 뭔가 안쓰럽기도 하지만 딱히 그런 느낌보다는 뭔가 대견해보인다는 느낌 정도의 글을 담고있다.

어찌보면 별 것 아니고 아주 사소한 일들에 일일이 감탄하고 뭉클해하고 있냐, 라는 생각을 하게 되기도 하지만 가끔씩 그녀의 이야기에 맞장구치며 나도 간혹 뭉클해질때가 있지, 하게 되기도 한다. 그래도 역시 이 책은 뭉클함보다는 나이를 적당히 먹은(!) 여자어른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느끼는 소소한 감정을 말하고 있다는 생각이 크다.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마스다 미리의 눈에는 결코 사소함이 아니라 그 나름대로 커다란 의미가 되는 것이다.

 

책을 받아들고 무심코 읽어나가기 시작하다가 문득 띠지속이 궁금해져서 한꺼풀 벗겨봤더니 뜻밖의 그림이 나왔다. 빨대를 사용하지 않느냐는 물음에 남자가 빨대로 마시면 꼴불견이잖습니까,라고 적혀있는 띠지와는 달리 그 안쪽에는 '앗, 깜빡했다!!'가 적혀있는 것이다. 이런것이 '뭉클'이 될 수 있냐고?

마스다 미리가 말하고 있는 수많은 '뭉클'의 에피소드를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거의 모든 이야기에 왠지 2%가 부족해보이는 사람들과 인간미가 철철 흘러넘치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완벽해 보이던 사람에게서 발견하게 되는 허술함, 어딘지 모르게 보여지는 허당의 모습에서 괜한 '뭉클'을 느끼는 것. 어쩌면 그래서 괜히 사랑스러운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니까 어쩌면 마스다 미리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소소한 일상에서 그저 그럴 것이다, 라거나 평범하게 지나쳐버리게 되는 타인의 행동들속에도 그 나름의 의미가 있는 것이고, 그 모든 것을 긍정적이고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게 된다면 언제나 '뭉클'함을 느끼며 생활하게 된다는, 그런 것이 아닐까 싶어진다. 일상의 사소함 속에서 '뭉클'을 느낀다는 것은 또한 늘 소소한 설레임을 느끼게 하며 일상생활의 활력을 주기도 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고보니 괜히 이 책이 뭉클해지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